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Human Rights)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이야기(7), 오바마 재임 '제재 해제' 이후 더 심각해졌다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이야기(7), 오바마 재임 '제재 해제' 이후 더 심각해졌다


- 오바마 대통령 재임 기간 미얀마 정책 오판으로 로힝야족 학살 더 악화





Obama may have tried to raise sympathy for the Rohingya, but their daily life grew steadily worse during his second term as president.

 

오바마 대통령도 로힝야인들에 대한 공감(연민)을 높이려고 노력은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일상 생활은 오바마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기간에 꾸준히 더 악화되었다.

 

Security forces would often pick up Rohingya men on the flimsiest of pretexts, torturing them and demanding bribes for their release, several people in the Bangladesh camps said. Men could be whisked away for having a cellphone without permission, not informing authorities they’d purchased a goat or simply being somewhere without prior approval. The more educated men, or economically successful ones, seemed to be in extra danger of such state-sponsored abductions. To avoid the hassle of an encounter with the security forces, many Rohingya tried to move around at night. They also tried to avoid their Buddhist neighbors, who frequently aided the security forces in the oppression.

 

보안군은 로힝야인들을 조잡한 구실을 핑계로 종종 잡아가곤 했다. 그리고 고문하고 석방을 위한 뇌물을 요구했다고 방글라데시 난민촌에 있는 몇몇 사람들이 주장했다. 로힝야 남자들은 허락 없이 핸드폰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빼앗길 수 있었다. 그들은 염소를 살 때도 당국에 알리지 못했으며 사전 허락 없이는 어디에도 갈 수 없었다. 많은 교육을 받은 남자들 혹은 경제적으로 성공한 남자들도 그러한 주정부가 지원 하에 납치라는 추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보였다. 보안군과 마주치는 것을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많은 로힝야인들은 밤에 움직이려고 했다. 그들은 또한 불교도 이웃을 피했다. 그들은 억압에 보안군에 종종 협조했다.

 

The security forces often accused Rohingya men of being “terrorist” members of the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the insurgent group behind the August 2017 attacks that triggered the military retaliation. Mohammad Idrees, 30, said he was detained twice and told to confess to nonexistent ARSA ties. “They tied me up and beat the soles of my feet. They threw hot water on me,” he said, tears welling in his eyes. “It didn’t matter what I answered. They beat me either way.”

 

보안군은 종종 로힝야 남자들을 군사보복을 촉발시킨 2017 8월 공격 이후 조직된 민병대인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테러리스트"들이라고 기소했다. 모하마드 이드리즈(Mohammad Idrees, 30)는 두 번 구금되었으며 존재하지도 않는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과의 협력관계를 자백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그들은 나를 묶어 발바닥을 때렸다. 그들은 나에게 뜨거운 물을 부었다"며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그리고 "내가 대답한 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그들은 나를 사방에서 때렸다."고 했다.

 

Armed Rohingya groups have come and gone over the years, though not with the longevity and scale of some of Myanmar’s other armed ethnic groups. ARSA seems to be the latest iteration—a rebel band that emerged in recent years 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Rohingya intensified. The group remains weak, with limited access to weapons—“a dozen guys with swords” is how one U.S. official put it. Even so, Myanmar’s leaders, both civilian and military, say they are alarmed by ARSA’s emergence. The Rohingya I met said soldiers would routinely raid their homes, searching for weapons and confiscating even small kitchen knives. Many Rohingya are angry with ARSA for sparking the latest military crackdown. But some predict that, if their conditions worsen, more will join the group. “It’s not right to use violence, but we have no choice. We are helpless,” said Abdul Mannan, an imam at a mosque in one camp.

 

비록 미얀마에 있는 다른 몇몇 민족 무장 조직의 단체의 지속기간과 규모는 아니지만 수년 동안 로힝야 무장조직이 생겨났다 사라졌다.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은 로힝야족에 대한 차별이 심화됨에 따라 최근 몇 년 사이에 등장한 반란군인 것 같았다. 그 조직은 무기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약하다. 한 미국 관료는 "칼을 든 12 "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얀마의 지도자들은 민간인과 군인 모두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의 출현에 대해 경각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한다. 내가 만난 로힝야인들은 군인들이 다반사로 집을 습격하고 무기를 찾고 작은 부엌칼도 압수해 갔다고 말했다. 많은 로힝야인들은 최신 군대 단속을 촉발시킨 아라칸 로힝야 구세군에 화를 낸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만일 상황이 악화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그 조직에 합류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한 수용소에 있는 이슬람 성직자인 압둘 마난(Abdul Mannan)"폭력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다. 우리는 속수무책이다"라고 말했다.

 

In 2014, the Myanmar government refused to let people register as “Rohingya” in the country’s first nationwide census in three decades. In 2015, an international crisis emerged as thousands of Rohingya trying to flee the oppression were stranded at sea when nearby nations refused to accept them. That same year, Myanmar passed a series of so-called race and religion protection laws that targeted certain Muslim religious and cultural practices, including polygamy. To top it off, the government blocked the Rohingya from voting in the 2015 elections, even though they’d been allowed to cast ballots five years earlier. The decision, activists said, effectively stripped Myanmar’s Rohingya of their last political right.

 

2014년 미얀마 정부는 30년 만에 전국 최초의 인구조사에서 "로힝야"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2015 년에, 억압을 피해 탈출하려던 수천 명의 로힝야인들이 인근 국가들이 그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을 때 바다에 갇혀 죽임을 당하면서 국제 위기가 일어났다. 같은 해 미얀마는 일부 다처제를 포함한 특정 무슬림 종교적 문화적 관습을 겨냥한 일련의 이른바 인종 및 종교 보호법을 통과시켰다. 게다가 미얀마 정부는 5 년 전에는 투표가 허용되었었지만2015년 선거에서는 로힝야족 사람들에게 투표권을 차단했다. 활동가들은 그 결정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미얀마의 로힝야족의 마지막 정치적 권리를 박탈했다고 말했다.

 



Filling the Hours Limited schooling, including in religion, is available for Rohingya refugee youth. | Szymon Barylski for Politico Magazine

 

시간 보내기. 로힝야 난민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종교 활동을 포함해 제한적인 학교 수업이 전부이다.

 

During Obama’s second term, as Myanmar was supposedly transitioning to democracy under the watchful eye of the United States, a growing number of researchers started using the terms “ethnic cleansing” and “genocide” to describe the Rohingya’s plight—both because of the physical violence they suffered as well as the legal and political repression they faced. By 2015, the British-based International State Crime Initiative declared that the Rohingya were facing the “final stages” of genocide.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other Western powers avoided using similar labels; declaring a genocide in theory comes with legal obligations to intervene. Meanwhile, the U.S. pressed ahead with the rapprochement.

 

오바마 대통령의 2기 임기 동안, 미얀마가 소위 미국의 감시하에 민주주의로 옮겨가면서, 점점 더 많은 연구원들이 그들이 직면한 정치적 법적인 탄압뿐만 아니라 그들이 고통받은 신체적 폭력 때문에 로힝야족의 곤경을 묘사하기 위해 "인종청소" "대량학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직면 한 법적 정치적 억압뿐만 아니라 고통을 겪었습니다. 2015년까지 영국에 기반을 두고 있는 국제국가범죄연구(International State Crime Initiative)는 로힝야족이 대량학살의 "최종 단계"에 직면하고 있다고 선언했다. 오바마 행정부와 다른 서방 국가들은 비슷한 칭호 사용을 회피했다. 이론적으로 대량학살을 선언하는 것은 개입할 법적 의무가 따른다. 한편 미국은 화해를 강행했다.

 

It was also during Obama’s second term that Ben Rhodes took a greater role in the Myanmar portfolio. Rhodes, whose title of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er for strategic communications belied his vast influence with the president, was the administration’s fiercest advocate of engagement with rogue regimes—not just with Myanmar but also with Cuba and Iran. He made détente with Myanmar a personal mission, overseeing the administration’s messaging and negotiating policy with other officials involved. By 2016, Rhodes was arguing that Obama should remove the remaining economic sanctions on the country. “The people sanctioned in Burma were the richest people in Burma,” Rhodes said. “The sanctions, in our assessment, were punishing ordinary Burmese.”

 

벤 로드스(Ben Rhodes)가 미얀마 보고서에서 더 큰 역할을 한 것도 오바마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였다. 로드스는 전략적 대화를 담당하는 국가안보 보좌관이 대통령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미얀마뿐만 아니라 쿠바와 이란과 같은 불량 정권들과의 관계에 대한 오바마 행정부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였다. 그는 미얀마와 데탕트를 개인적 임무로 삼아 행정부의 메시지을 관장하고 관련된 다른 관료들과 정책을 협상했다. 로드스는 2016년까지 오바마 대통령이 미얀마에 대한 남아 있는 경제제재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버마에서 제재를 받는 사람들은 버마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었다."라고 로즈는 말했다. "우리의 평가에서 제재는 평범한 버마인들을 벌하고 있었다."

 

So in that final year of Obama’s presidency, administration officials and rights activists found themselves in a more intense replay of the 2012 sanctions debate—pitting Rhodes and the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against State Department human rights officials and outside rights campaigners. This time, the stakes were higher: Obama was considering lifting economic sanctions on military-linked entities and terminating the nearly two-decade-old U.S. declaration of a “national emergency” with respect to Myanmar. That “national emergency” declaration was the legal basis on which many of the sanctions were crafted and implemented. By the time of the Four Seasons party, after Obama had indicated he would take both those steps, feelings on both sides were more than a little sore. 


그래서 오바마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해에 행정부 관리들과 권리 운동가들은 로드스와 국무부 인권 관리관과 외부 권리 운동가들에 대한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국과 맞서며 2012년 제재 논쟁과 같은 치열한 재연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이 당시 위험은 더 높아졌다오바마 대통령은 미얀마 군부와 관련된 실체들에 대한 겨어제 제재들을 완화와 미얀마에 대한 미국의 거은 20년된 낡은 "국가 비상사태선언을 종식시키려고 고려하고 있었다. "국가 비상사태선언은 많은 제재가 기획되고 이행되는 법적 기반이었다포시즌 파티 당시에 오바마 대통령은 두 단계를 모두 취할 것이라고 말한 후 양측의 감정이 상당히 상했다.


(Thanks in part to Congress, some notable restrictions on the U.S. relationship with Myanmar remained in place, including an arms embargo and limits on military-to-military ties.)


(의회에 부분적으로 감사의 뜻을 전하며, 무기 금수 조치와 군대 간 관계에 대한 제한을 포함하여 미얀마와 미국의 관계에 관한 몇 가지 주목할만한 제한은 계속 유지되었다.)

 

"During their patrols, the security forces would sometimes grab “the more beautiful girls,” some of the women said, and take them to a nearby school for an hour or two to rape them."

 

"순찰을 하는 동안 보안군은 때때로 더 아름다운 소녀들을 붙잡아 가곤 했다고 그 여성들은 말했다. 그리고 그 소녀들을 강간하기 위해 한 시간 혹은 두 시간 동안 근처 학교로 여자 아이들을 데리고 갔다."

 

On October 9, 2016—just two days after Obama revoked the “national emergency” order—Rohingya insurgents attacked several Myanmar border posts, killing at least nine guards. As Obama went ahead with unraveling sanctions, Myanmar’s security forces went after the Rohingya. After an initial crackdown that displaced at least 87,000 people, the armed forces started showing up in villages to raid homes practically every day, Rohingya in the Bangladesh camps said. During their patrols, the security forces would sometimes grab “the more beautiful girls,” some of the women said, and take them to a nearby school for an hour or two to rape them. Other times, they’d gather many of the village women in one place, separate the prettier ones, and strip them of their scarves so that they could better see their figures. One woman I met grabbed her own breasts and pulled up her shirt to describe the way the Myanmar security forces would grope them.

 

오바마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 명령을 철회 한 지 불과 2일 후인 2010 10 9, 로힝야 저항 민병대가 미얀마 국경지대 초소 몇 군데를 공격해서 최소 9명의 경비병을 살해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제재조치를 풀기 시작했다. 미얀마의 보안군은 로힝야족을 뒤쫓기 시작했다. 최소 87,000명이 쫓겨난 초기의 탄압 후에 무장 세력들이 거의 매일 마을에 나타나서 주택들을 급습하기 시작했다고 방글라데시 난민촌에 있는 로힝야 사람들이 말했다. 순찰을 하는 동안 보안군은 때때로 더 아름다운 소녀들을 붙잡아 가곤 했다고 그 여성들은 말했다. 그리고 그 소녀들을 강간하기 위해 한 시간 혹은 두 시간 동안 근처 학교로 여자 아이들을 데리고 갔다. 다른 때는 마을의 많은 여성들을 한 곳에서 모아 놓고 더 예쁜 여자들을 분리하고 그들의 모습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카프를 벗겼다. 필자가 만난 한 여인이 자신의 가슴을 움켜 잡고 미얀마 보안군이 자신들을 더듬었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셔츠를 끌어올렸다.

 

There was no fighting back.

 

싸우지 않았다.

 

“We didn’t say a word,” said Arifa Begum, 46. “They’d slit our throats.”

 

아리파 베굼(46)우리는 한 마디도 못했어요라며, “그들은 우리의 목을 베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