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Human Rights)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대량 인종 학살 - 열악한 환경과 배고픔 (3)

[연재] 폴리티코, 로힝야족 대량 인종 학살 - 열악한 환경과 배고픔 (3)


-아웅산 수지 여사의 등장과 로힝야족에 대한 차별



The dire circumstances of 1.1 million Rohingya might not have been a deal-breaker when it came to U.S. engagement with Myanmar. But the fate of one woman was.

 

110만 명 로힝야족 사람들의 열악한 환경은 미국의 미얀마 참여에 걸림돌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한 여성의 운명은 걸림돌이었다.

 



Starting Over Rohingya Muslims feel more free to practice their faith in Bangladesh than in Myanmar. Above, a man helps build a mosque at the Balukhali camp. | Szymon Barylski for Politico Magazine

 

다시 시작 - 로힝야족 무슬림들에게 미얀마에서보다 방글라데시에서의 종교활동이 더 자유롭다고 생각한다. 위 사진에서 한 남자가 발루크할리 난민촌에서 이슬람 예배당을 짓고 있다.

 

Suu Kyi, a slender, elegant politician often called simply “The Lady,” is the daughter of Aung San, a beloved nationalist leader who played a key role in negotiating what was then Burma’s independence from Britain in the late 1940s before he was assassinated. In 1962, while Suu Kyi was based in India with her diplomat mother, a military coup overthrew the Burmese government and ushered in a long period of oppression. The junta silenced dissent and pursued a mix of isolationism, nationalism and socialism that deepened the country’s poverty. The military leaders also engaged in a brutal civil war against an array of armed ethnic groups that displaced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Eventually, the junta changed Burma’s name to Myanmar, partly as a break from its colonial past, and embarked on bizarre projects like carving a new capital out of the jungle deep in the country’s interior.

 

종종 여사”(the Lady)라고 불리는 날씬하고 우아한 아웅산 수키는 암살되기 전 1940년 대 말 영국으로부터의 버마 독립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랑을 듬뿍 받은 민족주의자인 아웅산(Aung San)의 딸이다. 1962년 아웅산 수키는 외교관 어머니와 함께 인도에 거주하고 있을 당시 군사 쿠데타로 버마 정부는 전복되었다. 그리고 오랜 기간 억압을 겪었다. 군부는 반대파를 억압했고 버마의 빈곤을 심화시킨 고립주의, 민족주의 및 사회주의의 혼합을 추구했다. 군부 지도자들은 또한 수십만 명의 인민을 쫓아낸 무장 민족집단에 맞서 잔인한 내전에 들어갔다. 결국, 군부는 버마를 미얀마로 바꾸었다. 부분적으로는 식민시대의 과거로부터의 단절이었다. 그리고 내륙 깊은 정글 속에서 새로운 수도를 세우는 기이한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In 1988, Suu Kyi—by then living in Britain with her husband, whom she had met while studying at Oxford University, and their two children—returned to Myanmar to care for her ailing mother. Within months, the high-profile daughter of Aung San had become a leader in the country’s pro-democracy movement, helping establish a new political party,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and demanding more rights and freedoms through massive demonstrations. In July 1989, the junta put Suu Kyi under house arrest. The next year, with Suu Kyi still detained, the NLD won resoundingly in a general election, but the military refused to give up power.

 

당시까지 옥스퍼드 대학에서 공부하며 만나 그들 사이에 두 아이를 낳고 남편과 함께 영국에 거주했던 수키 여사는 1988년 병든 어머니를 보살피기 위해 미안마로 돌아왔다. 수개월 만에 아웅산의 유명한 딸은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새로운 정당, 민주주의를 위한 국민 연맹(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창당하고 대규모 시위를 통해 더 많은 권리와 자유를 요구했다. 1989 7월 미얀마 군부는 수키 여사를 가택연금 했다. 여전히 수키 여사가 구금된 상태인 그 다음 해에 NLD가 총선에서 완승을 했다. 그러나 군부는 권력 포기를 거부했다.

 

Suu Kyi’s peaceful resistance to the government, which kept her under some form of arrest for 15 of 21 years, made her an international hero and endeared her to Western leaders. U.S. officials, who began increasingly using sanctions to penalize the junta for its anti-democratic actions, based much of their policy toward Myanmar on how Suu Kyi and her party were treated. For example, in 2003, after an alleged junta-backed attack on Suu Kyi’s motorcade, followed by her re-arrest, Congress passed new sanctions. Then-U.S. President George W. Bush called the punishment “a clear signal to Burma’s ruling junta that it must release Nobel Peace Laureate Aung San Suu Kyi, along with all other political prisoners, and move down the path toward democracy.”

 

21년 중 15년 구속상태로 만든 그녀의 평화로운 대정부 저항은 아웅산 수키를 국제적인 영웅으로 만들었으며 서방 세계 지도자들을 사로잡았다. 미국 관료들은 미얀마 군부의 반민주적 조치들에 대해 군부에 처벌을 가하기 위해 제재를 점차 사용하기 시작했다. 미국 당국자들은 미국의 상당수의 정책들은 수키 여사와 소속 정당이 어떻게 대우를 받는지에 기반했다. 예를 들어, 2003년 수키 여사의 차량 행렬에 대한 군부 배후 공격에 이어 다시 체포된 후 미국 의회는 새로운 제재들을 통과시켰다. 당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그 제재를 "다른 모든 정치사범들과 함께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 수키 여사를 석방하고 민주주의로 나아가 야 한다는 버마의 지배 군부에게 보내는 분명한 신호"라고 말했다.

 

Many scholars argue, however, that Myanmar’s central challenge—and the key to understanding it—is not about democracy, but whether the country can overcome its mind-boggling number of ethnic and religious conflicts. For decades, the central government and military, both dominated by the country’s largest ethnic group, the Bamar (or Burman), have battled an array of militias—sometimes thousands strong, often in uniform—fighting for the rights of the country’s various ethnic groups. Much of the fighting occurs along Myanmar’s borders with China and Thailand, resource-rich areas where some ethnic groups, such as the Kachin and the Kayin, control significant territory.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미얀마의 핵심 도전 과제이자 그것을 이해하는 열쇠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미얀마가 상상이 안 되는 인종적 종교적 충돌을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수십 년 동안 가장 큰 민족 집단인 버마(혹은 버먼)인들에 의해 지배를 받은 중앙정부와 군부는 수 천명의 군복을 입고 강력한 민병대-미얀마의 다른 민족 집단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민병대-와 종종 전투를 해왔다. 대부분의 전투는 미얀마와 국경을 접한 중국과 태국 및 카친(Kachin)과 카이인(Kayin)과 같은 일부 인종 집단이 중요한 지역을 통제하는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I feel burning pain when I think about my family. But I fear if I go back, even to look for their bodies, I will be killed.”

 

나는 가족을 생각하면 불에 타는 듯한 고통을 느낀다. 만일 되돌아가면, 시신을 찾기 위해 되돌아 간다 해도 살해될까 봐 두렵다.

 

But even within Myanmar’s complex patchwork of ethnic and religious identities, the Rohingya stand apart. They are uniquely hated—singled out for their Muslim faith and dark, South Asian features. Many people in Myanmar view the country, which is nearly 90 percent Buddhist, as a critical bastion for Buddhism in a region where Islam has been spreading for centuries. And they see the Rohingya as malevolent interlopers out to upend those demographics—suspicions fueled by the perception that the Rohingya have unusually high birthrates. Myanmar’s leaders do not count the Rohingya among the nation’s 135 officially recognized ethnic groups. Most refuse even to use the term “Rohingya”; to do so would give legitimacy to a people most Burmese insist are illegal migrants from what is now Bangladesh. But the more pressure they’ve faced, the more the Rohingya have clung to the label.

 

그러나 미얀마의 복잡한 민족적-종교적 정체성 혼재 속에서도 로힝야족은 분열하고 있다. 그들은 이슬람 신앙과 검은 피부, 남아시아의 특징들 때문에 찍히고 유례없이 증오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얀마의 많은 사람들은 거의 90%가 불교도인 미얀마를 이슬람교가 수세기 동안 퍼져 있던 지역에서 불교를 위한 중요한 보루라고 여기도 있다. 그리고 그들은 로힝야족을 비정상적으로 높은 출생률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으로 인해 인구 통계학을 뒤엎는 악의적인 침입자라고 보고 있다. 미얀마의 지도자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전국적으로 인정된 135개 인종그룹 중 로힝야족을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대부분은 심지어 "로힝야"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거부한다.. 그렇게 하는 것은 버마인들이 현재 방글라데시에서 불법 이민자라고 주장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합법성을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그들이 직면한 압박이 크면 클수록 로힝야족은 그 명칭에 더 많이 집착해왔다.

 

The exact origins of the name, and the people, are disputed. The Rohingya say many in their community can trace their roots in Myanmar back centuries to when Rakhine, a long strip of land on Myanmar’s western coast, was an independent kingdom. Other Rohingya ancestors are said to have migrated there during the colonial days, when the British encouraged migrants from British India to move to Burma. Muslims were at times favored by the British, earning resentment from Buddhists. World War II also exacerbated communal tensions in Rakhine state, as Muslims largely sided with the British while many Buddhists sided with the Japanese.

 

명칭과 그 민족의 정확한 기원은 논란의 대상이다. 로힝야는 미얀마의 서부 해안에 있는 긴 땅인 라킨(Rakhine)이 독립적인 왕국이었던 수 세기를 거술러 올라가 미얀마에서의 자신들의 뿌리를 추적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다른 로힝야 사람들은 버마로 이주하도록 영국령 인도의 이주민들을 부추긴 식민지 시대에 이주했다고 한다. 영국인들은 때때로 무슬림들에게 호의적이었으며 그리하여 불교 신자들의 분노를 샀다. 또한 2차 세계대전이 많은 불교도들이 일본인 편에 서 있는 동안 무슬림들이 영국인들 편을 들었기 때문에 라킨 주에서의 공동 긴장을 악화시켰다.

 

After the 1962 military coup, the junta launched a long campaign of oppression against the Rohingya that escalated at times into violent military crackdowns, with hundreds of thousands of Rohingya fleeing to Bangladesh. A 1982 law effectively stripped the Rohingya of their citizenship, and further laws and regulations restricted the group’s ability to marry and have children. Today, after years of junta and Buddhist propaganda, the Rohingya are loathed by most people in the country. In impoverished Rakhine state, the Rohingya also are frequent targets of their neighbors the Rakhine Buddhists, another ethnic minority that faces discrimination from the Bamar. Some Rakhine Buddhists aspire to expel all Rohingya Muslims from their state and gain more independe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1962년 군사 쿠데타 이후, 군부는 수십만 명의 로힝야족 사람들이 방글라데시로 탈출하게 만든 폭력적인 탄압을 강화해 로힝야족에 대한 장기적인 탄압 작전을 착수했다. 1982년 로힝야족에게서 시민권을 박탈하는 법을 발표했고, 더 나아가 법률과 규정에 따라 결혼 및 아이를 가질 수 있는 권리도 제한했다. 현재, 군부와 불교도의 선전이 이어진 몇 년이 지난 지금 로힝야족 사람들은 미얀마의 대부분의 국민들의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 가난에 찌든 라킨 주에서 로힝야족 사람들은 또한 버마로부터 차별을 받는 또 다른 소수민족인 그들의 이웃 라킨 불교도의 빈번한 표적이 되고 있다. 일부 라킨 불교도들은 라킨 주에서 모든 로힝야족 무슬림들을 추방하고 중앙정부로부터 더 많은 독립을 얻으려고 한다.

 



Fighting Hunger Rohingya refugees regularly line up at food distribution points in the camps in Bangladesh to wait for packages of rice, lentils and other staples. The U.N.’s World Food Program provides the bulk of the rations—and the United States has donated millions of dollars for food relief—but local groups also step in to donate edibles. Still, malnutrition is common among the Rohingya, many of whom led impoverished lives in Myanmar. | Szymon Barylski for Politico Magazine

 

배고픔과의 싸움. 로힝야 피난민들은 정기적으로 방글라데시 난민촌에 있는 식량배급 장소에서 줄을 서서 쌀과 콩(렌틸콩), 그리고 다른 식품을 받기 위해 대기한다. 유엔세계식량기구가 대부분의 배급 식량을 제공한다. 미국이 수백만 달러의 식량 원조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단체들 또한 먹을 수 있는 식량을 기부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로힝야인들에게 영양실조가 흔하며 그들 중 대다수는 미얀마에서 아주 가난한 생활을 했다. 

 

Many Rohingya have been persecuted for so long that they have no memory of anything else. When I traveled through the camps in Bangladesh, I met a woman named Gulfaraz, who estimated her age as 85. Gulfaraz was among the Rohingya who fled to Bangladesh in the late 1970s during a crackdown the Myanmar military called “Operation Dragon King.” She eventually returned to Myanmar. In the violence in 2017, she saw several of her relatives shot dead in her village by security forces who shouted: “You’re Bengalis! Go back to your own country! Leave this place!”

 

많은 로힝야족 사람들은 다른 어떤 것들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너무 오랫동안 박해를 받아왔다. 필자가 방글라데시에 있는 캠프를 다녔을 때, 필자는 85세로 추정되는 걸프라즈(Gulfaraz)라는 여성을 만났다. 그 여성은 미얀마 군부가 용왕작전(Operation Dragon King)”이라고 칭한 엄중단속 기간인 1970년 대 말 방글라데시로 탈출한 로힝야족 사람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결국에는 미얀마로 돌아왔다. 2017년 폭력 사태에서 그녀는 그녀의 친척 중 몇 명이 "너희들은 벵골인이야! 너희 나라로 돌아가! 이 곳을 떠나!"라고 외친 보안군에 의해 마을에서 총에 맞아 살해된 것을 보았다.

 

“I’ve thought of myself as Rohingya since I was a child,” she said on Christmas Day. “I feel burning pain when I think about my family. But I fear if I go back, even to look for their bodies, I will be killed.”

 

성탄절에 그녀는 나는 어렸을 때부터 내 자신을 로힝야족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하며, “나는 가족을 생각하면 불에 타는 듯한 고통을 느낀다. 만일 되돌아가면, 시신을 찾기 위해 되돌아 간다 해도 살해될까 봐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