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Economy)

체널뉴스아시아, 한국 'IMF의 쓰디쓴 약'이 성장도 불러왔지만 '불평등'도 확대시켜

체널뉴스아시아, 한국 'IMF의 쓰디쓴 약'이 성장도 불러왔지만 '불평등'도 확대시켜


- IMF 위기 극복의 그늘,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뉘어져

- 노동 불균형 소득 격차 커져, 생활 불안정, 가계부채 너무 높아

- 노동시장 유연화로 오히려 간극 확대돼

- 문재인 예산의 목적은 불평등과 소득 재분배에 초점

- 문 대통령, 불평의 원인은 부패에 기인, 부패의 고리를 차단하려는 시도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H0pabN


 

 


Commentary: IMF's bitter medicine brought South Korea growth, but also inequality

논평: 한국, IMF의 쓰디쓴 약이 성장을 불러왔지만 불평등도 가져왔다

 

Ripples from intervention by the IMF in the Asian Financial Crisis continue to this day - leading to a divide in many South Korean workplaces, says one commentator on South Korea.

 

아시아금융위기에 IMF의 개입으로 인한 파장이 한국의 많은 작업장을 갈라놓으며 오늘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한 논평가는 말한다.


 


Members of the GM Korea union, a subcommittee for Korea Metal Workers' Union, hold a meeting to demand GM Korea withdraw its plan to shut down Gunsan manufacturing plant on Feb 14, 2018. (Photo: REUTERS/Yonhap)

 

전국금속노동자연합의 지부인 한국GM 노조원들이 한국 GM군산공장 폐쇄 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By Steven Borowiec

04 Mar 2018 04:20PM (Updated: 04 Mar 2018 04:20PM)

 

SEOUL: During the height of the 1997 to 1998 Asian Financial Crisis, the South Korean capital was engulfed in protests with demonstrators holding signs that read “IMFired” and “Re-negotiate the IMF agreement”. 

 

서울: 1997년에서 1998년 아시아금융위기가 최고조에 다다랐을 때 시위자들이 “IMF해고“IMF 합의 재협상하라라고 적힌 문구를 외치며 시위에 휩싸였다.

 

South Koreans' anger was targeted at large-scale layoffs that followed restructuring reforms imposed by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wo decades later, the crisis has retreated and growth has returned for the South Korean economy, but inequality has widened.

 

한국인들의 분노는 IMF가 강요한 구조조정 개정이 이은 대량해고에 있었다. 20년 후 그 위기는 물러났고 한국 경제는 성장해 왔다. 그러나 불평등은 더 확대되었다.

 

The crisis started in Thailand and quickly spread throughout Asia. South Korea was hit hard with over-borrowing and mismanagement by several companies. 

 

당시 위기는 대만에서 시작해서 급속도로 아시아 전체로 퍼졌다. 한국은 몇몇 기업들의 과다채무와 경영 잘못으로 심하게 영향을 받았다.

 

SOUTH KOREA'S FIRST BUDGET

한국의 첫 예산

 

In making his first budget proposal a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recalled the dark days that, in his words, “upended the lives of all Koreans", and he pledged to address the rise of inequality in the wake of that event. 

 

한국 대통령으로서 처음 예산안을 만들 때, 문재인 대통령은 모든 한국인들의 삶을 뒤집어 놓았다는 그의 언급으로 어두운 시절을 회상했다. 그리고 문 대통령은 그 IMF의 여파로 생긴 불평들이 커지는 것을 막겠다고 공언했다.

 

Although South Korea has long since recovered from the crisis, Moon argues that effects are still felt today: “The socio-economic structure that was transformed by the foreign exchange crisis has damaged the fabric of people’s everyday lives.”

 

문 대통령은 비록 한국이 IMF위기로부터 회복된 지 오래 되었지만 그 여파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느껴진다고 말한다. 문 대통령은 외환 위기로 변화된 사회 경제적 구조가 국민들의 일상 생활에 손상을 입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The terms of the IMF bailout, accepted by South Korea, stipulated tight fiscal policy to manage government debt, opening the economy to foreign investment and ownership, and perhaps most significantly, labour market reforms making it easier for firms to hire and fire workers.

 

한국이 받아 들인 IMF 구제금융 조건은 정부 부채 관리, 외국 투자에 경제 개방 및 소유권 개방,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노동시장 개혁으로 기업들이 근로자 고용과 해고를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엄격한 재정정책을 규정했다.

 

Before then, South Korean jobs had typically been lifelong arrangements that were nearly impossible for employers to terminate.

 

그 이전에 한국인들의 일자리는 고용주가 종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던 평생 직장(계약)이었다.

 


Tens of thousands of Hyundai Motor workers at the firm's plants in South Korea staged full or partial strikes for several weeks through July to October 2016 demanding higher wages. (Photo: AFP/Yonhap)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옃 주간 한국 생산 시설에서 수 만 명의 현대자동차 근로자들이 전면 혹은 부분 파업에 들어갔다.

 

Since the crisis, the South Korean employment market has seen a huge rise in the number of temporary positions, which last for a maximum of two years, pay lower salaries and provide less generous benefits. 

 

IMF 위기 위후 한국의 고용시장은 최대 2년 지속하고 낮은 임금과 적은 혜택을 제공하는 임시직의 수가 급속히 증가했다.

 

Many South Korean workplaces are therefore divided, with secure, well-paid permanent employees on one side and their precarious colleagues on the other, and little to no solidarity between the two.

 

그리하여 한국의 상당수의 직장은 둘로 나뉘어져 고정된 채, 한 쪽은 임금을 잘 받는 정규직과 반대편은 불안정한 동료들이 있게 되었다. 그리고 두 그룹은 연대가 전혀 없었다.

 

Moon is South Korea’s first left-leaning president after nearly a decade of conservative rule and has made addressing inequality a lynchpin of his presidency. 

 

문 대통령은 거의 10여년의 보수 집권 이후 한국의 첫 좌파성향의 대통령이며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 그의 대통령직의 핵심으로 만들었다.

 

He is responding to a growing despair in South Korea that ordinary people cannot get ahea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cannot compete with the few large conglomerates dominating the economy, and the small number of well-paid, stable jobs mostly go to young adults from well-connected families who could afford expensive private schools.

 

문 대통령은 보통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질 수 없고 중소기업들이 몇 안 되는 거대 대기업들이 지배하는 경제에서 경쟁할 수 없는, 그리고 대부분의 높은 임금과 안정된 직장은 비싼 사교육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여유가 있는 연줄이 든든한 집안의 청년들에게 돌아가는 한국에서 점점 커지는 절망에 대응하고 있다.

 

Real wages in recent years for most South Koreans have stagnated, and corporate profits for the large conglomerates have grown handsomely. 

 

대부분의 한국인들의 최근 몇 년간 실제 임금은 침체되어 있다. 그리고 거대 대기업들의 기업 수익은 엄청나게 많이 성장했다.

 

The president is therefore plotting ambitious moves to redistribute wealth and level the playing field of South Korea’s business landscape. 

 

문 대통령은 부를 재분배하고 한국의 기업 환경을 공평한 경쟁 부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야심에 찬 계획을 짜고 있다.

 


A woman walks past an advertisement for the Samsung Galaxy Note 8 at the company's showroom in Seoul. (Photo: AFP/JUNG Yeon-Je)

 

서울 삼성 전시실에서 한 여성이 삼성갤럭시 노트8의 광고판을 지나가고 있다.

 

FURIOUS DEBATE

열띤 논쟁

 

Debate is taking place domestically over whether Moon’s policy plans will undo the inequality and other lingering effects of the 1997 to 1998 crisis, fail to accomplish their stated end, or make life worse for the most vulnerable members of a South Korean economy stuck for years in low-growth conditions.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 계획들이 1997 1998년의 IMF 위기의 불평등과 다른 남아 있는 여파를 해결 할 것인지, 저성장으로 수년 간 발목이 잡혀 있는 한국 경제의 가장 취약한 층에 더 나빠질 것인지, 목적 달성에 실패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The immediate economic outlook for South Korea is not all gloom.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a solid, if unspectacular, 3 per cent rate of growth through 2019. The Bank of Korea puts growth for this year at a similar level. 

 

한국에 대한 즉각적인 경제 전망이 모두 어둡지는 않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특별한 경우가 없다면 2019 3%의 성장을 반영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 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률을 잡고 있다.

 

But the news isn’t all good either. Household debt stands at nearly 160 per cent of household income and is growing, suggesting that more families are borrowing to maintain their standards of living. 

 

그러나 그 소식이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 가계부채가 가계수입의 거의 160%이고 점점 더 많은 가구가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대출을 받으며 가계부채는 점점 커지고 있다.

 

As of December of last year, the country’s youth unemployment rate stood at 9.9 per cent, the highest since 2000 and representing more than triple the overall unemployment rate,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통계청에 자료에 의하면, 지난 해 12 월 한국의 청년 실업률은 9.9%2000년 이후 가장 높았으며 전체 실업률의 3배가 넘었다.

 

One sign of the jitteriness many South Koreans feel about the job market is the popularity of the civil service as an employment destination. Due to perceived stability and a generous pension system, more than 163,000 applicants applied for 4,120 available positions in 2016, a ratio of 54 applicants for each job.

 

많은 한국인들이 일자리 시장에 대해 느끼는 불안감의 한 징후가 취업 목적으로서 공무원의 인기이다. 인지된 안정성과 후한 연금제도 때문에 2016 4,120명 모집에 54 1의 응시자 163,000명이 넘었다.

 


GM Korea's labour union leaders meet Hong Young-pyo, a ruling party lawmaker from Bupyeong, where GM Korea's biggest factory is ba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n Seoul, South Korea on Feb 20, 2018. (Photo: Yonhap via REUTERS)

 

GM코리아 노조 지도부가 GM코리아의 가장 큰 공장이 있는 집권당 의원인 홍영표(부평) 의원을 국회에서 만나고 있다.

 

With this in mind, and given Moon’s relative lack of influence over hiring practices in the private sector, the president has pledged to create 30,000 jobs in the civil service and hire 12,000 new social workers in the areas of childcare and care for the elderly. 

 

이를 염두에 두고, 민간 부문에서의 고용 관행에 관한 문 대통령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문 대통령은 3 만개의 공공서비스 일자리를 창출과 아동 및 노인 돌봄 분야에서 사회복지사 12,000명 고용을 약속했다.

 

The plan is also intended to ease the burden on people of working age, many of whom in this ageing society must care for both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그 계획은 또한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 부모와 자녀 모두를 돌봐야 하는 근로 연령의 근로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다

 

Moon also pledged to implement financial incentives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for hiring young people and convert workers on temporary contracts to regular employee status. 

 

문 대통령은 또한 청년들을 고용하고 임시 계약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중소기업들에게 금융지원을 약속했다.

 

The most hotly debated of Moon’s policy plans is a steep rise in the country’s minimum wage, which he hopes will be a core part of what he describes as “income-led growth”, the assumption that boosting incomes for low and medium-earners will spur consumption and lead to increased economic growth.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 중에서 가장 열띤 논쟁을 벌이는 것이 국가 최저임금이 급격히 상승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최저임금이 저소득자와 중간 소득자를 위한 소득 증대가 소비를 자극하고 경제 성장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전제인 "소득중심의 성장"으로 묘사한 핵심 요소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

 

Critics of the increase, which went into effect at the start of this year, argue that higher wages will be an unmanageable burden on small businesses relying on minimum-wage workers and that the wage hike will lead more businesses to simply lay off staff, thereby harming the economy’s most vulnerable workers.

 

올해 초 발효된 최저임금 상승에 대해 비판가들은 최저임금 근로자에 의존하는 중소기업에게는 감당하기 힘든 부담이 될 것이고 임금 인상이 더 많은 기업들이 직원을 해고하게 유도하며 결국에는 경제의 가장 취약한 근로자들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INSTITUTIONS NEGATIVELY IMPACTING LIVES?

삶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제도들?

 

Globalisation requires institutions that can help maintain financial stability in crisis-stricken countries, and the precise extent to which South Korea’s increased inequality can be directly attributed to the IMF bailout is debatable. 

 

세계화는 위기에 처한 국가에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제도를 필요로 하며, 한국의 늘어난 불평등이 직접적으로 IMF 구제금융에 의한 것이라는 데에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Industrialised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recorded similar challenges with waning growth and widening income gaps after transitioning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economy. 

 

전세계 산업화된 국가들은 개발 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전환 한 후 줄어드는 성장과 점점 커지는 소득 격차로 유사한 문제를 겪어왔다.

 

Yet, in a survey of 1,000 South Koreans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bout 60 percent said that the crisis had negatively affected their lives. 

 

그러나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한국인 100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약 60%가 그 위기가 그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South Korean Finance Minister Kim Dong-yeon waits for US Treasury Secretary Steve Mnuchin before their meeting at the IMF/World Bank annual meetings in Washington on Oct 14, 2017. (Photo: REUTERS/Yuri Gripas)

2017 10 14일 워싱턴에서 열린 IMF/세계은행 연례 회의 시작 전에 한국 김동연 재무장관이 미국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을 기다리고 있다.

 

IMF data show that South Korea’s post-war economic boom took place with equitable income distribution, with a significant rise in inequality since the 1990s.

 

IMF 자료는 한국의 전후 경제적 호황은 공평한 소득분배로 이루어졌지만 1990년대 이후 불평등이 두드러지게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The IMF describes its programmes as medicine countries must swallow during times of economic illness and that, while bitter for a short while, in the long run can have a rejuvenating effect.

 

IMFIMF의 프로그램들을 경제적 질병에 걸린 시기에 해당 국가들이 삼켜야 하는 약이며 단기적으로는 쓰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시 활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In South Korea’s case, by pumping sorely-needed liquidity into the economy in early 1998, the IMF made it possible for South Korea to return to growth faster and pay its debt to the IMF ahead of schedule.

 

한국의 경우 IMF1998 년 초 경제에 꼭 필요로 했던 유동성 자산을 쏟아 부어 한국이 더 빨리 성장하고 일정을 앞당겨 IMF에 미리 부채를 지불할 수 있게 만들었다.

 

Nevertheless, the long-term legacy of the crisis has been harmful to many South Koreans.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기의 장기적인 유산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해를 끼쳤다.

 

While inequality has eased on a global level, individual countries, particularly advanced economies, have seen widening gaps between high- and low-earners.

 

불평등이 세계적 수준으로 쉬워지면서 개별 국가, 특히 선진국은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격차를 더 확대시키고 있다.

 

Last year, the IMF identified three policy areas – increased tax rates on high earners, a universal basic income, and public spending on education and health – as possible ways for governments to ease inequality.

 

작년에 IMF는 정부가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소득자에 대한 세율 인상, 보편적 기본 소득 및 교육 및 보건에 대한 공공지출이라는 3가지 정책 영역을 밝혔다.

 

Corruption is another area that warrants attention as a contributor to inequality. South Korea ranked 51st out of 180 countries in the most recent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published by Transparency International, which said that the ranking remained fairly stable despite the country having passed a landmark anti-corruption law in late 2016.

 

부패는 불평등의 원인으로 주의해야 하는 또 다른 영역이다.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발간한 가장 최근의 부패인식 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에서 한국은 180개 국가 중에서 51위를 차지했으며 국제투명성 기구는 한국이 2016 년 말에 획기적인 반부패 법안을 통과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그 순위는 상당히 고정적이라고 밝혔다.

 

Moon is the first South Korean president to make tackling this legacy a major policy objective, striving to tame the effects of the market and the global economic ties that find increasing numbers of people claiming an ever-shrinking slice of the economy. 

 

문재인은 이러한 유산을 막는 것을 주요 정책 목표로 삼으려는 첫 한국 대통령이다. 시장의 영향력을 다스리고 계속 줄어드는 경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세계 경제와의 관계를 고심하고 있다.

 

There is no guarantee that a set of top-down government initiatives can create a sustainably more level economic playing field.

 

일련의 하향식 정부 정책 시행은 지속적으로 보다 수준 높은 경제적 공평한 경쟁을 조성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Steven Borowiec is the politics editor of Korea Expose. This commentary first appeared in Yale-Global Online. Read it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