본문 바로가기

사회(Society)

한국의 다문화 정책, 타자를 사랑하는 방법부터 배우자

한국의 다문화 정책, 타자를 사랑하는 방법부터 배우자

 

-그래피티 예술가, ‘로얄 독크리스 심

-한민족 혈통의 순수성과 단일성 강조에서 다문화주의로

-편견과 의심에서 벗어나야

-인종적 민족적 개념에서 벗어나야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간의 결혼이라는 성차별적 사고는 위험

-한국의 다문화 가정 지원정책 성과에도 최근 불안한 요소 많아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uBvMJ2

 

South Koreans Learn to Love the Other

한국인들 타자를 사랑하는 법을 배우다

 

How to manufacture multiculturalism.

다문화주의를 만드는 방식

 

BY JAMES PALMERGA-YOUNG PARK

 

 | JULY 16, 2018, 8:00 AM

 


The graffiti artist Chris Shim, aka Royyal Dog, makes multiculturalism the focus of a series of murals in his home city of Seoul, including this one in an alley, and around the world. (Jun Michael Park for Foreign Policy) 

 

'충견'(로얄 독)이라는 애칭을 사용하는 그래피티 예술가 크리스 심 씨는 골목에 이 벽화를 포함해 서울의 그의 집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다문화주의를 벽화의 핵심 주제로 삼고 있다.

 

From Japan to the United Kingdom, developed countries face a two-pronged problem: aging populations and a deepening hostility toward the immigrants who could keep their aging economies growing. One country may have found the answer to both. In South Korea, a top-down campaign begun in 2005 to remake the nation’s ethnic self-image has had remarkable results. In less than a generation, most South Koreans have gone from holding a narrow, racial concept of nationality to embracing the idea that immigrants of Chinese, Nigerian, Vietnamese, or North American descent can be as Korean as anyone else.

 

일본에서 영국에 이르기까지 선진국들은 인구 고령화와 고령화 경제를 성장하게 하는 이민자들에 대한 심화되는 적개심 등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 국가가 두 가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도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의 민족적 자아상을 재구성하기 위해 2005년에 시작된 하향식 정책이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한 세대도 채 지나지 않아, 대부분의 한국인은 국적에 대한 협소하고 인종적인 개념에서 중국인, 나이지리아인, 베트남인 또는 북미 출신의 이민자가 다른 누구보다 한국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포용하기에 이르렀다.

 

Part of what makes South Korea’s story so striking is its speed. Until the early 2000s, the country’s textbooks, immigration policies, and national imagery had placed a heavy value on the purity and unity of what was known as the Korean bloodline. The fixation with national uniqueness stemmed in part from the 20th-century trauma of Japan’s 35-year occupation, during which Koreans were portrayed as a subordinate part of a wider Asian empire. After Japanese rule was lifted in 1945, educators in the newly created South Korea drew on the works of independence activists such as Shin Chae-ho, who claimed that the Korean race-nation (minjok) had existed for millenniums, in writing the country’s new textbooks. Ethnonationalist rhetoric became commonplace among both teachers and politicians.

 

한국의 이야기를 그렇게 놀라게 만드는 것은 속도이다. 2000년대 초까지 한국의 교과서, 이민 정책, 그리고 국가 이미지는 한국 혈통으로 알려진 순수성과 단일성(통일성)에 큰 가치를 두었다. 민족적 단일성에 대한 집착은 부분적으로 한국인들이 더 넓은 아시아 제국의 종속적인 부분으로 묘사되었던 일제 35년 간의 20세기 트라우마에서 비롯되었다. 1945년 일본 식민지에서 벗어난 후 새로운 한국에서의 교육자들은 한국의 새로운 교과서를 쓸 때 한국 민족 국가(민족)가 수천 년 동안 존재했었다고 주장한 신채호와 같은 독립 운동가의 교과서들을 사용했다. 민족주의자들의 수사는 교사와 정치인들 사이에서는 흔하게 되었다.

 

But in 2005, the national mood began to shift. Korean society was aging, with the fertility rate dropping to just 1.08 births per woman, a historic low. South Korean men were responding to the demographic decline by increasingly seeking foreign brides from poorer neighbors — first from China and then, as China got richer, from Vietnam and Cambodia.

 

그러나 2005년 한국의 분위기는 변하기 시작했다. 한국 사회는 출산율이 여성 1명당 역사상 최저치인 1.08명으로 떨어지며 고령화되고 있었다. 한국 남성들은 처음에는 중국으로부터 중국이 부유해지면서 그 다음에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 보다 가난한 이웃 국가들로부터 외국인 신부를 많이 찾으면서 인구 감소에 대응하고 있었다.

 

That year, the total percent of marriages to foreigners was already 13.6. In some areas, such as North Jeolla, nearly 50 percent of Korean men were marrying Chinese women. At the same time, prejudices remained strong: Children regularly verbally abused their mixed-race classmates, sometimes with teachers’ approval. One Korean-American blogger, on his popular left-leaning English-language site Ask a Korean!, said gloomily that he feared the prospect of race riots if attitudes didn’t change.

 

그 해에, 외국인과의 결혼 전체 비율은 이미 13.6%였다. 전라북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한국 남성의 거의 50%가 중국 여성과 결혼하고 있었다. 동시에, 편견은 강해졌다. 아이들은 언어적으로 빈번하게 혼혈인 친구들을 때로는 교사들의 허락을 받고 학대했다. 인기 있는 좌파 성향의 영어 사이트인 "한국인에게 질문하기"(Ask a Korean!)를 운영하고 있는 한 한국계 미국인 블로거는 만일 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인종 폭동의 가능성이 걱정된다고 침울하게 말했다.

 

Such fears prompted the formation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which pushed a pro-natalist agenda, including increased child care and tax breaks for parents. But the South Korean media also began to host fervent discussions of multiculturalism. In 2005-2006, the number of articles on the topic tripled from previous years. The media shift was echoed by a change in policy from the top, initially driven by President Roh Moo-hyun. The campaign then crossed ministerial divisions and party lines, surviving the changeover from the liberal Roh administration of 2003-2008 to the more conservative administration of President Lee Myung-bak. Lee’s government sought both to persuade the public to embrace immigrants and to promote integration by educating new foreign-born brides in the intricacies of Korean cultur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imultaneously started a campaign to persuade the public to accept multiculturalism. Immigration commissioners and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ging set multiculturalism as a national priority to combat a maturing society. South Korea was to become a “first-class nation, with foreigners” — a phrase echoed throughout government documents and speeches.

 

이러한 우려 때문에 부모들을 위한 자녀 양육과 세금 감면을 포함한 친-산아 증가 의제를 추진하는 대통령 산하 고령화 사회 인구정책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그러나 한국 언론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열띤 토론을 주최하기 시작했다. 2005년에서 2006년 사이에 다문화주의 주제에 관한 기사의 수가 전년도에 비해 3배가 되었다. 언론은 변화는 처음에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추진된 위로부터의 정책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 다음 그 정책은 각 부처와 정당 노선이 되어 2003-2008년의 진보적인 노무현 정부에서 보다 보수적인 이명박 정부까지 전환시점에서도 유지되었다. 이명박 정부는 한국 문화의 복잡한 상황에서 새로운 외국 태생의 신부를 교육함으로써 이민자들을 포용하고 통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대중들을 설득하려고 했다. 여성가족부(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는 동시에 대중들에게 다문화주의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민 위원들과 대통령 직속의 고령화 위원회는 다문화주의를 성숙하는 사회를 지키기 위한 국가적인 우선 순위로 정했다. 한국은 도처의 정부 문서와 연설집에 있는 문구인 "외국인과 함께 하는 일류 국가"가 될 예정이었다.

 


Shim’s works, such as these in Seoul, depict women of diverse ethnicities wearing the traditional Korean hanbok. (Royyal Dog)

 

서울에 있는 심 씨의 이러한 작품들은 한국의 전통 한복을 입고 있는 다양한 인종의 여성들을 그리고 있다.

 

The campaign rapidly picked up pace, especially after the passage of the 2008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ct. The bill increased the national budget for multicultural programs from just $96.9 million a year in 2009 to $197.5 million by 2012. South Korea also held in 2008 its first Together Day, a nationwide festival designed to make multicultural families feel more accepted, mixing ads of happy children and parents with talent shows and cultural displays. Not every move succeeded: Explicit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was blocked repeatedly in the National Assembly.

 

그 정책은 특히 2008년 다문화 가정 지원법(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이 통과 된 후 급속도로 진척되었다. 그 법안은 다문화 프로그램의 국가 예산을 2009년 연간 9,690만 달러에서 2012년까지 1 9,750만 달러까지 증가시켰다. 한국은 또한 2008년 행복한 자녀와 부모들의 광고를 재능 발표와 문화공연과 연관시키며 다문화 가정이 더 받아들이기 쉽도록 기획된 전국적인 축제인 첫 번째 세계인의 날(Together Day)를 개최했다. 모든 정책인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면 명백한 차별 금지 법안이 번번이 국회에서 계류되었다.

 

Then, in 2009, the Ministry of Justice established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to smooth the route to citizenship for foreign residents — one previously accessible only to a few professional elites — by introducing a clear points system. Official materials began to promote the term damunhwa (multicultural) to describe mixed families, since honhyol (mixed blood) had taken on derogatory connotations. Politicians spoke of multiculturalism in glowing terms; in a 2010 speech to the nation, then-President Lee described all foreign brides as his own daughters-in-law. Public school teachers received training in how to address the bullying of mixed-race children, and ima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started to appear on posters in government offices.

 

2009년 당시 법무부는 이전에는 소수의 전문 엘리트만이 이용할 수 있었던 외국인 거주자에게 명확한 점수제를 도입함으로써 시민권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완화하기 위한 한국 이민 통합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혼혈(honhyol, 피가 섞인)이라는 말은 경멸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합가정을 묘사하기 위해 공식적인 공문서에는 다문화(damunhwa, 다문화)라는 용어를 적극 홍보하기 시작했다. 정치인들은 다문화주의에 대해 찬사를 보냈다. 또한 2010년도 국정연설에서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모든 외국인 신부들을 자신의 며느리와 같다고 표현했다. 공립학교 교사들은 혼혈 어린이의 따돌림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았으며 정부 기관의 포스터에는 다문화 가정의 이미지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Public school teachers received training in how to address the bullying of mixed-race children, and ima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started to appear on posters in government offices."

 

"공립학교 교사들은 혼혈 어린이의 따돌림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았으며 정부 기관의 포스터에는 다문화 가정의 이미지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The language introduced in 2005-2006, and backed up by later legislative action, produced a striking change in attitudes. By 2010, the Korean Identity Survey, a national poll run by two research institutes and a South Korean newspaper, found that more than 60 percent of Koreans supported the idea of a multicultural society. As of July 2016, more than 2 million foreigners lived in South Korea, up from just 536,627 in 2006. The country elected its first lawmaker of foreign birth, the Philippine-born Jasmine Lee, in 2012. By 2020, an estimated one-third of all children born in South Korea will be of mixed South Korean and other Asian descent.

 

2005년에서 2006년 사이에 도입되고 나중에 입법 조치로 지지를 받은 다문화라는 언어는 태도에 있어서 현저한 변화를 가져왔다. 2010년까지, 두 개의 연구 기관과 한 한국 신문이 실시한 한국인 정체성 설문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의 60% 이상이 다문화 사회라는 관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에 단지 536,627명에서 2016 7월 현재, 2백만 명 이상의 외국인들이 한국에 살고 있다. 한국은 2012년에 필리핀 태생의 첫 번째 국회 의원인 재스민 리를 선출했다. 2020년경에는 한국에서 태어난 모든 어린이들 중 약 3분의 1이 한국인과 다른 아시아계 혼혈인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Local efforts across the country have matched the government’s top-down publicity campaign. “South Korea’s system to dispatch counselors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has helped a lot of people,” said Shin Suk-ja, the head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group, a network of 218 offices across the country that provides aid to immigrant families. Popular culture has also embraced the idea of a multicultural society. Some of the country’s most popular young stars are Koreans of African descent, such as Han Hyun-min, a Nigerian-Korean teenage model who shared his story on the TV series My English Puberty of being sacked from a modeling job because he only spoke Korean, not the English that his appearance suggested. In 2016, Jeon So-mi, then a 15-year-old Canadian-Korean, won the popular talent competition show Produce 101 — probably in part because the voting audience at home saw her foreignness as cool.

 

전국에 걸친 현지의 노력은 정부의 하향식 홍보 활동과 일치한다. 이민 가정에게 도움을 제공하고 있는 전국 218개소의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 다문화 가정 지원센터(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의 신숙자 센터장은 다문화 가정을 돕기 위한 삼담사를 배치하고 있는 한국의 체계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대중 문화 역시 다문화 사회라는 관념을 받아들였다.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젊은 스타 중 일부는 외모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어가 아닌 한국말만 했기 때문에 모델 일자리에서 해고되었다는 나의 영어 사춘기(My English Puberty )라는 TV 시리즈에서 자신의 일화를 공개한 나이지리아계 한국인 10대 모델인 한현민(Han Hyun-min)과 같은 아프리카계 한국인들이다. 2016년 당시 15세의 캐나다계 한국인 전소미 씨는 아마도 부분적으로는 국내 시청자 투표자들이 그녀의 이국적인 모습을 멋있게 보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지만 인기 재능 경쟁 쇼인 프로듀스 101(Produce 101)에서 우승했다.

 

Despite the success of the government’s multicultural campaign, there has been some backlash in recent years. Between 2011 and 2015, the Korean Identity Survey polling data revealed an increase in public concerns about multiculturalism, with support dropping to 49.7 percent. The data also showed that many Koreans associated foreigners with crime, job losses, or a greater tax burden. Academics and activists have criticized the government for reinforcing the sexist stereotyp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mean a Korean man and a foreign woman.

 

정부의 다문화 캠페인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반발이 있어왔다.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 한국인 정체성 설문 조사 결과는 지지율이 49.7%까지 떨어지면서 다문화주의에 대한 대중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자료는 또한 많은 한국인이 외국인을 범죄, 실업 또는 더 많은 세금 부담과 연관시켰음을 보여주었다. 학계와 활동가들은 다문화 가정이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을 의미한다는 성차별주의자의 고정관념을 강화시키고 있다고 정부를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