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Economy)

CFR, 한국 재벌의 역사 (2)

CFR, 한국 재벌의 역사 (2)


- 한국에 재벌은 어떻게 등장했나?

- 민주화와 1997년 금융위기는 재벌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 재벌과 정부는 어느 정도 긴밀한가?


기사 바로가기 : https://on.cfr.org/2ro5Izg

 




How did chaebol emerge?

재벌은 어떻게 등장했나?

 

Many of South Korea’s chaebol date to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efore the end of World War II, modeling themselves after Japan’s powerful industrial and financial conglomerates, known as zaibatsu. As U.S. and international aid flowed into Seoul [PDF] following the Korean War (1950–1953), the government provided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n special loans and other financial support to chaebol as part of a concerted effort to rebuild the economy, especially critical industries, such as construction, chemicals, oil, and steel.

 

많은 한국의 재벌들은 2차 세계대전 종식 이전 일제 점령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자이바츠(재벌, Zaibatsu)라고 알려진 일본의 강력한 힘을 지닌 산업 및 금융 대기업을 구들의 모델로 삼는다. 한국전쟁(1950-1953) 후 미국과 국제원조가 한국으로 흘러 들어 오면서, 건설, 화학, 석유 및 철강과 같은 주요 산업으로 한국 경제를 재건하기 위한 혼신의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 정부는 특별 대출과 그 외 다른 금융지원으로 수 백만 달러를 재벌에 제공했다.

 

"Park sought to build a South Korea that was self-reliant."

"박정희는 자립적인 한국 건설을 추구했다"


Scott A. Snyde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These enterprises flour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General Park Chung-hee, who led a military coup in 1961 and then served as president from 1963 to 1979. As part of Park’s export-driven development strategy, his authoritarian government prioritized preferential loans to export businesses and insulated domestic industries from external competition. The practice was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Asian tigers, Hong Kong, Taiwan, and Singapore. “Park sought to build a South Korea that was self-reliant and not dependent on great powers for its security,” writes CFR’s Scott A. Snyder in his 2018 book, South Korea at the Crossroads.

 

이 기업들은 1961년 쿠데타를 주도하고 그 다음 1963년부터 1979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한 박정희 장군의 지도하에 번영했다. 박정희의 수출지향 개발정책의 일환으로 박정희 독재정권은 수출기업에 특혜대출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외부 경쟁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보호했다. 그런 관행은 홍콩, 대만, 그리고 싱가포르와 같은 다른 아시아 호랑이들의 관행과 유사하다. CFR의 스콧 스나이더는 2018년 그의 저서 기로에 선 한국”(South Korea at the Crossroads)에서 박정희는 자립적이고 국가의 안전을 위해 강대국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을 건설하려고 했다고 쓰고 있다.

 

Over time, the chaebol expanded into new industrial sectors and tapped into lucrative foreign markets, providing more fuel for South Korea’s engine. Exports grew from just 4 percent of GDP in 1961 to more than 40 percent by 2016, one of the highest rates globally. Over roughly the same period, the average income of South Koreans rose from $120 per year to more than $27,000 in today’s dollars. As South Korea lifted millions out of poverty, the parallel rise of chaebol embedded the conglomerates into the narrative of South Korea’s postwar rejuvenation.

 

시간이 지나면서 재벌은 새로운 산업분야로 확대했으며 수익성이 좋은 해외 시장을 개척해 한국의 동력 엔진에 더 많은 활력을 제공했다. 수출은 1961 GDP 4%에서 2016년까지 40%이상 성장해 세계 최고 성장률을 이룬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대략 같은 기간에 한국인의 평균 수입은 1 120달러에서 현재 27,000달러까지 상승했다. 수 백만 명이 가난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재벌의 동반성장은 대기업들을 한국의 전후 회복의 기술에 끼어 넣게 되었다.


 

How did democratization and the 1997 financial crisis impact them?

민주화와 1997년 금융위기는 재벌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South Korea’s democratic transition in the late 1980s had important but limited effects on the chaebol system. Democratization fostered the formation of strong labor unions, which fought for higher wages,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an unraveling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haebol. Reforms in the early 1990s introduced nominal improvements in economic governance and paved the way for South Korea to jo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owever, throughout this period, the nexus between government and big business remained largely unchanged.

 

1980년대 후반 한국의 민주화 이행은 중요했지만 재벌 체제에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다. 민주화는 더 높은 임금, 더 나은 근무 환경, 그리고 정부와 재벌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해체하기 위해 투쟁했던 강성 노조의 결성을 촉진시켰다. 1990년대 초의 개혁은 경제 지배구조에 있어 이름뿐인 개선을 가져왔고 한국이 세계무역기구와 경제협력개발 기구에 가입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러나 이 기간 내내, 정부와 대기업 간의 결합 관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On the other hand,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in which countries across the region were hit by plummeting currencies, debt crises, and recessions, tested South Korea’s chaebol-dominated economic model. In the lead-up to the crisis, South Korean banks lent aggressively to chaebol so they could expand into new sectors. Before and after the exchange rate crisis hit, fifteen of the top thirty conglomerates [PDF] were allowed to go bankrupt.

 

반면에, 아시아의 전체 국가가 통화급락, 채무 위기, 그리고 불황이 불어 닥친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는 한국의 재벌지배 경제모델을 실험했다. 금융위기에 다다르자 한국 은행들은 공격적으로 재벌에 대출을 해주었다. 그래서 재벌들은 새로운 분야로 사업을 확대했다. 외환위기가 불어 닥친 전후로 상위 30개 대기업 중 15개 대기업이 파산이 허용되었다.

 

In December 1997, South Korea agreed to a more than $50 billion international bailout package, a record amount at the time. As a condition of the rescue, led by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eoul instituted reforms intended to weaken the chaebol system, including new corporate transparency measures and cuts to government subsidies. More broadly, the bailout required major economic adjustments: reducing government deficits, restructuring insolvent financial institutions, and liberalizing trade and foreign investment.

 

1997 12월 한국은 당시 사상 최대 규모인 500억달러 이상의 국제 구제금융에 합의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주도하는 구제 조건으로 한국 정부는 새로운 기업 투명성 조치와 정부 보조금 삭감을 포함하는 재벌 체제를 약화시키기 위한 개혁을 실시했다. 보다 광범위하게 말하면, 구제금융은 정부적자 축소, 부실 금융기관 구조조정, 무역과 외국인 투자 자유화와 같은 주요 경제 조정을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

 

How close are chaebol to the government?

재벌과 정부는 어느 정도 긴밀한가?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chaebol have long had a symbiotic relationship. Many leaders in Seoul have equated the success of the chaebol with South Korea’s postwar prosperity. “The large conglomerates and Korean econom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olitics and the culture and history,” says Rhyu Sang-young, a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in Seoul.

 

한국 정부와 재벌은 오랫동안 공생관계를 유지했다. 한국의 많은 지도자들은 재벌의 성공을 한국의 전후 번영과 동일시 했다. 연세대 유상영 교수는 "대기업과 한국 경제는 정치, 문화와 역사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라고 말한다.

 

“The large conglomerates and Korean econom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olitics and the culture and history.”

 

대기업과 한국 경제는 정치, 문화와 역사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Rhyu Sang-young, Yonsei University

 

Today, some politicians look to chaebol for financial support during campaigns and often tout chaebol economic successes as national ones. Meanwhile, the chaebol lobby for favorable legislation and public policy. Critics say the tight-knit relationship between Seoul and the chaebol has fostered a culture of corruption, in which embezzlement, bribery, and tax evasion have become the standard. “Asking for money from chaebol executives in return for political favors was considered quite normal until very recently,” Kang Won-taek,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old the Economist.

 

지금도 일부 정치인들은 선거 운동을 하는 동안 재벌에게 재정적 지원을 위해 재벌에 기대하고 있으며 종종 재벌의 경제적 성공을 국가적 성공으로 과대 선전하고 있다. 한편, 재벌들은 우호적인 입법과 공공 정책을 위해 로비를 한다. 비평가들은 한국 정부와 재벌 사이의 매우 긴밀한 관계가 횡령, 뇌물 수수, 세금 탈루가 흔한 부패 문화를 조장했다고 말한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이코노미스트에 "정치적 특혜를 대가로 재벌 임원들에게 돈을 요구하는 것은 아주 최근까지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말했다.

 

The cozy relationship between chaebol and government has increasingly roused the public’s ire. In recent decades, South Korea’s economic growth has dropped from near double digits to around 3 percent, while chaebol have gone global and moved many jobs overseas. Chaebol, once seen as instruments of growth, have become financiers for the government and “contributed more to Korean social inequality than to society,” says CFR’s Snyder. 

 

재벌과 정부 사이의 밀월 관계가 대중적 분노를 점점 더 자극하고 있다. 최근 수십 년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거의 두 자릿수에서 약 3%로 떨어졌으며 반면 재벌들은 세계로 진출해 많은 일자리를 해외로 옮겼다. CFR의 스나이더는 한때 성장의 매개체로써 여겨졌던 재벌은 정부 재정의 물주가 되었으며 사회보다는 한국의 사회적 불평등에 더 기여했다"고 말한다

 

Many top executives have been found guilty of corruption, including leaders from Samsung, Hyundai , Lotte, and SK. Despite their convictions, the businessmen rarely see the inside of a prison for long, if at all; many pay heavy fines instead, receive presidential pardons, or see their jail sentences suspended by the courts.

 

삼성, 현대, 롯데, SK의 대표들을 포함한 많은 최고 경영자들이 부패로 유죄 판결을 받아왔다. 최고 경영인들의 유죄 판결에도 불구하고, 그 기업인들은 수감된다 하더라도 교도소 안에서 오랫동안 보지 못한다. 대신에 많은 기업인들이 대신에 많은 벌금을 내고 대통령 특사를 받는다. 혹은 법원에 의해 그들의 징역형이 집행 정치되는 것을 보게 된다.

 

Public discontent with the chaebol reached a new peak in 2016–17 with the eruption of a massive influence-peddling scandal that led to the ouster of President Park Geun-hye. In April 2018, she was sentenced to twenty-four years in prison and fined almost $17 million for soliciting bribes from many of South Korea’s top chaebol. In a separate investigation, Park’s predecessor, Lee Myung-bak, was arrested in March 2018 on a slew of graft charges, for which he could receive a life sentence.

 

재벌에 대한 대중적 불만은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으로 이어진 거대한 권력남용 스캔들이 드러나면서 2016-17년에 새로운 정점에 다다랐다. 2018 4월에 박근혜는 24년 징역형을 선고 받았으며 한국의 다수의 최고 재벌들로부터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거의 1700만 달러의 벌금을 선고 받았다. 별도의 조사에서, 박근혜의 전임자인 이명박은 종신형을 받을 수 있는 많은 뇌물수수 혐의로 2018년 3월에 체포되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