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더 애틀란틱, 이라크 전쟁 '조작된 정보로 시작된' 전쟁 (3)

더 애틀란틱, 이라크 전쟁 '조작된 정보로 시작된' 전쟁 (3)


- 허술하고 가치없는 의문스러운 정보

- 결함과 조작으로 이루어진 정보

- 보도에만 혈안, 차분한 분석은 없었다

 



기사 바로가기 : http://theatln.tc/2GaWBLW




Braestrup’s perspective acquired renewed relevance as the Iraq War became imminent, then a reality, then a catastrophe. The Tet Offensive had come suddenly and by surprise. In contrast, when the Iraq War began, on March 20, 2003, there had been more than a year of very public buildup. A decision to go to war was not theoretically inevitable but was correctly seen as a fait accompli by officials in Washington, by the Pentagon, and by the press—whatever delicate and facile parsing one might hear from the administration. 


브레스트럽의 견해는 이라크 전쟁이 임박하게 되고 당시에는 현실이었고 그 다음은 재앙이 되면서 새로이 부각된 타당성을 얻었다. 구정공세는 갑자기 그리고 불시에 닥쳤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2003년도 이라크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이미 1년 넘게 대중적인 선전과 조작이 있었다. 전쟁으로 가는 결정은 이미 공론으로 불가피한 것이 아니었지만, 정확히 말하면 백악관의 당국자들에 의해, 국방부에 의해, 그리고 언론에 의해서 기정사실로 보였다. 그리고 우리는 그게 뭐든 정부로부터 허술하고 가치가 없는 분석을 들을 수 있었다. 


Nothing about the fundamentals had changed for the better since Vietnam. War was still war. The White House still insisted on its version of facts, with questionable evidence to back them up. The press corps was larger and more fragmented than it had been in 1968, and the news moved at a faster pace. TV crews didn’t need to wait for an airplane to carry film canisters from Saigon to Tokyo for satellite transmission. Print journalists could write stories that would be published online within minutes. Cable channels aired news programming around the clock, and their reach was global. None of this fostered a spirit of calm analysis. 


베트남 전쟁 이후 그 어떤 근본적인 원칙의 변화는 없었다. 전쟁은 여전히 전쟁이었다. 백악관은 아직도 사실과 같은 환상을,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의문스러운 증거들로 백악관 방식으로 주장했다. 언론은 1968년보다 더 거대해지고 더 분열되어 있었으며 뉴스는 더 빠른 속도로 전달되었다. TV 종사자들은 위성전송을 위해 사이공에서 도쿄로 필름통을 휴대하고 비행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졌다. 활자 언론인들은 몇 분 안에 온라인으로 출간하게 될 이야기를 작성할 수 있었다. 케이블 채널은 24시간 내내 뉴스 프로그램을 방송했으며 도달 범위는 전세계적이었다. 이 중 그 어느 것도 차분한 분석정신을 조성하지 못했다. 


Unlike in Vietnam, few of the reporters who went to Iraq were military veterans. Many came to the war without much relevant experience. It wasn’t just Iraqi culture that was unfamiliar. In an experiment, the Pentagon allowed some 600 journalists to embed with military units. Soon after arriving in Iraq, Michael Kelly wrote back about an orientation briefing for the embeds where the colonel in charge had to explain certain realities to a reporter from Japanese television, who wanted to know if instead of a backpack she could bring a roller-board suitcase.


베트남전과는 달리, 이라크에 갔던 기자들 중 참전 군인은 거의 없었다. 많은 기자들이 많은 관련 경험 없이 그 전쟁에 왔다. 생소한 이라크 문화만이 아니었다. 실험적으로 국방부는 약 600명의 언론인들에게 군부대 편입을 허용했다. 이라크에 도착한 직후 마이클 켈리는 편입된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오리엔테이션 브리핑에 대해 회고했다. 그곳에서 담당 대령이 일본 방송국의 한 기자에게 특정 현실을 설명해야만 했다. 그 여기자는 배낭 대신에 여행용 가방을 가져올 수 있는지 알고 싶어했다.


The colonel said, “You mean, like in an airport?” 


그 대령은 말씀하시는 것은 공항에서처럼요?”라고 말했다.


“Yes,” the woman replied.


그 여기자는 라고 대답했다.


“Uh, ma’am,” said the colonel, “we’ll be in the desert, which is, uh, sand, so I don’t know about that.”


그 대령은 , 기자님, 우리는 사막에 있을 것입니다. 모래가 있는..그래서 전 뭐라 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If the rap on the media after Tet was that biased reporting turned public opinion sour, the rap on the media after the Iraq War was virtually the opposite: that it had been too slow to subject government claims to scrutiny—indeed, that it had amplified official assessments in advance of the war and given them credibility. There are well-known examples of this, notably concerning the allegations by the Bush administration that Saddam Hussein possesse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e did not.) If you go back and take a look, you’ll also find a note of naive triumphalism, or maybe just premature optimism, in some early reported accounts after the war began.


구정공세 이후 언론에 대한 질책이 편향된 보도로 여론을 부추기는 것이었다면, 이라크 전쟁에서의 언론에 대한 질책은 사실상 정반대였다. , 언론은 정부의 주장을 정밀하게 조사하기에는 너무 느렸다. 언론은 전쟁에 앞서 공식적인 평가를 증폭시켰으며 그 평가에 신뢰성을 부여했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가 사담 후세인이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부시 행정부의 주장에 관한 것이다. (사담 후세인은 대량살상부기를 보유하지 않았다.) 당신이 되돌아가서 살펴 본다면, 전쟁이 시작된 후에 초기에 보고된 일부 설명을 보면 여러분은 또한 순진해 빠진 승리주의 혹은 성급한 낙관주의의 글귀를 발견할 수 있다. 


But the chief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the coverage were the ones present in Vietnam, and present in any war: ignorance, confusion, inexperience, deadlines, excitement, competition, and the reliance, because there was no choice, on sources that may not prove to be trustworthy. (Taken together: an argument, again, for humility.) Even Colin Powell, the secretary of state, had not fully known what was going on—he made the case for war to the United Nations, unaware that some of the evidence provided by his own government was at best flawed and at worst manufactured. But everything could have been on the level, and there’d still be this: Nothing works out as planned (“Mission Accomplished”), even if you think it did.


그러나 무지, 혼돈, 경험부족, 마감 기한, 흥분, 경쟁 및 의존과 같은 보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베트남전 그리고 모든 전쟁에서 나타나는 것들이다. 이유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고 신뢰할 수 있게끔 입증할 수 없는 정보들이었기 때문이다. (종합해 보면, 다시 겸손을 위한 논쟁). 심지어 콜린 파월(Colin Powell) 국무장관조차도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완전히 알지 못했다. 파월 미 국무장관은 부시 행정부가 제공한 몇몇 증거들은 많은 결함이 있고 최악의 조작이라는 것도 모른 체 유엔에 전쟁을 위한 사례를 만들었다. 그러나 모든 것이 합법적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설령 잘 되었다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여전히 계획대로 (“임무완수”) 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In the years after the invasion, with the security situation deteriorating, many news organizations pulled their staffs from Iraq, leaving a dangerous job to reporters for the Post (in particular), the Times, and a handful of other outlets. As the war dragged on, and as reporting got better and better, the real problem with news from Iraq would turn out to be how little of it most Americans ever saw or heard. Across the board, as documented by Pew and others, the percentage of the news hole devoted to the war declined steeply. 


침공 이후 몇 년 동안, 보안이 악화되면서 많은 뉴스 기관들이 이라크에서 직원들을 철수시키며 끌어 냈고, 워싱턴포스트(특히), 뉴욕타임스 및 기타 몇몇 다른 언론의 기자들에게는 위험한 일자리로 남았다. 전쟁이 길어지고 지지부진해지고 보도는 점점 더 좋아지면서 이라크 뉴스에 대한 실질적인 문제는 미국인 대부분이 이라크 전쟁에 대해 거의 보거나 들은 바가 없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Pew)리서치와 기타 여론 조사에 의한 기록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이라크 전쟁에 할애된 기사 지면의 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And yet the body of published work on Iraq, within a few years of its start, would quickly become impressive. Thomas Ricks’s prize-winning Fiasco (2006) went back to square one and looked afresh at how this calamity had come about. (Ricks, a veteran military correspondent who covered the war for the Post, shared an office with me in a castle tower back in Peter Braestrup days.) That same year, the late Anthony Shadid published Night Draws Near, which described the impact of war on the Iraqi people themselves—based in part on reporting for which he’d won a Pulitzer Prize. A year later, the Post’s Rajiv Chandrasekaran produced Imperial Life in the Emerald City. The book is a portrayal of life in the fortified “green zone,” where the U.S. military occupation maintained its headquarters (and an example, too, of coming at a subject a little bit to the side). Starting even before the war, and continuing after, my Atlantic colleague James Fallows weighed in with a series of extraordinary articles—“The Fifty-First State” (which looked ahead to what running Iraq would entail), “Blind Into Baghdad” (which described all the expertise that had been ignored by the Bush administration), and “Why Iraq Has No Army” (which traced the disastrous decision to disband the Iraqi military). The long lead time of a monthly magazine definitely has its drawbacks, but it provides a kind of freedom that short lead times don’t have patience for. In retrospect, it seems only natural that Peter Braestrup ended his career at a quarterly.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전쟁 시작 후 몇 년 사이에 이라크에 관한 출판물은 신속하게 인상적이었다. 토마스 릭스(Thomas Ricks)의 수상작인 피아스코(Fiasco, 실패작) (2006)은 출발점으로 되돌아가 이 재앙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다시 새롭게 조망했다. (릭스는 워싱턴포스트에 이라크 전쟁을 게재한 베테랑 군 특파원이며 피터 브레스트럽의 시절로 돌아가 나와 함께 스미소니언 건물에 있는 사무실을 함께 사용했다.) 그 해 같은 해에 고인이 된 앤소니 샤비드(Anthony Shadid)는 퓰리쳐상을 받은 보도를 기반으로 이라크 국민들에게 이라크 전쟁이 미친 영향을 다룬 밤이 가까이 다가오다’(Night Draws Near)를 출판했다. 1년 후, 포스트의 라지브 찬드라세카란(Rajiv Chandrasekaran)에머럴드 도시에서의 제왕적 삶’(imperial life in the Emerald City)을 출간했다. 이 책은 미군 점령이 본부를 미군 사령부가 있던 요새화된 그린존에서의 삶을 묘사했다. (역시 약간 떨어져서 주제에 다가가는 예). 전쟁이 시작되기 전에 시작해서 전쟁 이후에도 계속된 필자의 애틀란틱 동료 기자인 제임스 팰로스(James Fallows)는 일련의 특별한 기사들을 당당하게 내놓았다. “51번째 주”(The Fifty-First State”) (이라크에서의 작전 수행을 앞서 미리 내다보았던 기사), “바그다드 가리기”(Blind Into Baghdad) (부시 행정부에 의해 무시되었던 온갖 사실을 설명했다), “이라크는 왜 군대를 보유하지 못하는가”(Why Irag Has No Army)(이라크군을 해체하는 형편없는 결정을 추적한 기사). 월간잡지의 긴 리드타임(소요시간)은 그 자체로 명백한 결점을 지니고 있지만 짧은 리드 타임이 참지 못하는 일종의 자유를 제공한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피터 브레스트럽이 3개월만에 직장을 그만 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처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