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Human Rights)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이야기(6) 미얀마 '민주화 인사들의 태도'가 더 큰 문제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이야기(6) 미얀마 '민주화 인사들의 태도'가 더 큰 문제


- 오바마 행정부, 미얀마 민주화 인사들의 태도에 더 실망

- 질병과 열학한 난민촌 환경에 시달리는 로힝야인들

- 미얀마의 빈 라덴 같은 인물들의 선동과 폭력사태

- 반-무슬림 설교로 바이러스처럼 반-로힝야 감정 확산





During the second half of 2012, as life improved for many of the people of Myanmar, the Rohingya’s already tenuous standing took an ugly hit.

 

2012년 하반기 중간에 미얀마의 상당수 국민의 삶이 향상되면서 로힝야인들의 보잘것 없는 입지는 더욱 나빠졌다.

 

In June, a few months before Obama would make his first visit to the country, tensions between the Rohingya and the Rakhine Buddhists exploded after three Muslim men were blamed for the rape and murder of a Buddhist woman. Villagers and vigilantes from both sides staged riots and fought each other, but as time went on, according to human rights groups, security forces stood aside or even joined in when the Buddhists attacked Muslims. In July, as Obama made the sanctions easing official, Thein Sein suggested that not only did Myanmar not want the Rohingya, but that they should be resettled in any third country “willing to take them.” A second wave of violence that year became more organized and more directed at the Rohingya. According to Human Rights Watch, on October 23, thousands of Rakhine Buddhist men “armed with machetes, swords, homemade guns, Molotov cocktails, and other weapons descended upon and attacked Muslim villages in nine townships throughout the state. State security forces either failed to intervene or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violence.”

 

오바마 대통령의 미얀마 첫 방문 몇 달 전인 6월에, 로힝야족과 라킨 불교도들 사이의 긴장이 무슬림 세 명의 남성이 불교도 한 여성을 강간하고 살해한 혐의로 비난을 받은 후 폭발했다. 인권단체의 의하면 양측 진영의 마을 주민들과 자경단원들은 폭동을 일으켜 서로 싸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불교도들이 무슬림들을 공격했을 때 보안군은 방관했고 심지어는 그 공격에 참여하기도 했다. 7월에 오바마 대통령이 제재완화를 공식화하면서 테인 세인은 미얀마가 로힝 야족을 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받아 들일 의사가 있는" 3국 어느 나라든 재정착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 해 두 번째 폭력의 물결은 로힝야족에 더 조직적이고 보다 더 노골적이었다. 인권감시단에 의하면 1023마체테(칼의 종류), , 수제 총, 모로토프 칵테일 및 그타 무기들로 무장한수천 명의 라킨 불교도들이 라킨 주 전체 9개 도시에 무슬림 마을로 내려와 공격했다. 라킨 주 보안군은 그 폭력사태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거나 참여하지 못했다."

 

In other countries emerging from dictatorship, lifting the government’s heavy hand has led to dramatic explosions of ethnic violence. In Iraq after the 2003 U.S. invasion, it was Sunni versus Shia Muslims, with minority Christians a target, too. In Indonesia, as pressure grew on the dictator Suharto to step down in 1998, ethnic Chinese minorities became the target of riots. “When transitioning to democracy, political actors want to be popular, so they’ll inflame certain passions,” noted Thomas Carothers, a leading authority on political transitions.

 

독재정권에서 부상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에서 정부의 위압적인 태도를 없애는 것은 급격히 늘어나는 인종적 폭력으로 이어져왔다. 2003년 미국의 침공 이후 이라크에서 수니파 대 시아파 무슬림들이 소수 기독교인들이 목표물로 삼았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독재자 수하르토(Suharto) 1998년에 사임 압박을 커지면서 중국 소수민족이 폭동의 대상이 되었다. "민주주의로 전환할 때, 정치적 행위자들은 대중적이 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특정 열정을 불러일으키려고 할 것이다."라고 정치적 전환기의 주도적인 권위자인 토마스 캐로더스(Thomas Carothers)는 지적했다.

 

"Some in the administration took to calling Myanmar “Oburma,” a recognition of how important it was to the president."

 

"미 행정부의 일부 인사는 미얀마를 오바마 대통령에게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 차원에서 "오버마라고 불렀다고 했다."

 

In Myanmar, one of the loudest anti-Rohingya voices was that of Ashin Wirathu, a monk dubbed by critics the “Buddhist bin Laden.” Wirathu took advantage of the increased freedom of speech and access to social media, delivering anti-Muslim sermons at rallies and warning that the Rohingya were trying to Islamify Myanmar. “We are being raped in every town, being sexually harassed in every town, being ganged up on and bullied in every town,” Wirathu was quoted as telling the Guardian, claiming: “In every town, there is a crude and savage Muslim majority.”

 

미얀마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반로힝야족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 중 한 사람이 아신 위라투(Ashin Wirathu) 였다. 위라투는 높아진 언론의 자유와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을 이용하여 집회에서 반-무슬림 설교를 하며 로힝야족이 미얀마를 이슬람화하려고 했다고 경고했다. "우리는 모든 마을에서 강간 당하고 집단폭행 당하고, 괴롭힘을 당한다라며, 위라투는 가디언지에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모든 마을에 거칠고 흉포한 무슬림들이 다수 있다."

 

In Washington, U.S. officials watched the 2012 violence with varying degrees of alarm. One U.S. official recalled arguments over whether to call the fighting “communal”—blaming all sides and thus striking a more neutral tone—or, as the violence increasingly appeared to be one-sided, “anti-Muslim.” There was also uncertainty about how to deal with the rise of voices like Wirathu’s. “We had a lot of conversations about how to counter that kind of speech and putting pressure on the government to crack down on the incitement,” Willett said. “But when you are at the same time advocating free speech and expansion of media, it’s kind of a difficult line to walk, you know?”

 

백악관에서 미국 관료들은 다양한 공포로2012년 폭력사태를 목도했다. 한 미국 당국자는 폭력 사태가 점점 더 일방적인 "반이슬람교도"와 보였기 때문에 그 전투를 "공동"이라 부르며 양측 모두를 비난하고 더 중립적인 분위기로 만들지에 대한 논쟁을 상기시켰다. 위라투와 같은 목소리를 어떻게 다룰지에 대해선 여전히 불확실했다. "우리는 그러한 연설에 대처하고 정부에 선동을 엄중 단속하라는 압박을 가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윌렛이 말했다. "알다시피 그러나 동시에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확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걷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Myanmar’s leaders responded to the 2012 violence in Rakhine state by creating a series of camps for displaced persons. To this day, some 120,000 Rohingya are confined to those facilities, which U.N. officials describe as so squalid that parts of them are “literally cesspools.”

 

미얀마의 지도자들은 쫓겨난 사람들을 위한 난민촌을 만들면서 라킨주의 2012년 폭력사태에 대응했다. 오늘날까지 약 12만 명의 로힝야인들이 그 시설에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유엔 관계자의 말에 의하면 너무 지저분해서 그 시설의 일부는 "말 그대로 풀숲이라고 설명한다.

 

“The conditions in the Rohingya camps were awful. People were living in mud. You saw people with diseases who clearly needed medical attention,” said Dan Baer, a former deputy assistant secretary in the State Department’s human rights bureau who visited Rakhine state in September 2012 to better understand the violence. Baer was struck in particular by the dehumanizing way the Rakhine Buddhists discussed the Rohingya, and how many said they would never again live alongside people who were once their neighbors. He worried that if the viral hatred wasn’t addressed, more violence lay ahead: “What we saw was a powder keg ready to go off.”

 

"로힝야족 난민촌 캠프의 조건은 끔찍했다. 난민들은 진흙 속에서 살고 있었다. 의료 문제가 분명히 필요한 질병을 가진 난민들을 보았습니다."라고 폭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2012 9월 라킨 주를 방문한 국무부 인권국 댄 베어(Dan Baer) 전 부차관보가 말했다. 베어는 특히 라킨 불교도가 로힝야족에 대해 논의할 때의 비인간적인 방법에 아연실색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한 때 그들과 이웃이었던 사람들과 절대 함께 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바이러스처럼 퍼지는 증오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더 많은 폭력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리가 보았던 것은 이미 터질 준비가 된 화약통이었다."

 



Health in the Camps They may have escaped Myanmar’s military, but now the Rohingya face danger from diseases in crowded refugee camps. The spread of diphtheria, a bacterial infection that can hamper breathing, has been especially alarming; the illness had previously been nearly eradicated in Bangladesh. Aid workers are pushing vaccination and other health campaigns, with a special focus on children. But as the rainy season approaches, the threat of disease is likely to rise. | Szymon Barylski for Politico Magazine

 

난민수용소에서의 건강. 미얀마 군대로부터 도망을 쳤지만 지금은 비좁은 난민촌에서 질병의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호흡을 방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 감염인 디프테리아의 확산은 특히 아주 위험하다 그 질병은 방글라데시에서 거의 근절되었다. 국제 구호단원들이 특히 아이들에 맞추어 백신과 다른 의료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기가 다가오면서 그 질병의 확산 위협은 높아질 것이다.

 

As they urged their counterparts in Myanmar to stop the mistreatment, the Americans began to grasp another reality: The Rohingya simply had no popular support in the country—in fact, persecuting them was popular. Most shocking was the attitude of some of the pro-democracy activists the U.S. had backed for so many years. Suu Kyi, for example, viewed the Rohingya as political poison, and she wouldn’t utter their name—at least not in public—for fear of damaging her base of support. Others in her sphere—many of whom, like Suu Kyi herself, hail from Myanmar’s ethnic Bamar majority—could be outright racist when discussing the Rohingya.

 

그들은 미얀마에 있는 그들의 상대에게 부당한 대우를 중단하라고 촉구하면서 미국은 또 다른 현실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간단히 말해 로힝야족은 미얀마에서 대중적인 지지를 받지 못했다. 사실 그들을 박해하는 것이 너무 일반적이었다.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미국이 오랫동안 지지하고 후원해온 민주화 운동가들의 태도였다. 예를 들어 수키 여사는 로힝야족을 정치적 독소라고 보았다. 그녀의 지지기반이 손상되는 것을 우려해 최소 공개적으로는 아닐지라도 로힝야족이라는 이름을 언급하려고 하지 않았다. 로힝야족에 관해 논의할 때, 미얀마의 다수민족인 바마(Bamar)족의 출신인 수키 여사 자신처럼 같은 진영의 상당수 사람들은 노골적인 인종차별주의자가 될 수 있다.

 

“It’s hard to explain this,” a former State Department official said, “but if you go inside Burma and ask almost anyone you meet about the … Rohingya, and they feel they’re not being recorded or whatever, they will say almost all the same thing: that they’re terrorists, that they’re dirty, that they don’t belong to our country. It is shocking.”

 

국무부의 한 관계자는 "이것을 설명하기는 어렵다"면서 "하지만 만일 버마에 가서 만나는 거의 사람에게 로힝야족에 관해 물어보면, 그들이 기록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테러리스트이고, 더럽고, 우리나라에 속하지 않는다 라고 거의 똑 같은 말을 할 것이다. 그것은 충격적이다."

 

But the spasms of violence in 2012 did not lead Obama to scrap his November visit; there were just too many positive changes in Myanmar, which had become Exhibit A in the administration’s case for engaging adversaries. Some in the administration took to calling Myanmar “Oburma,” a recognition of how important it was to the president. Even the ethnic strife seemed manageable, with Myanmar officials taking just enough steps to ease U.S. concerns. For instance, at the urging of Samantha Power, a National Security Council official and genocide scholar who later became Obama’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Thein Sein agreed to what became known as the “11 commitments,” a set of benchmarks related to Rakhine state and other human rights and democracy-related challenges in Myanmar.

 

그러나 2012년 폭력의 발생은 오바마 대통령의 11월 방문을 취소시키지 못했다. 미얀마에 긍정적인 변화가 너무 많았다. 미얀마는 적대국에 관여하기 위한 증거물 1(Exhibit A)가 되었다. 미국 행정부의 일부는 미얀마를 오버마라고 불렀다. 그것은 오바마 대통령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지표였다. 심지어 그 인종간의 분쟁은 미얀마 당국자들이 미국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한 충분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관리가 가능한 것처럼 보였다. 예를 들어, 국가안보회의 관료이자 오바마 대통령의 유엔 대사가 된 인종학살 학자인 사만다 파워(Sanantha Power)의 주장에서 테인 세인은 라킨 주와 다른 인권 및 미얀마에서의 민주주의 관련 위험들을 포함한 일련의 기준인 "11가지 약속"에 합의했다.

 

As the commitments were unveiled during Obama’s much ballyhooed six-hour visit in November 2012, Thein Sein’s gesture raised hopes that the rapprochement was worth pursuing. Fresh off his reelection, Obama, the first sitting U.S. president to visit Myanmar, praised its democratic reforms and called for more. “Reforms launched from the top of society must meet the aspirations of citizens who form its foundation,” he said in remarks at the University of Yangon. “The flickers of progress that we have seen must not be extinguished.”

 

2012 11월 지나치게 요란스러웠던 오바마 대통령의 6시간 방문 기간에 그 약속이 밝혀지면서 테인 세인은 화해를 추구할 가치가 있다는 희망을 제기했다. 미얀마를 방문한 최초의 현직 미국 대통령인 오바마 당선자는 재선을 위해 미얀마의 민주개혁에 찬사를 보냈고 더 많은 것을 요구했다. "사회의 정상에서 시작된 개혁은 근간을 이루는 시민들의 열망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양곤 대학교에서 발언했다. "우리가 보았던 진전의 깜박임은 점멸되어선 안 된다."

 

To his credit, Obama also named the group that must not be named. “There is no excuse for violence against innocent people,” he said. “And the Rohingya hold themselves—hold within themselves the same dignity as you do, and I do.”

 

오바마 대통령은 그의 발언에서 이름을 밝히지 말아야 하는 집단을 지명했다. “무고한 사람들에 대한 폭력에 변명은 없다"고 그는 말했다. "그리고 로힝야족은 여러분과 내가 그러하듯 스스로 존엄성을 지켜야 합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