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포린폴리시, 네탄야후 장기집권 생존 위해 '갈등 분쟁' 이용

포린폴리시, 네탄야후 장기집권 생존 위해 '갈등 분쟁' 이용


- 네탄야후는 언제쯤 몰락할까

- 갈등 분쟁 긴장 조장해 지지율 안정시켜

- 인물 없어도 안정적인 생활 위해 네탄야휴 지지

- 독재자 성향 보이는 네탄야후

- 부패하지만 지지할 수 밖에 없어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L71KEl


 

Netanyahu Needs Conflict to Survive

네탄야후, 생존 위해 분쟁 필요

The more Israel’s prime minister escalates tensions, the more his popularity grows.

이스라엘 총리가 긴장을 증대시키면 시킬수록 그의 인기는 올라간다

 

BY DAHLIA SCHEINDLIN

MAY 16, 2018, 3:38 AM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chairs the weekly cabinet meeting in his Jerusalem office on March 25, 2018. (ABIR SULTAN/AFP/GETTY IMAGES)

 

2018 3 25일 예루살렘 집무실에서 주례 내각회의를 하는 이스라엘 벤야민 네탄야후 총리

 

In 2015, Benjamin Netanyahu was elected to a fourth term as prime minister of Israel. Within months, pundits began speculating when his government would fall. So far, the answer has been never.

 

2015년 벤야민 네탄야후 총리는 이스라엘 총리로 4번째 임기에 선출되었다. 몇 달 내에 전문가들은 네탄야후 정부가 무너질 것이라고 예측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그에 대한 답변은 전혀 없다.

 

Netanyahu has faced trouble, including ministerial resignations and police investigations, since shortly after the 2015 elections. Over the last year, the arguments for his imminent demise gathered steam: In February, police recommended that the attorney general indict him for corruption based on investigations in four different cases. The situation in the Gaza Strip festered; the Temple Mount nearly exploded; and the news warned almost nightly of a war with Hezbollah in Lebanon. There has been no progress on Israeli-Palestinian peace since negotiations collapsed in 2014. And at home, a wave of rage against economic hardship and massive social inequality erupted in 2011, when Netanyahu was prime minister as well, yet there has been no relief for the exorbitant cost of living in the seven years since.

 

네탄야후 총리는 2015년 선거 직후부터 장관들의 사퇴 및 경찰 조사를 포함해 난관에 봉착해오고 있다. 지난 해 내내 그의 임박한 종말에 대한 주장은 활기를 띠었다. :2월에 경찰은 법무 장관이 4가지 다른 사건의 조사에 근거하여 네탄야후 총리를 부패 혐의로 기소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가자 지구에서의 상황은 곪을 대로 곪아 악화되었다. 템플 마운트(성전산)는 거의 폭발했다. 뉴스는 레바논의 헤즈볼라와의 전쟁에 대해 거의 매일 밤 보도하며 경고했다. 2014년 협상이 결렬된 이후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평화에는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네탄야후 총리가 수상이었을 때인 2011년에 폭발된 경제적 어려움과 대규모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분노의 물결이 일었으나, 그 이후 7년 동안 터무니 없는 엄청난 생활비에 대한 그 어떤 구호도 없었다.

 

Why then is Bibi more beloved than ever? In 2016, Netanyahu’s Likud party polled at an average of 25.7 seats in the Knesset, Israel’s parliament, lower than the 30 seats it won in 2015 but still ahead of all rivals. Each year, the average has crept upward. When the police recommended indicting Netanyahu, his party’s numbers rose. When U.S. President Donald Trump withdrew from the Iran nuclear deal on May 8, polls gave him the highest numbers in a decade, 35 or 36 seats; one survey was even rumored to predict 42.

 

그러면 왜 비비(Bibi, 네탄야후의 닉네임)는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사랑을 받는 걸까? 2016년 네탄야후의 리쿠드(이스라엘 우익연합)당은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셋에서 2015년 평균 30석보다 낮은 평균 25.7석을 얻었지만 여전히 모든 경쟁 상대들보다 앞서고 있다. 매년 그 평균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경찰이 네탄야후를 기소할 것을 권고했을 때, 리쿠드당은 의원 수는 증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8일 이란 핵협상을 철회했을 때 여론은 10년 만에 최고치인 35석 혹은 36석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여론 조사에서는 42석을 예상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As with so many things in Israel, Netanyahu’s solid support is based on security. In Israel’s political discourse, the word “security” signifies threats from any form of Palestinian violence, whether Qassam rocket fire, Palestinian demonstrations and attempts to cross the Gaza border, or girls wielding scissors. On Netanyahu’s watch, Israel has fought two wars against Hamas and dealt with a wave of stabbing attacks, along with a crisis on the Temple Mount and now the deadly escalation in Gaza.

 

이스라엘에서는 너무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네탄야후의 탄탄한 지지는 안보에 기반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정치적 위기로 인해 안보라는 단어는 카쌈 로케트 발사, 팔레스타인들의 시위 및 가자 국경을 넘으려는 시도 혹은 가위를 휘두르는 소녀들이든 모든 형태의 팔레스타인 폭력으로부터의 위협을 의미한다. 네탄야후의 시계로 보면 이스라엘은 하마스와 두 번의 전쟁을 했고 템플 마운트에서의 위기와 현재의 끔찍한 가자 지구에서의 긴장 가속화와 맞물려 일련의 위협 공격을 상대했다.

 

When violence rises, Israelis vote right. This was the ultimate lesson of the Second Intifada, which brought a Likud leader back to power in 2001 after a short Labor Party term; the left has never won an election since.

 

폭력이 발생하면 이스라엘은 바로 표를 얻는다. 이것이 바로 노동당의 단기 집권이 끝난 2001년에 리쿠드당 지도자를 권력으로 복귀시킨 두 번째 인티파다(아랍인 반란 봉기)의 궁극적인 교훈이었다. 그 이후 좌파는 결코 어떤 선거에서도 승리하지 못했다.

 

Netanyahu has mastered the use of crises to shore up his support.

 

네탄야후는 자신의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그 위기들을 이용하는데 능숙했다.

 

Periodic escalation reminds nearly half of Israeli voters that they are relieved to keep the right in power. Just one-quarter of Israelis even believe peace is possible, and at present fewer than half of Israeli Jews support the two-state solution. The question in their minds is who knows how to manage a security problem, not who can bring peace. One Israeli voter recently told me she appreciates Netanyahu for knowing when to end military escalations. In other words, not only do many centrists and right-wingers not blame him for wars; they laud him for restraint.

 

주기적인 긴장 가속화는 거의 이스라엘 유권자의 절반이 우익이 권력을 유지하는 것이 안심된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스라엘인의 4분의 1만이 평화가 가능하다고 믿고 있으며 현재 이스라엘 유대인의 절반도 안 되는 사람들이 양국 해법을 지지하고 있다. 그들의 마음 속에 있는 의문은 누가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가 아니라 누가 안보 문제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지 하는 것이다. 한 이스라엘 유권자는 최근에 네탄야후가 군사적 긴장을 종식시킬 시기를 알고 있기 때문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말하자면 많은 중도파와 우파가 전쟁을 위해 그를 비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규제(통제) 때문에 그에게 찬사를 보낸다.

 

Regional threats such as Iran, Hezbollah, and the Islamic State are also part of the security issue, but they are more theoretical. Israel has never fought a war with Iran. The last war with Hezbollah was 12 years ago, and there is no Islamic State to speak of in Israel. But in the public mind, they loom large, especially when Netanyahu hammers home the existential threat of Iran at all opportunities (or broadcasts a campaign ad saying the Israeli left will bring the Islamic State to Jerusalem).

 

이란, 헤즈볼라 및 이슬람 국가와 같은 지역적 위협 요소들 또한 안보 문제의 일부이다. 그러나 그 위협들은 보다 더 이론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스라엘은 결코 이란과 전쟁을 해본 적이 없다. 헤즈볼라와의 지난 전쟁은 12년 전이었다. 이스라엘과 대화를 하려는 이슬람 국가는 없다. 그러나 이스라엘 대중의 마음 속에 특히 네탄야후가 모든 기회(혹은 이스라엘 좌파가 에루살렘에 이슬람국가를 데려올 것이라고 말하는 선거 운동 방송들)를 이용해 이란의 실질적 위협을 강조할 때 크게 다가온다.

 

Trump’s withdrawal from the Iran deal was the jewel in Netanyahu’s crown. Whether the deal survives or whether it hinders or helps Iran’s presumed quest for military nuclear capabilities wasn’t truly the point. Netanyahu spoke, and a few days later the most powerful man in the world listened. That’s power.

 

트럼프가 이란과의 협상에서 철수한 것은 네탄야후 정부에게는 왕관의 보석과 같았다. 협상이 생존하느냐, 아니면 이란의 군사적 핵 보유 가능성을 저해하는지, 아니면 도움이 되는지는 전혀 핵심이 아니다. 네탄야후는 말했고, 며칠 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사람이 그 말을 들었다. 그것이 힘이다.

 

It’s also vindication. For eight years, Netanyahu antagonized President Barack Obama. Israelis know the United States is Israel’s best friend; Netanyahu’s defiant attitude was a risky course not only for U.S.-Israeli relations but for Netanyahu’s homefront, too. After the 2015 elections, just one-quarter of Israelis thought U.S.-Israeli relations were good; three quarters rated relations bad or neutral; and Israeli Jews were split on whether Obama or Netanyahu was to blame. Trump’s electoral victory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back on solid ground; colossal policy victories such as pushing Washington to abandon the Iran deal and moving the U.S. Embassy to Jerusalem conveyed to voters that Netanyahu was right all along. He had the grand plan before anyone believed in it.

 

그것은 또한 정당성(지지)이다. 8년 동안 네탄야후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적대적이었다. 이스라엘인은 미국이 이스라엘의 최고의 우방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네탄야후의 도전적인 태도는 미국-이스라엘 관계뿐만 아니라 네탄야후의 국내 거점에도 위험한 과정이었다. 2015년 선거 이후, 이스라엘인의 4분의 1만이 미국-이스라엘 관계가 좋다고 생각했다. 4분의 3은 관계가 나쁘거나 중립적인 평가를 했다. 그리고 이스라엘 유태인들은 오바마나 네탄야후를 비난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트럼프의 선거 승리는 지도자들 간의 관계를 탄탄한 기반 위에 다시 올려 놓았다. 워싱턴이 이란과의 핵 협상을 포기하고 미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는 것과 같은 엄청난 정책 승리는 유권자들에게 네탄야후가 내내 옳았다는 것을 전달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그것을 믿기 전에 그런 큰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There was another side of the foreign-policy scheme. In his fourth term, Netanyahu has made a big show of cultivating other friends beyond the United States or Europe — including India and Azerbaijan — to build economic ties and enhance the country’s regional security interests. The most important, if cryptic, relationship is with Vladimir Putin’s Russia. It’s no accident that Netanyahu met Putin last week between the two strikes against Iranian targets in Syria or numerous times over the last two years as Israel has stepped up attacks of the same nature.

 

외교정책의 또 다른 측면이 있었다. 네탄야후는 4번째 임기에 경제협력을 구축하고 이스라엘의 지역 안보 이익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도 아제르바이젠을 포함한 미국이나 유럽을 넘어서는 다른 우방을 만들어 내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수수께끼 같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러시아와의 관계다. 시리아에 있는 이란 목표물을 두 번 공격한 사이에 혹은 네탄야후 총리가 지난 주 푸틴 대통령을 만난 것과 이스라엘이 같은 성격의 공격을 강화하면서 지난 2년 간 여러 차례 만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It’s too simplistic to say Israelis are distracted by terrorism and escalation away from Netanyahu’s corruption cases. Rather, Netanyahu’s military and diplomatic victories complement and thus burnish his image in domestic politics. Israelis regularly say, sighing, “There’s nobody else.” They mean that on the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scene.

 

이스라엘인들이 테러와 긴장악화로 분산되어 네탄야후의 부패 사건에서 멀어졌다고 말하는 것은 너무 단순하다. 오히려 네탄야후의 군사적 외교적 승리는 국내 정치에서 그의 이미지를 보완하고 그 결과 그에 대한 이미지를 세탁했다. 이스라엘인들은 일반적으로 한숨을 쉬며 "다른 누가 있어"라며 말한다.

 

Very few Israeli coalition governments have survived for a full term; most collapse and lead to early elections. Israel has had 34 coalitions in 70 years. By contrast, Netanyahu’s second government from 2009 to 2013 came close to a full term, and there’s no guarantee his current one will fall before 2019 — which would be close to another full term. Combined with his staying power (nearly 13 years combined, the second longest-serving prime minister), Netanyahu has brought a measure of political stability to Israel.

 

극소수의 이스라엘과 협력하는 정부들은 온전한 임기 내내 생존했다. 대부분은 붕괴되고 조기 선거로 이어진다. 이스라엘은 70년간 34개 협력국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에 2009-2013년 까지 네탄야후의 두 번째 정부는 임기를 마무리했다. 그런데 현 정부는 2019년 이전에 몰락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또 한 번의 온전한 임기를 마칠 것이다. 그의 집권(거의 13, 두 번째 장기 존속 총리)을 아우르면 네탄야후는 이스라엘에 정치적 안정을 가져왔다.

 

But there is a price. By the start of his fourth term, Netanyahu seemed to have unleashed his true self: a cult of personality in style and an increasingly consolidated strongman form of governance in practice.

 

그러나 비용은 있다. 네 번째 임기가 시작되었을 때, 네탄야후는 유행에 따른 개인숭배와 실제로 점점 강화되는 독재자 지배형식의 그의 본 모습을 드러내는 듯 보였다.

 

For a time in early 2016, he held five ministerial portfolios in addition to prime minister, before slowly parceling them out; he still holds the post of foreign minister. His government shut down Israel’s historic public broadcast authority and has heaped policy and legal hardships on a new, reconstituted state-funded news corporation. Meanwhile, Netanyahu enjoys the stalwart support of the country’s highest-circulating newspaper funded by his patron Sheldon Adelson. His government is on a warpath against the Supreme Court and is currently debating a bill that would allow the Knesset to override the court’s right of judicial review.

 

2016년 초에, 그는 총리 외에도 그 직책을 천천히 내놓기 전에 5개의 장관급직을 보유했다. 그러나 네탄야후는 여전히 외무장관직을 맡고 있다. 네탄야후 정부는 이스라엘의 역사적인 공공 방송국을 폐쇄하고 새롭게 재설립된 국영 뉴스 코퍼레이션을 정책과 법적 어려움을 겪으며 만들었다. 한편 네탄야후는 그의 복심인 셀던 애들슨이 자금을 지원하는 전국 최고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신문의 열렬한 지지를 얻고 있다. 네탄야후 정부는 대법원과 전쟁 중이며, 현재 법원의 사법 심사 권리를 코네셋에게 넘기는 법안을 가지고 논쟁 중이다.

 

When Netanyahu wanted a massive deal for the extraction of natural gas, the director of Israel’s antitrust authority and the economy minister resigned in protest, arguing that the arrangement prevented competition and protected a cartel, citing his direct interference. Netanyahu made himself economy minister, which allowed him to activate a special clause to sidestep antitrust regulations. To do that, he was required to consult with a Knesset committee by law. The committee members voted against the clause; he ignored them.

 

네탄야후가 천연가스의 추출에 대한 대규모 협상을 원했을 때, 이스라엘의 공정위(독점 금지법 당국) 위원장과 경제장관을 항의로 사임하면서 그가 직접 개입했다고 말하며 그 준비가 경쟁을 막고 카르텔을 보호했다고 주장했다. 네탄야후는 스스로 경제장관이 되어 공정위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특별 조항을 활성화시켰다. 그렇게 하기 위해 네탄야후는 법에 따라 크네셋 위원회와 상의해야 했다. 위원회 위원들은 그 조항에 반대표를 던졌다. 그는 위원회 위원들을 무시했다.

 

The result of strongman leadership is that people become much less enthusiastic for the foundations of democracy, favoring splashy personal achievements or controversy instead. And the irony of consolidating power is that it harms democracy but simultaneously generates an environment in which one person gets credit for everything going well, reinforcing support for that same leader.

 

독재자의 지도력의 결과로 인해 사람들은 민주주의의 토대를 위한 열정이 훨씬 더 적어지고 대신에 얼룩진 개인적인 업적이나 논쟁을 선호한다. 그런데 권력을 통합한다는 것의 아이러니는 민주주의에 해를 끼치지만, 한 사람이 모든 일에 공로를 인정 받는 환경을 동시에 만들고 바로 그 지도자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게 된다.

 

Such a leader could also be blamed for all bad things. But many Israelis have apparently traded personal economic frustrations for an occasional celebration, be it Israel’s victory in the Eurovision contest or the U.S. Embassy moving to Jerusalem. Voters have lowered their standards on personal integrity in return for domestic tranquility, punctured only by the occasional war that most believe could not have been prevented. And, so the logic goes, it’s better to have Bibi fighting that war — or killing those protesters in Gaza who dare to seek a way out after 11 years of closure — than a despised left-winger.

 

그러한 지도자는 또한 모든 나쁜 것들에 대해 비난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이스라엘인들은 유로비전 대회에서의 이스라엘의 승리 또는 미국 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에서의 승리처럼 가끔 축하 행사에 대한 개인적 경제적 좌절을 분명히 교환했다. 유권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예방할 수 없었을거야 라고 믿는 간혹 전쟁으로만 구멍을 뚫은 국내 안정의 대가로 개인의 특성에 대한 기준을 낮추었다. 그리고 그렇다면 협오하는 좌파보다는 네탄야후가 그러한 전쟁과 싸우게 만들거나 11년간의 폐쇄 후 탈출구를 찾으려는 가자 지구의 시위자들을 죽이는 것이 낫다는 논리가 나온다.

 

Sooner or later, Netanyahu will eventually exit the political stage. But given the way that every crisis reinforces his power, and what his years in power have done to Israel, the pendulum doesn’t look likely to swing in the other direction soon.

 

조만간 네탄야후는 결국 정치무대에서 쫓겨날 것이다. 그러나 모든 위기가 그의 권력을 강화한다는 장식이 주어진다면 그리고 권력을 쥐고 있는 동안 이스라엘이 해왔던 것, 그 추는 바로 반대 방향으로 흔들릴 가능성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