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더 애틀란틱, 전쟁에서의 언론의 역할 : 베트남전쟁-이라크 전쟁 (1)

전쟁에서의 언론의 역할 : 베트남전쟁-이라크 전쟁 (1)



기사 바로가기 : http://theatln.tc/2GaWBLW

 


 

The Press at War, From Vietnam to Iraq

전쟁에서 언론의 역할, 베트남전에서 이라크전까지

 


The conflicts change, b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the coverage—including ignorance, confusion, and competition—stay consistent.

 

전쟁은 변하지만 무지, 혼란 경쟁을 포함하는 보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변함없이 지속된다.

 

Murphy / Marko Drobnjakovic / AP / Katie Martin / The Atlantic

 

CULLEN MURPHY

 

 MAR 20, 2018



 

양식의 맨 아래

The Iraq War, launched 15 years ago today, always brings another war immediately to mind for me, and did so even when it first began. It’s not that Iraq itself did not loom large. I was an editor at The Atlantic when the war started, and the magazine’s coverage of issues relating to it was intensive and prolonged. Michael Kelly, who for four years was The Atlantic’s editor-in-chief, had covered the previous war against Iraq, in 1991, with courage and distinction. He had witnessed the horrors perpetrated in Kuwait during the Iraqi occupation, and was a strong proponent of military action against Saddam Hussein. Mike embedded with the Third Infantry Division, and was killed during the first weeks of the fighting.

 

15 오늘 시작된 이라크 전쟁은 필자에게 항상 다른 전쟁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이라크 전쟁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에도 그랬습니다. 이라크 자체가 그리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라크 전쟁이 발발했을 당시 필자는 애틀란틱(The Atlantic) 편집장이었으며 전쟁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잡지의 보도는 집중적이고 길었습니다. 4 동안 애틀란틱 편집장이었던 마이클 켈리는 1991 이라크에 대한 이전의 전쟁을 용기와 차별로 취재했었다. 그는 이라크 점령 동안 쿠웨이트에서 자행된 잔혹 행위를 목격했으며,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 대한 강력한 군사적 행동에 대한 지지자였는데, 마이크는 보병 3사단에 배속되어 있다가 전투 주에 전사했습니다.

 

The war that Iraq brought to mind was Vietnam—not because the two wars were intrinsically similar (they were very different) but because questions about the role of the pres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press, arose ferociously from both conflicts. As a young editor in one of my first jobs—at a journal called The Wilson Quarterly, lodged in the red-sandstone Smithsonian Castle on the Mall, in Washington—I worked for a Marine and former New York Times and Washington Post reporter named Peter Braestrup. He knew a lot about Vietnam firsthand, and he had drawn clear journalistic lessons from his experience. While fussing with his pipe or tapping it for emphasis, he was not shy about sharing them. Instilling might be a better word.

 

이라크 전쟁이 떠올리게 전쟁은 베트남 전쟁이었다. 전쟁이 본질적으로 비슷해서가 아니라 (사실 전쟁은 완전히 달랐다)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관한 의문이 전쟁으로부터 격렬하게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필자의 번째 직장 곳인 워싱턴 DC 있는 적벽돌로 만든 스미소니언 캐슬에 입주해 있던 "윌슨 쿼터리(The Wilson Quarterly)"라는 잡지의 어린 편집장으로서 필자는 피터 바레스트럽(Peter Baraestrup)이라는 전직 해병대 출신이자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기자와 함께 일했다. 그는 직접적으로 베트남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었으며 그의 경험에 근거해서 명백한 저널리스트로서의 교훈을 주었다. 파이프로 호들갑을 떨거나 강조하기 위해 툭툭 치면서 그는 그들과 나누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주입이 어울리는 단어일 수도 있다.

 

*  *  *

Peter Braestrup was a Korean War veteran who had been badly wounded in combat and still sometimes discovered tiny shards of metal weeping from his eye. He had been the Post’s bureau chief in Saigon during the Tet Offensive, a coordinated series of surprise attacks launched by the North Vietnamese against U.S. and South Vietnamese targets on January 30, 1968. When I went to work for him, in the mid-1970s, Braestrup was in the midst of writing a monumental book, titled Big Story, about the press coverage of those events.

 

피터 브레스트럽은 전투에서 심하게 부상을 당해 여전히 종종 눈물나게 만드는 작은 금속조각들이 발견되었던 한국전쟁 참전 군인이었다. 그는 1968 1 30일에 북베트남인들이 미국과 남베트남을 목표로 시작된 기습공격인 구정공세(Tet Offensive) 기간 워싱턴포스트 사이공 지부장이었다. 내가 그를 위해 일하기 시작한 1970년 대 중반, 브레스트럽은 빅 스토리(Big Story)라는 제목으로 이 사건들의 언론 보도에 관한 기념비적인 책을 저술하는 중이었다.

 

Not quite a decade had elapsed since Tet, and the conventional wisdom was that reporting by the major newspapers and TV networks had somehow turned an American military victory (however stunned the military had been by North Vietnam’s offensive) into an American psychological defeat—helping to skew public opinion increasingly against the war. Some critics went further: The media had done this willfully, spurred by left-wing, antiwar bias. As the last U.S. helicopters left the embassy compound in Saigon, in 1975, New York Times columnist James Reston acknowledged the argument: “The reports of the press and radio and television are now being blamed for the defeat of American policy and power in Indochina.”

 

구정공세 이후 10년도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사회적 통념은 주요 신문과 TV 네트워크에 의한 보고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 점점 여론을 왜곡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다소 미국의 군사적 승리(미군이 북베트남의 공세에 얼마나 놀랬든 간에)를 미국의 심리적 패배로 바꾸어 놓았다는 것이다. 일부 비평가들은 더 나아갔다. 언론은 반전 편향적인 좌파에 의헤 자극을 받아 고의로 이 일을 했다. 1975뉴욕타임스의 칼럼니스트 제임스 레스턴(James Reston)은 사이공에서 마지막 미국 헬리콥터가 대사관 건물을 떠날 때 "언론과 라디오 및 TV에 관한 보도는 현재 인도차이나에서 미국의 정책과 힘의 패배에 대해 비난을 받고 있다."라는 논쟁을 인정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