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Human Rights)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이야기 (10)-국제사회의 관심과 도움이 절실할 때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이야기 (10)-국제사회의 관심과 도움이 절실할 때


-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 말뿐인 국제사회의 관심

- 책임을 떠넘기지 말아야




For Rhodes, it’s hard enough hearing about the atrocities befalling the Rohingya. Just as frustrating is what he sees as the Trump administration’s failure to respond in a meaningful way. “I understand the impulse to make this about the Obama administration,” Rhodes chided me. “But we’re not in power now.”

 

로즈에게. 로힝야족에게 닥치고 있는 잔혹 행위들에 대해 충분히 듣기란 힘들다. 트럼프 행정부가 의미 있는 방식으로 대응하지 못한 것에 그가 좌절한 것만큼 실망스럽다. "나는 오바마 행정부에 대해 이것이 일으키는 충격을 이해한다"고 로즈는 나에게 핀잔을 주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권한이 없어요."

 

There’s no question the worst wave of violence took place well into Trump’s tenure. His administration was slow to react, and it has sent mixed messages as the months have worn on. Nikki Haley, the U.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was one of the first U.S. officials to warn the Myanmar military against attacking civilians. But in mid-October, after hundreds of thousands of Rohingya had already streamed into Bangladesh, her office released a statement in which she urged “all sides” to end the violence—as if the villagers fleeing their homes were as culpable as the security forces attacking them. In early November, NBC News reported that Tillerson had understood the gravity of the situation only after reading news reports and realizing the violence was much more serious than what his own East Asia bureau had told him.

 

최악의 폭력이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에 자주 발생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트럼프 행정부는 반응이 느렸고 몇 개월이 지났을 때야 비로소 혼합된 메시지를 보냈다. 니키 해일리 유엔 미국 대사는 미얀마 군부에 민간인 공격에 대해 경고한 최초의 미국 관리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10월 중순에 수십만 명의 로힝야족이 이미 방글라데시로 유입된 후, 헤일리 유엔 미국대사관은 모든 당사자들에게폭력을 종식시킬 것을 촉구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마치 집을 나두고 탈출한 모든 마을 사람들이 그들을 공격하는 보안군만큼이나 비난을 받을 만하다는 듯이 발표했다. 11월 초 NBC 뉴스는 틸러슨이 뉴스 보도를 읽고 국무부 동아시아국이 그에게 전달한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는 것을 깨달은 후에야 비로소 상황의 중대함을 알았다고 보도했다.

 

Tillerson visited Myanmar in mid-November, urging the government there to allow a credible investigation into the alleged atrocities. A week later, he formally declared the violence against the Rohingya to be “ethnic cleansing,” and since then, the State Department announced it was imposing sanctions on a top Myanmar general accused of overseeing many of the abuses. Some members of Congress also have prepared legislation to impose sanctions on Myanmar military officials—but it’s not clear how far those proposals will get given resistance from McConnell.

 

틸러슨 국무장관은 11월 중순 미얀마를 방문해서 미얀마 정부에서 잔학 행위 의혹에 대한 신뢰할만한 조사를 하도록 촉구했다. 1주일 후, 틸러슨 국무장관은 로힝야족에 대한 폭력을 "인종 청소"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했고, 그 이후 미 국무부는 다수의 학대를 감독한 혐의로 기소된 미얀마 최고 장군에게 제재를 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일부 미의회 의원도 미얀마 군부 관계자에 대한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입법안을 마련해 놓았지만 그 제안이 맥코넬의 반대를 어느 정도 받을지는 분명하지 않다.

 



A Rohingya woman rests near the Jamtoli refugee camp in Cox’s Bazar, Bangladesh. | Szymon Barylski for Politico Magazine

 

방글라데시 콕스 바자르에 있는 로힝야족 한 여성이 잠톨리 난민촌 인근에서 쉬고 있다.

 

As for Trump, he has yet to say much about the Rohingya tragedy publicly, although the White House said he raises it with counterparts in private settings. In remarks to a gathering of Asian leaders in November, Trump said the U.S. “supports efforts to end the violence” and to “ensure accountability for atrocities committed.” Some Trump critics have even wondered whether Myanmar’s military leaders read Trump’s inflammatory rhetoric about Muslims and refugees as a sign that he would not care if they cracked down on the Rohingya. Regardless of the reason, few in the region are counting on Washington for leadership. China, which has economic interests in Rakhine state, has already tried to fill the vacuum, laying out a broad three-stage strategy to resolve the crisis: a cease-fire; a workable agreement between Myanmar and Bangladesh on how to deal with the refugees; and a long-term plan to alleviate poverty in Rakhine state.

 

비록 백악관은 사적인 환경에서 상대측에게 로힝야족 비극을 제기했다고 발표는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도 아직까지 로힝야족의 비극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11 월에 아시아 지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의 발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폭력 사태를 종식시키기 위한그리고 행해진 잔학 행위에 대한 책임을 확실히 하기 위한노력을 지지한다"한다고 발표했다. 일부 트럼프 비판가들은 미얀마의 군사 지도자들이 이슬람교도와 난민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선동적 수사법을 미얀마 군부가 로힝야족에 대한 탄압을 했는지 신경쓰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로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이유와는 상관없이, 그 지역에서 소수를 제외하고는 어느 누구도 백악관의 지도력을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 라킨 주에 경제적 이익에 관심을 갖고 있는 중국은 이미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폭넓은 3단계 전략을 마련해 놓으며 그 공백을 채우려 하고 있다. 휴전, 미얀마와 방글라데시간에 난민들을 다루는 방법에 관한 실행 가능한 합의, 그리고 라킨 주의 빈곤 퇴치를 위한 장기 계획 등이 그것이다.

 

For the Rohingya, a solution feels out of reach. Many have tried to stick it out in northern Rakhine state. But it’s hard to get food or engage in any sort of livelihood in the area, so Rohingya are still trickling into Bangladesh. Abul Kalam, a 60-year-old farmhand and fisherman who reached Bangladesh on Christmas Eve, told me that the killing wasn’t over. It’s just quieter. “The military has stopped killing by gun,” he said, shaking his head. “Now they use thick sticks and beat people to death. It’s brutal.”

 

로힝야인들에게. 어떤 해결안도 먼산이다. 많은 로힝야인들이 라킨주 북부에서 버틸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식량을 얻거나 그 지역에서의 어떤 생계 수단에도 종사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로힝야인들은 아직도 방글라데시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방글라데시에 도착한 60세의 농부이자 어부인 아불 칼람(Abul Kalam)은 필자에게 살해는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냥 더 조용하다. "군대는 총으로 살해하는 것을 멈췄다"고 머리를 흔들면서, "이제 그들은 두꺼운 막대기를 사용하고 사람들을 죽을 때까지 구타한다. 잔인하다."라고 말했다.

 

Bangladesh and Myanmar have struck a deal on repatriating the Rohingya, but its implementation has been delayed, and almost no one I talked to takes it seriously. One Bangladeshi official said that, realistically, most of the Rohingya refugees will be staying in camps in Bangladesh for the foreseeable future. It’s an extraordinarily heavy lift for Bangladesh, an impoverished, densely populated country prone to natural disasters.

 

방글라데시와 미얀마는 로힝야족 송환 문제를 협의했지만, 합의 이행은 지연되었고, 필자와 대화를 나눈 그 어느 누구도 그 합의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한 방글라데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로힝야족 난민 상당수가 예측 가능한 미래를 위해 방글라데시의 캠프에 머무를 것이라고 말했다. 자연재해에 취약한 가난하고 인구 밀도가 높은 방글라데시에게는 엄청나게 무거운 부담이다.

 

Diphtheria and measles have spread in the camps, and some fear more diseases lurk in waiting. The conditions are likely to get worse during monsoon season. Yet I couldn’t find a single Rohingya who wanted to return to Myanmar anytime soon. The refugees insisted they wouldn’t go back until they are given citizenship and their rights are guaranteed.

 

디프테리아와 홍역이 여러 난민촌에서 확산되고 있다. 일부는 더 많은 질병이 발생할까봐 걱정하고 있다. 몬순 계절에는 조건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필자는 조만간 미얀마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오힝야인 한 명도 찾을 수 없다. 난민들은 시민권이 주어지고 그들의 권리가 보장될 때까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I asked whether there was anything the United States could do, but few Rohingya knew much about America. Some said that the U.S. was “strong” and they hoped that strength would translate to benevolence. Few had heard of Trump. Obama was a more familiar name—some Rohingya called him the American “raja,” or king. But with the challenges the Rohingya face each day, the international debate over their fate seemed worlds away.

 

필자는 미국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는지 물었다. 그러나 로힝야인들은 미국에 대해 많이 알지 못했다. 일부는 미국은 "강하다"고 말하면서 힘이 자비로 바뀔 것이라고 희망했다. 트럼프에 대해 들어 본 사람은 거의 없었다. 오바마는 좀 더 친숙한 이름이었다. 일부 로힝야인들은 오바마 대통령을 미국의 라자”(국왕)라고 불렀다. 그러나 매일 로힝야족들이 직면하고 있는 위험 때문에, 그들의 운명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쟁은 세상과는 더 멀어진 듯 보였다.

 

“I don’t care about politics overseas,” one Rohingya woman said. “I’m just trying to make sure my family and I survive.”

 

로힝야족의 한 여성은 "나는 해외 정치에는 관심이 없다.”, "나는 단지 내 가족과 내가 꼭 살아남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