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Human Rights)

[연재] 폴리티코, 미얀마 로힝야족 대략학살에 직면-미국은 파티중이었다 (2)

[연재] 폴리티코, 미얀마 로힝야족 대략학살에 직면-미국은 파티중이었다 (2)



기사 바로가기 : http://politi.co/2FdZfwP




Washington, D.C., was having a party.

워싱턴 D.C는 파티 중이었다

 

On September 15, 2016, America’s political and business elite gathered at the Four Seasons in Georgetown to honor Aung San Suu Kyi, Myanmar’s beloved icon of democracy, on her visit to the U.S. capital. Suu Kyi, a Nobel Peace Prize winner who had spent years under house arrest for resisting Myanmar’s military junta, had seen her party win a surprisingly free election in 2015 and was now the country’s de facto civilian leader.

 

2016 9 15일 미국의 정치인들과 기업 엘리트 계급은 미국을 방문한 미얀마 민주주의의 상징인 아웅산 수 키를 환영하기 위해 수도 조지타운 사계절(Four Seasons) 호텔에 모였다. 군부 독재자에 저항해서 가택연금을 수년 간 받은 노벨 평화상 수상자 수키는 2015년 놀라운 자유선거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지금은 미얀마의 사실상의 시민 지도자가 되었다.

 

The day before the Four Seasons bash, Obama had pledged to do away with the last major economic sanctions on Myanmar—the final big step in a rapprochement that had begun in 2009 and included a significant easing of sanctions in 2012. Sitting next to Suu Kyi in the Oval Office, Obama cited the progress the country had made toward democracy. Scrapping sanctions, he said, “is the right thing to do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eople of Burma see rewards from a new way of doing business and a new government.” In her speech the following evening, Suu Kyi urged businesses to invest in Myanmar to help its people as well as its nascent political transition. “We have to prove that democracy works, and what will prove that democracy works is a visible and sustainable improvement in the lives of our people,” she said. The mood in the room was giddy: Halfway across the world, democracy was on the march.

 

포시즌스 파티가 열리기 바로 전날, 오바마는 2009년에 시작해서 2012년에 상당한 제재 완화를 포함하는 화해의 마지막 큰 걸음인 미얀마에 대한 마지막 주요 경제 제재를 없애기로 약속했다. 대통령 집무실의 수지 바로 옆에 앉아, 오바마는 미얀마가 민주주의를 향해 이룩한 발전을 언급했다. 제재를 해제하면서 오바마는 미얀마 국민들이 새로운 사업 방식과 새로운 정부를 통해 보상을 받도록 하기 위해 하는 것은 옳은 일이라고 말했다. 다음 날 저녁 아웅산 수키는 연설에서 미얀마의 초기 정치적 전환뿐만 아니라 미얀마 국민들을 도울 수 있도록 기업들이 투자해 줄 것을 촉구했다. 수키는 "민주주의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고, 민주주의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은 우리 국민들의 삶에 가시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선이라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 집무실의 분위기는 어지러울 정도로 아찔했다. 지구 반대편의 미얀마는 민주주의가 진군 중이었다.

 

But not everyone in the crowd was optimistic. Tom Malinowski, the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believed Myanmar’s military still controlled too many levers of power to merit clearing sanctions. Malinowski had spent a good deal of time in 2016 pushing back against Obama administration colleagues who wanted the sanctions gone—marking the latest battle in a larger internal struggle over Myanmar policy that had intensified over the previous seven years. On one side was Malinowski’s bureau at the State Department, which worried the U.S. opening was moving too fast; on the other was the State Department’s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which was happy with the rapid pace of the rapprochement, and Ben Rhodes, the influential Obama aide known for pushing the narrative that America should engage rogue regimes in hopes of changing their behavior. Ultimately, Obama had sided with the Rhodes camp.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낙관적인 것은 아니었다. 민주주의, 인권, 노동을 위한 국무부 말리노프스키 차관보는 미얀마 군부가 여전히 너무 많은 권력을 통제해서, 제재를 해제할 없다는 믿음이 확고했다. 말리노프스키는 2016년에 많은 시간을 제재 해제를 원했던 오바마 행정부 동료들과 맞서왔다. 이것은 지난 7 동안 강화된 미얀마 정책에 대한 내부 갈등 상태에서의 최근 충돌을 보여준다. 한쪽은 미국의 제재 해제가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어 걱정스러워 했던 국무부의 말리노프스키 부서가 있었다. 다른 쪽은 빨라지는 화해속도에 만족스러워하는 국무부의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부서와 로즈(Ben Rhodes) 있었다. 로즈는 불량정권의 행동을 변화시킬 있다는 희망으로 그들 정권에 관여해야 한다는 담론을 추진한 것으로 유명한 영향력 있는 오바마 측근이었다. 오바마는 궁극에는 로즈 캠프의 손을 들어주었다.

 



Desperate Circumstances The sheer number of people and the limited infrastructure have led to filthy conditions in the camps. There is almost no privacy. | Szymon Barylski for Politico Magazine

 

절망적인 환경. 엄청난 숫자의 사람들과 한정된 사회 기반시설이 아주 열악한 수용소 환경을 낳았다. 사생활이란 거의 없다.

 

The disagreements confused Suu Kyi, who, even after Obama’s announcement, was receiving mixed messages about just how far the U.S. could and would go in eliminating the economic penalties—a situation made all the more perplexing by the complications of sanctions law. Suu Kyi herself hadn’t always taken a firm position on sanctions, partly because she worried lifting them would benefit Myanmar’s generals, who are major players in the country’s economy. When Suu Kyi saw Malinowski at the Four Seasons, she asked for some clarity on the U.S. debate. “She was like, ‘What the hell? What’s going on here? What’s the reality?’” Malinowski recalled. “I said, ‘Look, at this point there’s not much more I can say. So whatever it is that you want us to do, you need to make that clear to the White House.’”

 

이와 같은 의견충돌은 아웅산 수키를 혼란스럽게 했다. 아웅산 수키는 오바마의 발표 이후에도 경제적 제재를 해제할 있을 가능성과 해제하려는 의지 사이의 거리가 너무 혼돈된 메시지를 받고 있었다. 제재법의 복잡성으로 인해 더욱 난처해진 상황이 되었다. 아웅산 수키 자신도 제재에 대해 항상 확고한 입장을 취하지는 않았다. 이유는 아웅산 수키는 제재를 해제하는 것이 미얀마 경제의 주요 인물들인 미얀마의 군부 장성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수키가 시즌즈에서 말리노프스키를 만났을 , 그녀는 미국 논쟁의 명확성(미국 정부의 정확한 입장표명) 요청했다. 말리노프스키는 "그녀는 마치 '도대체 뭐야? 여기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야? 현실이 뭐지?' 라고 생각하는 같았다."라고 회상하며, "나는 '지금 상황에서는 내가 있는 말이 그렇게 많지 않다. 그래서 미국이 무엇을 하기를 원하든지 간에, 백악관에 그것을 분명히 필요가 있다.' 라고 말했다."

 

Suddenly, Scot Marciel, the U.S. ambassador to Myanmar, interrupted the conversation, apparently worried that Malinowski was assuring Suu Kyi some sanctions could stay in place. Marciel, a proponent of clearing as many sanctions as possible, tried to cut off the discussion, telling Suu Kyi that it was too late to reverse the president’s decision, according to Malinowski’s recollection. (Marciel confirmed he was there, but declined to share details other than to say, “At that point, the president had already made his decision and announcement on lifting of sanctions.”) It was a heated moment, enough so that others in the room noticed before things calmed down.

 

갑자기 스콧 마르시엘(Scot Marcie)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가 대화에 개입했고 말리노프스키가 수키에게 약간의 제재 조치가 유지될 있다고 분명히 했다. 말리노프스키의 기억에 따르면, 가능한 많은 제재 조치를 해제하자는 제안자인 마르시엘은 대통령의 결정을 번복시키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수키에게 말하면서, 토론을 중단하려고 했다. (마르시엘은 현장에 있었음을 확인시켜 주었지만 그때는 오바마 대통령이 이미 제재 해제에 대한 결정과 발표를 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방의 다른 사람들은 상황이 진정되기 전에 알아 차릴 있는 충분한 열띤 순간이었다.

In the end, Obama fulfilled his pledge. In the final months of 2016, as he prepared to make way for Donald Trump, Obama went about as far as he legally could to scrap economic sanctions on Myanmar in hopes of spurring an economic and democratic flowering.

 

결국 오바마 대통령은 그의 공약을 이행했다. 2016 마지막 동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위해 길을 닦을 준비를 하면서, 오바마는 경제적, 민주주의적 꽃을 피우게 하려는 바람으로, 합법적으로 미얀마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할 있을 만큼 나아갔다.

 

Malinowski and his allies at State weren’t alone in doubting Obama’s decision. As the administration rolled back sanctions in late 2016, Myanmar security forces began murdering Rohingya in a vicious campaign that displaced tens of thousands—and human rights activists were appalled. They worried that Obama was so determined to fortify his legacy of outreach to adversaries that he was ignoring how far from a true democracy Myanmar still was, and how splintered a nation it remained. Some feared that the 2016 violence was a harbinger of far worse to come for the Rohingya.

 

말리노프스키와 국무부 동료들은 오바마의 결정을 다들 의심하고 있었다. 오바마 정부가 2016 말에 제재를 철회하면서, 미얀마 보안군은 수만 명을 추방시키는 잔인한 캠페인으로 로밍야족을 살해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인권 운동가들은 경악했다. 인권 활동가들은 오바마 대통령이 적에게 지원한 그의 업적을 강화하기로 결정해서 그는 미얀마가 진정한 민주주의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었는지와 그것이 남아있는 국가를 어떻게 부숴 버렸는가를 무시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일부는 2016 년의 폭력사태가 로힝야족에게 훨씬 나쁜 조짐이라고 두려워했다.

 

“We kept warning them that with each sanction they lifted, it emboldened the military to commit more human rights abuses.”

 

우리는 그들이 해제한 제재들 때문에 군부가 대담하게 인권침해를 하도록 부추겼다고 그들에게 계속 경고했다."

 

The activists sent letters, arranged grass-roots campaigns and communicated their concerns in meetings with Obama aides. “We kept warning them that with each sanction they lifted, it emboldened the military to commit more human rights abuses,” said Jennifer Quigley, an official with Human Rights First who has extensive Myanmar experience. “And the Rohingya were exceptionally vulnerable, to the point where we warned they could face a genocide.”

 

활동가들은 편지를 보내고 풀뿌리 운동을 준비하며 오바마 측근들과의 만남에서 그들의 우려 사항들을 전달했다. 광범위한 미얀마 활동 경험을 가지고 있는 휴먼라이츠포스트(human Rights First) 소속 제니퍼 퀼리(Jennifer Quigley) 우리는 그들이 해제한 제재들 때문에 군부가 대담하게 인권침해를 하도록 부추겼다고 그들에게 계속 경고했다." 말했다. "그리고 로힝야족은 우리가 그들이 대량 학살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경고할 정도로 유난히 취약하다." 덧붙였다.

Today, as those fears are coming true, Obama-era officials on all sides of the debate have been looking back on the decisions they made, asking themselves if they could have done anything more to prevent Myanmar’s bloody purge. Among the dozens of officials and analysts I spoke to, there’s no real consensus as to what, if anything, went wrong. But there is a sense that Obama administration officials were overly optimistic about what democracy could mean for all the people of Myanmar—that they didn’t understand the special peril Rohingya Muslims faced in a country with such complicated ethnic and religious dynamics. And all said they worry about what will happen to the Rohingya under the presidency of Trump, who has been openly hostile toward Muslims and downplayed human rights in his dealings with other countries.

 

오늘날, 이러한 두려움이 현실화되면서, 오바마 시대의 모든 관계자들은 미얀마의 피의 숙청을 막기 위해 그들이 많은 것을 있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자신들이 했던 결정을 되돌아보고 있다. 필자가 대화를 나눴던 수십 명의 관리들과 분석가들 중에서 어찌되었든 무엇이 잘못 되었는지에 대한 진정한 공감대는 전혀 없다.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 관리들은 미얀마의 모든 국민들에게 민주주의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인 면이 있다. 다시 말해 그들은 그렇게 복잡한 인종적 종교적 역동성을 지닌 나라에서 로힝야족 이슬람 교도들이 직면한 특별한 위험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들 모두는 이슬람교도를 향해 공공연하게 적대적이고 다른 나라들과의 관계에서 인권을 경시해 트럼프 대통령 정부에서 로힝야족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I don’t think anyone would have predicted you could push out 700,000 people,” said Derek Mitchell, who was U.S. ambassador to Myanmar for most of Obama’s second term. “We never felt that there was an imminent danger that required us to forgo a diplomatic engagement approach for a more hostile policy. We didn’t want to get rid of everything over an issue that we didn’t know would actually blow up this bad.”

 

오바마의 번째 임기 대부분을 미얀마의 미국 대사로 지낸 데릭 미첼(Derek Mitchell) "나는 당신이 70 명의 사람들을 쫓아낼 있다고 예상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우리는 적대적인 정책을 위한 외교적 관여 접근방식을 포기하게 만드는 긴박한 위험을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우리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실제로 이렇게 나쁜 상황이 폭발시킨 문제에 대한 모든 것을 없애고 싶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