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Society)

더 힌두, 간디와 암베드카 '마을 도시 그리고 도시 빈민가'

더 힌두, 간디와 암베드카 '마을 도시 그리고 도시 빈민가'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GO5WXQ

 





Where Gandhi meets Ambedkar

간디가 암베드카를 만나는 곳

 

Matias Echanove & Rahul Srivastava

 

MARCH 17, 2018 16:05 IST

UPDATED: MARCH 18, 2018 10:46 IST

 



Two powerful archetypes — the village and the city — are resolved in a third one: the slum

 

두 개의 강력한 원형인 마을과 도시는 세 번째 원형에서 결합된다. 그것은 빈민가

 

Archetypes embod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 person, idea or object. In Jungian terms they are mental images populating our collective unconscious. In political discourse, archetypes are symbols, which carry ideologies and have the power to influence popular imagination.

 

원형들이 사람, 생각 또는 사물의 기본적인 특징을 구체화한다. 칼 융(Carl Jung)의 용어로 그것(원형)들은 우리의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을 채우는 정신적인 이미지들이다. 정치적 담론에 있어서 원형은 상징들이다. 그 상징들은 이데올로기를 수반하며 대중적 상상력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가지고 있다.

 

Mahatma Gandhi’s notion of a village became an important archetype, representing his political values — an authentic Indian identity, self-reliance, the use of local resources and industriousness. It was for him, the site of transformation in which the ills of Indian society could be diluted by its strengths, as long as people remained committed to hard work and a simple lifestyle.

 

마하트마 간디의 마을에 대한 개념은 진정한 인도의 정체성, 자립, 자기 의존, 지역 자원의 사용 및 산업화라는 정치적 가치를 대표하는 그의 중요한 원형이 되었다. 간디에게 있어 마을은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고 단순한 생활 방식에 전념하는 한, 마을의 감점으로 인도 사회의 병폐를 희석시킬 수 있는 될 수 있는 변화(탈바꿈)의 장이었다.

 

For a long time the ruling elite and progressive voices considered the village as the ultimate horizon for a post-colonial Indian society. The development agenda was centred on the imagined reality of the Indian village, where a statistical majority of Indians are still said to be living. Cities were seen as economically and morally corrupt, forever tainted by imperial and feudal histories.

 

오랫동안 집권 엘리트 계층과 진보적인 목소리들은 마을을 식민지 이후 인도 사회를 위한 궁극적인 지평으로 여겨왔다. 개발 의제는 통계적으로 인도인의 대다수가 여전히 마을에 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인도 마을의 상상의 현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도시들은 도덕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부패한 것으로 보여졌으며 제국주의와 봉건시대에 의해 영원히 오염된 것으로 여겨졌다.

 

Social progress

사회적 진보

 

For Dr. Babasaheb Ambedkar on the other hand, the Indian village was a cesspool of caste ideology and oppression. Nothing there was quite redeemable. He saw the village as a reactionary ideal and an exploitive social context, which needed to be evaded by all means. The city on the other hand represented the possibility of social progress. Political plurality, access to education and professional opportunities offered venues for emancipation in the city.

 

반면에 바바사헤브 암베드카(Babasaheb Ambedka) 박사에게 있어, 인도의 마을은 카스트 이데올로기와 억압의 소굴이었다. 그 어떤 것도 충분히 상환할 수 없다. 그는 마을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회피해야 하는, 반동적인 이상이며 착취적인 사회적 맥락으로 보았다. 반면에 도시는 사회적 진보의 가능성을 나타냈다. 정치적 다수(Political plurality), 교육과 직업적 기회에 대한 접근이 도시에서 해방을 위한 장소를 제공했다.

 

The contradictions in their respective visions could never be resolved and the two great men could only be political opponents. Of course, the reality of the village and the city did not match Gandhi’s and Ambedkar’s ideals.

 

그들 각자의 비전 속에서의 모순점들은 결코 해결될 수 없었고, 위대한 두 인물 간디와 암베드카는 정치적 정적이 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마을과 도시의 현실은 간디와 암베드카의 이상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The village was never self-reliant, and it turns out that in its continuous relevance in the Indian context , it relies on connections to urban centres. Far from being preserved from the ills of modernity, it is most vulnerable to environmental devastation and market uncertainties.

 

마을은 결코 자립적이지 못했다. 그래서 마을은 인도의 상황에 지속적인 관련 속에서 도시 중심까지의 연결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대성의 병폐로부터 보존되기는커녕, 마을은 환경적 황폐화와 시장의 불확실성에 가장 취약하다.

 

The city may have offered a better context than the village for oppressed castes, but it remained stratified and unequal. And even in the 21st century the city’s spatial organisation, its neighbourhoods and the way they are being planned and serviced by the government still reflects caste biases. Public education and government jobs that should have offered equal opportunities are more segregated than ever.

 

도시는 억압 받는 카스트 제도에 적합한 마을보다 더 나은 상황을 제공했을지는 모르지만, 도시는 계속 계층화되고 불공평했다. 그리고 심지어 21세기에도 도시의 공간 조직, 이웃들, 그리고 정부에 의해 계획되고 제공되는 방식은 여전히 카스트 제도의 편견을 반영하고 있다. 균등한 기회를 제공했어야 하는 공교육과 정부 일자리는 그 어느 때보다 더 차별적이다.

 

There is no space that epitomises the limitations of both, a village centred or city-focused ideology more than the urban slum — with its reliance on caste-based networks, perpetuation of rural attitudes, overcrowded and understaffed schools, lack of vital infrastructure, minimal access to healthcare, economic hardship and a conflicted relationship to the state. The slum has come to embody the worst aspects of the village and the city to the point that it has become its own archetype.

 

카스트 제도에 근간을 둔 네트워크, 시골 사고방식의 영구화, 과밀하고 계층화된 학교들, 중요한 사회기반 시설의 부족, 의료보건의 최소 접근, 경제적 역경과 주와의 갈등관계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도시 빈민가만큼 마을 중심 혹은 도시 중심 이데올로기 두 가지 모두의 한계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은 없다. 빈민가는 그 자체의 전형이 될 정도로 마을과 도시의 최악의 양상들을 상징하게 되었다.

 

Point of contact

접촉점

 

It may even be said that the slum is where Gandhi’s and Ambedkar’s respective utopias of the village and the city are resolved — but in a dystopic form. It is where they meet, merge and cancel out each other.

 

빈민가는 간디와 암베드카 각각의 마을과 도시의 유토피아가 결합되는 지점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이상향적인 디스토피아의 형식이다. 빈민가는 두 유토피아가 만나고, 합쳐지고 서로를 상쇄해주는 장소이다.

 

However, if we simply consider their archetypical visions of the village and the city as political agendas and not as realities, they provide a powerful road map for the way we should deal with slums. Perhaps the Indian village is a site of transformation but in a different avatar altogether — one which comes into its own only when located within the Indian city? The village remains deeply entrenched in the lives of marginalised urban populations, who never fully give up their ancestral connections.

 

하지만, 우리가 마을과 도시에 대한 원형적인 비전을 단순히 현실이 아닌 정치적 의제로 간주한다면 그 원형적인 비전들은 우리가 빈민가들을 다루는 방법에 대한 강력한 체계 규칙을 제공할 것이다. 아마 인도 마을은 탈바꿈의 현장이 될 것이다. 그러나 전혀 다른 아바타의 모습을 하고 있다. 단지 인도 도시 안에 위치해 있을 때만 자신으로 들어가는 아바타? 마을은 완전히 그들의 조상과의 연결을 포기하지 않는 하찮은 도시인들의 삶 속에서 깊이 자리잡게 된다.

 

Perhaps the way for caste transformation is a route through the city and keeping connections to the village. So, many Dalit families make a point to return to their village after being empowered in the unequal and stratified city — building temples and bigger homes, and reconquering past histories. Their empowerment comes mostly from the urban toehold that the urban slum provides, with all its ills.

 

아마도 카스트 제도를 탈바꿈하는 방법은 도시를 통과해서 마을과 연결을 유지하는 경로이다. 그래서 많은 달리트(역주: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하층민, 불가촉 천민) 가정들이 불평등하고 계층화된 도시에서 자율권을 부여 받고, 사원과 더 큰 집을 짓고, 그리고 과거의 역사를 다시 정복한 후에 그들의 마을로 반드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들의 권한(자율권)은 주로 모든 도시의 병폐를 지니고 있는 도시 빈민가가 제공하는 도시를 발판으로 비롯된다.

 

Looking closely at slum life in India suggests that maybe it is from this dystopian kingdom that a truly modern sensibility will emerge. Perhaps the powerful utopian visions of Gandhi and Ambedkar will converge and succeed when the archetypical Indian slums are finally allowed to become industrious, self-reliant neighbourhoods, whose inhabitants are offered equal rights and opportunities.

 

인도의 빈민가 생활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아마도 진정한 현대적 감각능력이 나올 수 있는 것은 이 디스토피아(dystopia) 왕국에서 이지 않을까. 아마도 간디와 암베드카의 강력한 유토피아적 비전은 인도의 전형적인 빈민가가 마침내 거주민들이 평등한 권리와 기회를 제공받는 부지런하고 독립적인 이웃이 되는 것을 허용할 때 수렴되고 성공할 것이다.

 

The writers are co-founders of urbz.net, an urban network that’s active in Mumbai, Goa and bey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