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FPIF, 트럼프 '미국 우선' 정책으로 돌아가라

FPIF, 트럼프 '미국 우선' 정책으로 돌아가라


- 미국 우선 정책, 위협을 가하지 않는 국가에 군사적 행동을 하지 않는 것

- 문 대통령의 평화통일 의지 확고해

- 김정은의 비핵화 의지 강력히 표명

- 미국 우선 정책이 한반도 평화 정착에 도움

- 트럼프 문 대통령 3자 정상회담에 끌어들여야

- 트럼프 볼튼식 외교정책 안돼

- 트럼프, 한반도 통일의지 표명 지지해야



외신 바로가기 : https://bit.ly/2qu8Idk

 

 


The Case for ‘America First’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에서의 미국 우선의 사례

 

"America First" used to mean keeping the military out of countries that don't threaten us. Trump's upended that, but now's the time to bring it back.

 

미국 우선정책은 미군을 미국을 위협하지 않는 국가들 밖에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곤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것을 뒤집었지만 지금이 바로 되돌릴 시기이다.

 

By Geoffrey Fattig, April 11, 2018.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t the White House with Donald Trump (Photo: White House)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Of all the political maxims that Donald Trump has upended since he launched his presidential campaign with a ride down a gilded escalator, perhaps none is more symbolic than the slogan that has come to define his presidency: America First.

 

금빛 도금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대통령 선거를 시작한 이후, 도널드 트럼프가 뒤엎은 모든 정치적 구호 가운데 아마 그의 대통령직을 정의하게 되는 미국 우선이라는 구호보다 더 상징적 인 것은 없을 것이다.

 

For Trump, these words are nothing so much as an expression of aggressive machismo, providing the ideological underpinning to a range of retrograde policy approaches from trade to immigration.

 

트럼프에게 이러한 단어들은 폭력적인 남자다움의 과시의 표현 그 이상도 아니며 무역에서 이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행하는 정책 접근방식들의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제공한다.

 

With the recent appointment of the uber-hawkish John Bolton as National Security Advisor, this list has seemingly expanded to include foreign policy as well. Bolton’s career has been a steady stream of incendiary rhetoric and calls for American military intervention around the globe, most notably as a leading proponent for the disastrous invasion of Iraq in 2003.

 

최근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최고의 매파적인 존 볼튼 임명으로 이러한 목록들은 표면적으로는 외교 정책까지 확대되었다. 볼튼의 이력은 선동적인 수사와 전세계에서 미군의 개입 요구와 같은 꾸준한 흐름을 이어왔다.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2003년 이라크에 대한 처참한 침공에 대해 주도적으로 찬성한 것이다.

 

Ironically, this view is completely at odds with what America First has traditionally implied. Until Trump hijacked the slogan, it had long been associated with an isolationist foreign policy stance. It was first popularized by President Woodrow Wilson during his 1916 re-election campaign, whose slogan boasted of Wilson that “he kept us out of war.”

 

역설적으로 이러한 견해는 미국 우선이 전통적으로 암시해왔던 것과 완전히 다른 것이다. 트럼프가 슬로건을 버리기 전까지 오랫동안 고립주의적 외교정책 입장과 관련되어 있었다. 우드로우 윌슨 대통령의 1916년의 재선 선거에서 처음으로 대중화되었다. 윌슨의 슬로건은 "그가 전쟁에서 우리를 구했다"였다.

 

More famously, the America First Committee was founded in 1940 with the sole purpose of keeping the United States out of the next major war in Europe. The Committee quickly grew into an organization of 800,000 members which represented a wide swath of American society, and whose position influenced official policy until the Japanese attack on Pearl Harbor in December 1941. Indeed, President Franklin Roosevelt himself pledged to keep the U.S. out of the conflict during his campaign for a third term in 1940.

 

더 유명한 것은 미국 제 1위원회(the America First Committee) 1940년에 유럽의 차기 주요 전쟁에서 미국을 지키는 유일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그 위원회는 신속하게 미국 사회의 넓은 범위를 대표하는 80만 명의 회원 조직으로 성장했고, 그 조직의 입장은 1941 12월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할 때까지 공식적인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사실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스스로도 미국을 1940년 세 번째 임기를 위한 선거 기간 동안 전쟁으로부터 미국을 지키겠다고 공언했다.

 

It was into this vein of isolationism that Trump tapped with his own initial use of the “America First” slogan. During the presidential campaign, Trump questioned why the U.S. military was still stationed in countries like South Korea and Japan, and demonstrated skepticism over the utility of NATO.

 

트럼프는 "미국 우선"이라는 슬로건을 처음 사용했을 때 고립주의라는 입장 태도에 빠져있었다.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에 트럼프는 왜 미군이 아직까지 한국과 일본 같은 국가에 주둔하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NATO의 유용성에 대해 회의적임을 강하게 표현했다.

 

According to Michael Wolff’s book Fire and Fury, Trump also seemed reluctant to take action against the Syrian government following a chemical attack that occurred early in his presidency, initially siding with since-departed chief strategist Steve Bannon’s view to “keep the United States out of intractable problems.” (Bannon, it should be noted, also dismissed the possibility of military action against North Korea, and even appeared open to withdrawing the U.S. military from Korea as part of a comprehensive peace agreement.)

 

마이클 울프(Michael Wolff)의 저서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에 따르면, 처음에는 이후 출발한 정책수석 스티브 배번(Steve Bannon)다루기 힘든 문제들로부터 미국을 지킨다는 견해를 지지하면서 트럼프 또한 그의 임기 초에 발생한 화학무기 공격에 따라 시리아 정부에 대한 조치를 마지못해 취하는 것처럼 보였다. (주목해야 할 것은 배넌은 북한에 대한 군사 행동의 가능성을 일축하고 심지어는 포괄적인 평화협정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미군철수 입장도 보였다.)

 

An Extremely Delicate Moment

매우 신중해야 할 순간

 

Bolton’s appointment threatens to take the notion of America First in an entirely different direction at a critical time, particularly on the Korean Peninsula.

 

볼튼 임명은 특히 한반도에서의 중대한 시기에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써 미국 우선(America First) 관념을 취하는 것을 위협하고 있다.

 

After months of strain, inter-Korean relations have been improving at a rapid pace since Kim Jong-un offered an olive branch to South Korea during his New Year’s addres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wasted no time seizing the opportunity for dialogue, and the two sides were able to come together in a spirit of rapprochement during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ielding a joint women’s hockey team, coordinating a series of musical performances by a North Korean orchestra, and marching together into the opening ceremony under a flag of unification.

 

수개월 간의 압박감 끝에,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 연설에서 남한에 올리브 가지(화해 제의)를 제공한 이후 아주 빠른 속도로 좋아지고 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대화를 위한 그 기회를 잡는데 머뭇거리지 않았다. 그리고 남북한은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을 구성하고 북한 오케스트라의 일련의 음악공연을 조정하고 단일기를 들고 개막식에 함께 행진하는 등 화해의 정신으로 함께 할 수 있었다.

 

This spirit of goodwill has continued after the conclusion of the Olympics, and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are set to hold a summit at the Joint Security Area in Panmunjeom — the very symbol of Korean division — later this month. At the top of the agenda will b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with Moon likely to press the issue in an effort to bolster the possibility of a potential Kim-Trump summit coming to pass in May.

 

이 같은 선의의 정신은 올림픽이 끝난 후에도 계속 되었으며 남북한 지도자들은 이달 말에 한국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 공동 경비구역에서 정상회담을 하기로 일정이 잡혀 있다. 문 대통령이 5월에 있을 잠정적인 김정은-트럼프 정상회담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그 문제를 압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고의 의제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Moon is no doubt aware that progress on the nuclear issue is imperative for avoiding a repeat of the perilous situation last fall, when rising tensions brought the Peninsula closer to conflict than at any time since the Korean War ended in 1953.

 

문 대통령은 의심의 여지없이 핵 문제에 대한 진전이, 1953년 끝난 한국전쟁 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한반도를 분쟁의 직전까지 갔던 긴장관계가 깊어진 지난 해 가을의 그 위험한 정세의 반복을 피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알고 있다.

 

Yet something deeper is at play as well. As someone whose parents were born in North Korea, Moon has made inter-Korean reconciliation a central theme of his administration. During his two campaigns for president, he supported a confederation with North Korea as the first step toward eventual reunification of the Peninsula. For his chief of staff, he controversially chose Im Jong-seok, a man who served jail time for leading a pro-North student group in his youth and who was eventually given power of attorney by Kim Jong-il in 2005 to enforce North Korean copyright claims in South Korea.

 

그러나 또한 더 심오한 무언가가 진행 중이다. 부모들이 북에서 태어난 사람들처럼 문 대통령은 남북한 화해를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으로 삼았다.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문 대통령은 결국에는 한반도 통일을 향한 첫 단계로서 북한과의 연합을 지지했다. 그의 비서실장에 논란의 여지가 많았던 학생시절 친북 학생단체를 이끌다 수감되고 한국에서 북한 저작물 권리를 강화한 2005년 김정일에 의해 대리위임장을 받았던 임종석을 임명했다.

 

In statements that echo those of the leaders in Pyongyang, Moon has also called for eventual unification “by our nation itself,” without outside interference. (Trump himself inadvertently brought this latent unification drive to light in a meeting with Moon last November by asking whether reunification was really necessary.)

 

평양 지도자들의 말을 반영하는 성명에서 문 대통령은 또한 외부의 간섭 없이 "우리 나라 스스로" 궁극적인 통일을 요구해 왔다. (트럼프 자신도 부주의하게 작년 11월 문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통일이 정말 필요한 것인지를 질문함으로써 이 잠재되어 있던 통일 의지를 보였다.)

 

This vision will undoubtedly be a tough sell to the South Korean public. While the concept of reunification still enjoys majority support, this has been dropping steadily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among younger voters who make up a core component of Moon’s political base. It will require delicate negotiations to overcome decades of mutual hostility and distrust, and with the troublesome issu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lingering in the background, threatening to sabotage the current climate of reconciliation.

 

이 비전은 의심의 여지없이 남한 국민들에게 어려운 설득이 될 것이다. 통일이라는 개념은 여전히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통일에 대한 지지는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문 대통령의 정치 기반의 핵심 구성원을 차지하고 있는 젊은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꾸준히 감소해왔다. 그 배경에 있는 북한 핵 프로그램의 번거로운 문제가 현재의 화해 분위기를 방해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십 년 간의 상호 적대감과 불신을 극복하기 위한 신중을 요하는 협상이 필요할 것이다.

 

With these concerns in mind, the Moon administration has come under criticism recently for attempting to suppress academic and media voices that run counter to its North Korea policy.

 

이러한 우려 때문에 문재인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북한 정책에 어긋나는 학계와 언론의 목소리를 억제하려고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Reclaiming the Label

미국 우선의 의미를 다시 찾는 것

 

In this fraught environment, a U.S. administration committed to the true principles of America First could play an extremely beneficial role.

 

이러한 걱정스러운 환경 속에서, 미국 행정부는 미국 우선이라는 진정한 원칙에 전념하면서 매우 이로운 역할을 할 수 있다.

 

North Korea has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denuclearize the Peninsula,” which in practice means that it’s willing to give up nuclear weapons if the American military threat facing the country is removed. Indeed, North Korean leaders have longed viewed the presence of U.S. troops as the primary obstacle to their long-standing goal of reunification. Anything short of a viable path for achieving this is unlikely to convince Kim Jong-un to disband his nuclear program, regardless of whatever contrary declarations he’s made during his recent blitz of international diplomacy.

 

북한은 만일 북한이 직면하고 있는 미국의 군사적 위협이 제거되면 핵무기를 포기하겠다는 한반도 비핵화의 의지를 표명했다. 사실, 북한 지도자들은 미군의 존재를 오랫동안 통일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주된 장애물로 보았다. 최근의 국제 외교에서의 대대적인 공세에서 그가 어떤 반대 선언을 하던지 간에,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경로 외의 것은 모두 김정은에게 그의 핵 프로그램을 버리도록 확신시킬 가능성은 없다.

 

This in turn raises the likelihood of Bolton convincing Trump to undertake unilateral military action against the North, which would lead to catastrophic consequences. Rather than using a summit with Kim solely to deliver an ultimatum, as Bolton has advocated, President Trump should instead consider what America First originally stood for: the absence of military involvement in countries which pose no threat to the United States.

 

이것은 볼튼이 트럼프에게 파멸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북한에 대한 일방적인 군사적 행동을 취하도록 확신시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볼튼이 주장하는 것처럼 김정은과의 정상회담을 단지 최후 통첩으로 사용할 것이 아니라, 대신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이 본래 상징했던 것을 고려해양 한다. , 미국에 그 어떤 위협도 보이지 않는 국가들에는 군사적 참여를 하지 않는다는 것,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If he were to take Moon up on the idea of a trilateral summit and use the occasion to declare his support for the unification drive that is simmering below the surface of inter-Korean politics, Trump would not only be engendering a great deal of goodwill on both sides of the Peninsula. He would also be fulfilling the original vision of America First, and signaling that the United States is ready to play a proactive role in creating the conditions for long term peace in Northeast Asia.

 

만일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을 3국 정상회담에 참여하게 하고 한반도 정치의 표면 아래에서 끓고 있는 통일운동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는 기회로 삼는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의 남북한 모두에게 많은 선의를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미국 우선이라는 본래의 비전을 이행하는 것이고 미국이 동북아시아에서 장기적인 평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사전 준비역할을 할 준비가 되었음을 시사하게 될 것이다.

 

Geoffrey Fattig was formerly a speechwriter for the U.S. Department of State and is currently the deputy international editor at the Hankyoreh newspaper in Seoul. He holds a master’s degree in International Affairs from UC San Diego’s School of International Relations/Pacific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