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Human Rights)

버마의 또 다른 '잊혀진 전쟁'(1)

버마의 또 다른 '잊혀진 전쟁'(1)


- 전세계 주목 받는 로힝야족 탄압에 가려진 또 다른 전쟁

- 버마와 중국 접경 산악지역 카친주 정부군과 카친 해방군간의 내전

- 인도주의적 지원 물품 차단되어 고립된 민간이 구호 어려워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rdueE3

 



Burma’s ‘forgotten’ war

버마의 잊혀진 전쟁

 

By Emma Richards | 2nd May 2018 | @EmmaRichards85

 


Civilians in Kachin State, Burma, fleeing fighting in the Injangyang area, April 27, 2018. Source: Twitter - @MarkCutts

2018 4 17일 버마 카진 주 시민들이 인얀양지역에서의 전투를 피해 피난을 가고 있다.

 

MUCH attention has been placed on the human rights record of Burma (Myanmar) in recent months as the military crackdown on Rohingya Muslims rightly dominates the headlines. But while the eyes of the world have been trained on northern Rakhine State, Burma’s other conflicts have been raging almost unnoticed.

 

로힝야 무슬림에 대한 버마 군부의 군사적 집중단속이 헤드라인을 장식하면서 최근 수 개월간 버마(미얀마)의 인권 기록에 많은 이목을 받았다. 그러나 북부 라킨 주에 세계의 이목에 익숙한 나머지 버마의 다른 갈등은 거의 주목을 받지 않은 체 격렬해지고 있다.

 

The fighting in Burma’s northern borderlands is one of the world’s longest-running civil wars, with the powerful Kachin Independence Army (KIA) rebel group and Burma’s army locked in conflict since the 1960s. Despite making it a flagship of her election campaign, a national peace process led by de facto leader Aung San Suu Kyi has stalled.

 

버마의 북부 국경지대에서의 전투는 1960년대 이후 지금까지 강력한 카친 해방군(KIA, Kachin Independence Army) 조직들과 버마 군부가 갈등을 겪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고 있는 내전 중 하나이다. 아웅산 수지 여사의 선거운동의 핵심으로 삼았는데도 불구하고 사실상 지도자인 그녀의 주도하에 있는 국가적 평화 과정은 지연되어 왔다.

 

The conflict in Kachin and northern Shan states feel like a forgotten war. The conflict there is unlikely to create an international refugee crisis and the Kachin, unlike the Rohingya, are among the country’s 135 officially recognised ethnic groups so their citizenship is relatively secure. But the underlying concerns and characteristics of Burma’s military approach are the same – human rights abuses, impunity and blockages of aid.

 

카친과 북부 샨 주의 충돌은 잊혀진 전쟁처럼 느껴진다. 그곳에서 벌어지는 갈등은 국제 난민 위기를 일으킬 것 같지 않다. 카친은 로힝야족과 달리 버마의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135개의 민족 중 하나이다. 그래서 그들의 시민권은 비교적 안전하다. 그러나 버마의 군사적 접근법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와 특성은 인권 침해, 무처벌 및 원조 봉쇄와 동일하다.


 

“The embattled civilian population in Kachin State should not be forgotten amid the dire humanitarian situation facing the Rohingya,” Human Rights Watch Asia director Brad Adams said in a statement.

 

인권감시담의 아시아 담당자인 브래드 아담스는 성명서를 통해 "로힝야족이 직면하고 있는 끔찍한 인도주의적 상황 속에서 카친 주에서의 궁지에 몰린 시민들이 잊혀져서는 안된다라고 밝혔다.

 

“Both the Burmese army and the KIA should do everything possible to ensure that aid reaches civilians in need.”

 

"버마군과 카친 해방군 둘 다 원조를 받아야 하는 시민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Escalating civil war

가속화되는 내전

 

While sporadic fighting has continued in the region since the breakdown of a ceasefire seven years ago, rights groups say the army has stepped up its campaign while global attention focuses on the Rohingya crisis, which has seen almost 700,000 people flee to Bangladesh. The fighting in Kachin escalated significantly in mid-January and has been especially intense in Tanai and Sumprabum townships.

 

7년 전 휴전협정이 실패한 이후, 산발적인 전투가 그 지역에서 계속 되고 있지만 인권 단체들은 전세계의 관심이 거의 70만 명이 방글라데시로 탈출한 로힝야족 위기에 집중되면서 버마군이 군사작전을 진행해왔다고 주장한다. 카친에서의 전투는 1월 중순에 크게 늘어나 특히 타나이와  섬프라범 거주 지역에서 격렬했다.

 


The United Nations says more than 5,000 people have fled in the last three weeks and many civilians remain trapped in conflict zones, unable to escape. People fleeing the fighting are now sheltering in local churches, existing displacement sites, or staying with host families where they have received initial humanitarian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organisations.

 

유엔은 지난 3주간 5,000명 이상이 탈출했으며 많은 민간인들이 탈출할 수 없는 분쟁 지역에 갇혀있다고 말한다. 전투를 피하는 사람들은 현재 현지 교회들, 기존의 실향민촌에 은신하거나 정부와 지역 단체들로부터 처음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아온 민박 가정과 함께 지내고 있다.

 


Those numbers do not include some 15,000 people who have fl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year, and more than 90,000 living in camps in both Kachin and Shan states after being displaced in the years of conflict, which has included the use of heavy weapons and airstrikes by the military.

 

그 숫자에는 올해 초부터 탈출한 약 15,000명의 사람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중화기와 군의 공습이 이루어진 올해의 충돌로 인해 살던 곳을 나온 후 카친과 샨 주에 있는 난민촌에 9만 명 이상이 살고 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