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로힝야인 배제된 유엔-미얀마의 난민 귀환 MOU 협약

로힝야인 배제된 유엔-미얀마의 난민 귀환 MOU 협약


- 유엔 미얀마 당국 로힝야족 귀환 양애각서 체결 했지만 로힝야인 배제

- 유엔 미얀마 당국 간 체결 비밀리에 이루어져 내용 파악 안돼

- 로힝야인들이 돌아갈 라킨 주 전혀 준비 안돼

- 미얀마 군부의 책임자 처벌 없이 귀환해도 위험

- 미얀마 당국 유엔과의 MOU 이행할지 의문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Mv9zEs

 



Why the UN Deal With Myanmar Ignores Rohingya Realities

 

유엔과 미얀마 정부의 합의가 로힝야인 현실을 무시하고 있는 이유

 

Conditions are nowhere near ready for Rohingya to return in safety and dignity.

 

로힝야인들이 안전하게 인간적 존엄으로 되돌아 갈 준비되어 있는 곳은 전혀 없다

 

By Tun Khin

June 15, 2018



 

Last week, the United Nations and the Myanmar government inked a deal that will supposedly begin the long process of repatria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Rohingya refugees back to their homes. The UN hailed it as “the first step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the conflict in Rakhine.” Aung San Suu Kyi, Myanmar’s state counselor and de facto political leader, said it will “hasten” refugee returns.

 

지난 주, 유엔과 미얀마 정부는 수십만 명의 로힝야 난민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긴 과정을 시작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유엔은 이 협약을 "라킨 주에서의 분쟁의 근본 원인을 밝히는 첫 조치"라고 환영했다. 미얀마 국가고문이자 사실상의 정치 지도자인 아웅산 수지는 미얀마는 난민 귀환을 서두를것이라고 말했다.

 

The rest of the world, however, was kept guessing. The full text of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 signed between the Myanmar government, the UN Refugee Agency (UNHCR) and the UN Development Program (UNDP) — has not been released to the public. Media outlets, NGOs, donor governments, and even other UN agencies have all been kept in the dark.

 

그러나 전 세계는 계속 의심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와 유엔 난민기구 및 유엔개발프로그램 사이에 서명된 양해각서(MOU)의 전체 내용은 아직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 미디어매체, NGO, 기부 정부들 및 심지어 유엔 기구들도 모두 밝히지 않고 있다.

 

This lack of transparency is far from the only red flag raised by the deal.

 

이러한 투명성의 결여는 그 협상으로 불거진 유일한 붉은 깃발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Admittedly, from official UN statements, it is possible to glean some positive aspects, mainly around increased access for UN agencies across Rakhine state. These are areas that have been largely sealed off to the outside world since August 2017, when the Myanmar military launched its murderous “clearance operation,” killing thousands of Rohingya and forcing hundreds of thousands more to flee across the border into Bangladesh. Aid and reconstruction are badly needed for those who remain, something an increased UN presence would benefit.

 

분면히 공식적인 유엔 성명에서 주로 라킨 주 전역의 유엔 기관들에 대한 접근이 증가하는 몇 가지 긍정적인 측면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지역들은 주로 미얀마 군부가 살인적인 "청소 작전"을 개시해서 수천 명의 로힝야인을 죽이고 수십만 명을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탈출하게 만든 2017 8월 이후 외부 세계와는 봉쇄된 지역들이다. 늘어난 유엔의 존재가 혜택을 줄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는 원조와 재건이 절실히 필요하다.

 

But the deal raises far more questions than answers. For one, it was negotiated behind closed doors entirely without involving Rohingya representatives. How can it possibly ensure a safe and dignified repatriation process without involving the very community it concerns? By excluding us Rohingya and dealing only with Naypyida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again sending the message that we are not worthy to be masters of our own destiny.

 

그러나 그 협약은 해결보다는 많은 의문을 야기하고 있다. 그 협약은 로힝야 대표 배석 없이 완전히 비밀리에 협상이 이루어졌다. 걱정하는 바로 그 공동체(로힝야족)를 포함시키지 않고 어떻게 안전하고 존엄 있는 본국 송환 과정을 보장할 수 있을까? 로힝야인을 배제하고 오로지 네피도(Naypyidaw, 미얀마 수도)와 협상을 함으로써 국제 사회는 다시 로힝야인은 그들 자신의 운명의 주인이 될 자격이 없다는 메시지를 다시 보내고 있다.

 

The timing of the deal also makes it difficult not to suspect Myanmar’s motives. The MOU was announced on the same day as Myanmar said it will establish a new commission to “investigate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related issues” in Rakhine state since 2017. The fact that Myanmar did not even mention its own military’s abuses speaks volumes of how credible this investigation will be. Myanmar has a track record of establishing similar commissions at politically opportune times, which have never led to any genuine accountability. The MOU and the commission are likely both attempts to buy some time and goodwill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이 협약의 시기 또한 미얀마의 동기를 의심하게 만든다. 그 양해 각서는 미얀마가 2017년 이후 라킨 주에서 인권 침해와 관련 문제를 조사하기 위한새로운 위원회를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한 깉은 날 발표되었다. 미얀마가 자국의 군사적 남용에 대해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이 조사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지를 말해 준다. 미얀마는 결코 진정한 책임으로 이어지지 않았던 정치적으로 적절한 시기에 유사한 위원회를 설립한 전력이 있다. 양해 각서와 위원회는 시간을 벌기 위한 시도와 국제 사회로부터 호의적 반응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The bigger picture, of course, is that conditions are nowhere near ready for Rohingya to return in safety and dignity as long as the root causes of the crisis remain in place. The risk of violence against Rohingya remains a constant threat, particularly as no one has been held to account for the well-documented atrocities carried out by the security forces and their proxies. Not only have Myanmar’s leaders refused to genuinely investigate these human rights violations, but they have even flat-out denied that they have taken place.

 

물론, 더 큰 그림은, 위기의 근본 원인이 그대로 남아 있는 한 로힝야인들이 안전하고 존엄성 있게 되돌아 갈 준비되어 있는 곳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로힝야인들에 대한 폭력의 위험은 지속적인 위협으로 남아 있다. 특히 미얀마의 지도자들 중 어느 누구도 보안군과 그들 대리인들에 의해 자행된 잘 조사된 잔혹행위에 책임지지 않고 있다. 미얀마의 지도자들이 진정으로 이러한 인권침해 행위를 조사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권침해 행위가 발생한 것조차도 완강히 거부했다.

 

At the same time, the Myanmar authorities are keeping in place a dehumanizing system of repression and segregation against Rohingya across large parts of Rakhine State. Not only are Rohingya essentially denied citizenship under Burmese law, we are also kept separate from other communities. We need special permission to travel, to attend hospitals, and to gain an education – if we are even allowed into schools in the first place.

 

동시에 미얀마 당국은 라킨 주 전역에 걸쳐 로힝야인에 대한 억압과 분리라는 비인간화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로힝야인은 버마 법에 따라 본질적으로 시민권을 거부당할 뿐만 아니라, 우리는 다른 지역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우리는 여행을 하고, 병원에 다니고, 만일 처음에 학교 입학이 허용된다 쳐도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특별 허가증이 필요하다.

 

In Sittwe, the capital of Rakhine state, much of what remains of the Rohingya community is kept in ghetto-like neighborhoods, sealed off from the rest of the town with barbed wire. This discrimination was what drove me to flee Rakhine State in the early 1990s to gain an education, since the authorities would not allow me to attend university simply because I was Rohingya. It has only gotten worse since.

 

라킨 주의 수도인 시트웨에서는 로힝야 지역사회의 상당한 곳이 게토(유령)같은 동네로 유지되고 있으며 철조망으로 도시의 다른 지역과 봉쇄되어 있다. 이러한 차별은 1990년대 초 교육을 받기 위해 필자가 라킨 주를 탈출하게 만든 것이었다. 왜냐하면 당국은 필자가 단지 로힝야인이라는 이유로 대학 입학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더 나빠지기만 했다..

 

It i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latest crisis is just the latest chapter in a long cycle of abuse. In the late 1970s, my parents were forced to flee into Bangladesh along with hundreds of thousands of Rohingya after the Myanmar army launched the brutal “Operation Dragon King,” ostensibly to root out “illegal immigrants.” In the early 1990s, I witnessed similar abuses myself in Rakhine state when yet another military campaign forced another exodus of refugees.

 

또한 최근의 위기는 오랜 폭력의 마지막 장임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1970년대 후반 필자의 부모님은 미얀마 군이 겉으로는 불법 이민자들을몰아내기 위해 잔인한 '드래곤 킹 작전'을 실시한 후, 수십만 명의 로힝야인들과 함께 방글라데시로 피신할 수 밖에 없었다. 또 다른 군사작전으로 난민들의 탈출을 강요했던 1990년 대 초에 필자는 라킨 주에서 유사한 폭력을 직접 목격했다.

 

Myanmar has clung to the same genocidal policies for decades. The only thing that has changed in recent years is that the efforts to eradicate us Rohingya as a people have become more intense than ever before.

 

미얀마는 수십 년 동안 동일한 집단 학살 정책을 고수해 왔다. 최근 몇 년간 바뀐 유일한 것은 유리 로힝야인을 민족으로서 근절시키려는 노력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더 격렬해 졌다는 것이다.

 

Unless the Myanmar authorities are pressured into a fundamental policy shift, any MOUs – no matter how well-inte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will accomplish nothing in the long run. If the repatriation process starts without addressing the fundamental issues plaguing the Rohingya community, the only winner will be the Myanmar authorities who, once again, will have gotten away with their genocidal policies.

 

미얀마 당국이 근본적인 정책 변화로 압력을 받지 않는 다면 국제 사회에 의해 잘 만들어진다 해도 모든 양해각서는 장기적으로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할 것이다. 만약 그 송환 과정이 로힝야 지역 사회 망가뜨리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다루지 않고 시작된다면, 유일한 승자는 다시 한번 미얀마의 집단 학살 정책을 하고 싶은 대로 할 미얀마 당국이 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insist that Myanmar ends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Rohingya. Those responsible for human rights violations must be held to account as a first step to ensure that there is no return to violence. Finally, Rohingya in Rakhine State – both those living there now and future returnees – need a protection guarante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that they are not left at the mercy of the Myanmar security forces. What form this take will need to be negotiated with Rohingya representatives present at the table.

 

국제 사회는 미얀마가 로힝야인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을 종식시킬 것을 주장해야 한다. 인권 침해 행위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폭력으로 돌아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첫 번째 조치로 책임 추궁을 받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과 미래의 귀환자들인 라킨 주의 로힝야인들은 미얀마 보안군에 의해 휘둘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제사회로부터 보호 확약을 받아야 한다. 어떤 형식을 취해야 할지는 협상 테이블에 있는 로힝야족 대표와 협상해야 할 것이다.

 

These demands are non-negotiable – the very future of the Rohingya as a people is at stake.

 

Tun Khin is President of the Burmese Rohingya Organisation UK and a member of the Free Rohingya Coal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