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더 힐, 대북 강경파의 예방적 선제타격은 틀렸다

더 힐, 대북 강경파의 예방적 선제타격은 틀렸다

 

-대북문제, 억지력과 외교만이 유일한 방법

-북한, 정권과 체제 안전이 중요

-김정은, 매우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물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pdW1mj

 





Deterrence and diplomacy are the only options for North Korea


억지력와 외교가 유일한 방법이다.

 

 

BY BONNIE KRISTIAN, OPINION CONTRIBUTOR — 03/12/18 05:15 PM EDT 22

 

THE VIEWS EXPRESSED BY CONTRIBUTORS ARE THEIR OWN AND NOT THE VIEW OF THE HILL

 




President Trump last week announced plans for talks between himself and North Korea’s Kim Jong-un, the first such direct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leaders. Pragmatically, the White House has stipulated few preconditions for the conversation, a decision that makes the as-yet unscheduled meeting more likely to be accomplished.

 

지난 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북한 김정은과 양국 정상간 직접협상은 처음으로 회담 계획을 발표했다. 실용적으로 보면, 백악관은 대화를 위한 전제조건을 거의 정하기 않았다. , 아직 일정이 잡히지 않은 회담을 성사시킬 가능성이 높은 결정이다.

 

As details of when and where the summit will happen are settled, it is necessary to revisit the the question of the Kim regime’s intent for its nuclear program, which first detonated a nuclear device in 2006.

 

-미 정상회담이 언제 어디서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세부 사항이 정해지면 김 위원장의 2006년 첫 핵무기 실험을 한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김정은 정권의 의향에 대해 반드시 다시 논의해야 한다.

 

National Security Adviser H.R. McMaster — who emerged as the Trump administration’s leading advocate of a preventive strike on Pyongyang — claimed Kim’s primary mission is expansion.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을 주도한 H.R. 맥마스터 국가 안보보좌관은 김 위원장의 주요 임무는 확장이라고 주장했다.

 

His “intentions are to use that weapon for nuclear blackmail, and then, to, quote, you know, ‘reunify’ the peninsula under the red banner,” McMaster said in a representative expression of this view in December. “So, he would use this to extract payoffs,” McMaster continued, “as the regime has done with their nuclear program in the past, and to drive the States and our allies away from this peninsula that he would then try to dominate.”

 

맥마스터는 12월에 그의 의도는 핵 협박을 위해 그 무기를 사용하고 나서, 붉은 깃발 아래 한반도를 통일'하라는 것"이라는 대표적 표현을 했다. 그리고 그는 "이를 이용해 보상을 얻어내고 북한 정권이 핵 프로그램을 통해 과거에 해왔던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과 우방국을 한반도에서 몰아내서 지배하려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For those duly skeptical of the efficacy and wisdom of preventive war — not least because of the incredible human suffering it would necessarily entail—the truth of McMaster’s argument is not nearly so “clear” as he claims.

적어도 반드시 수반하는 엄청난 인간적 고통 때문이 아니라, 예방적 전쟁의 효과와 지혜에 대해 회의적이기 때문에 맥마스터의 주장의 진실은 그가 주장하듯 명백한것은 아니다.

 

As retired Col. Andrew Bacevich, a military historian, has argued that, Kim is indeed “engaged in a huge game of blackmail,” but not as McMaster describes.

 

대령으로 예편한 군사 역사학자인 앤드류 바세비치(Bacevich)는 김정은은 정말로 협박이라는 큰 게임에 참가했다고 주장해 왔지만 맥마스터가 말한 것과는 다르다.

 

For all Kim’s bluster and extravagance, he leads “an exceedingly weak and arguably very fragile regime,” Bacevich said, “and my guess is their principal objective is to remain in power. So they are engaged in a complicated process of both trying to blackmail the West, and blackmail South Korea and most importantly trying to blackmail China, keep adversaries at bay and continue to be able to attract the kind of support they need to continue to exist.”

 

바세비치는 김정은의 허풍과 사치 때문에 김정은은 너무 약하고 틀림없이 아주 취약한 정권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내 생각에 북한의 주요 목적은 권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서방 세계와 한국, 그리고 가장 중요한 중국을 협박하고 적대국을 궁지에 몰고 계속해서 존립하기에 필요한 지원을 끌어내기 위한 복잡한 과정에 몰두하고 있다"

 

In this view, North Korea observes the long history of U.S.-orchestrated regime change in non-nuclear states. From the coup in Iran in 1953 to the 2003 invasion of Iraq and the 2011 overthrow of Libya’s Moammar Gadhafi, this concludes that nuclear armament is the dictator's best insurance for preservation of power.

 

이 견해에서 북한은 비핵국가들에서 미국이 진두 지휘한 정권교체의 오랜 역사를 눈 여겨 지켜보고 있다. 1953년 이란의 쿠데타에서 2003년 이라크 침공과 2011년 리비아의 모암마르 가다피 전복에 이르기까지 결국 핵무장이 권력 보존을 위한 독재자의 최고의 보험이라고 결론 지었다.

 

As Stanford political scientist Scott Sagan summarizes, “States will seek to develop nuclear weapons when they face a significant military threat to their security that cannot be met through alternative means; if they do not face such threats, they willingly remain non-nuclear states.”

 

스탠포드 정치학자 스콧 세이건(Scott Sagan)이 요약한 바에 의하면, "국가는 대안적 수단을 통해 충족될 수 없는 자신들의 안보에 대한 중대한 군사적 위협에 직면할 때는 핵무기 개발을 모색할 것이다. 만약 그들이 그러한 위협에 직면하지 않는다면, 그들 국가들은 기꺼이 비핵국가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im is in this sense a rational actor in pursuit of regime survival and dynasty preservation, perceiving nukes as his sole effective tool. That also means Washington can effectively and indefinitely deter him with overwhelming conventional and nuclear superiority — because, again, his aim is not expansion.

이런 점에서, 핵무기를 자신의 유일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하면서 김정은은 정권 생존과 왕조 보전을 추구하는 합리적인 배우이다. 이는 또한 워싱턴이 압도적인 재래식 및 핵 우위로 김 위원장을 효과적으로 무기한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한번 그의 목표는 확장이 아니기 때문이다.

 

McMaster’s expansionary framework is crucial to his dismissal of and deterrence as a viable option with North Korea and his push for Washington to take an aggressive, military-first approach. But both his premise and his conclusion are wrong — dangerously wrong and catastrophically risky — and North Korea, through conversations with South Korean officials, reportedly indicated as much this week.

 

맥마스터의 확장론은 북한과의 시행 가능한 선택에 대한 그의 묵살과 억지력, 그리고 백악관이 공격적이고 군사 우선 접근방식을 택하도록 밀어붙이는 데 있어 아주 결정적이다. 그러나 그의 전제와 결론은 틀렸다. 위태롭게 할 정도로 잘못 되었으며 파멸에 이를 정도로 위험하다. 북한은 남측 한국 관료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이번 주에 아주 많은 것을 보여주었다.

 

“The North showed willingness on denucleariz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said a statement from the office of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on Tuesday. “If military threats to the North Korea decrease and regime safety is guaranteed, the North showed that it has no reason to retain nukes.”

 

화요일 문재인 대통령의 청와대의 성명은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고 발표하며 "만일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감소되고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 밝혔다.

 

The import of this statement should not be overblown. It does not mean Pyongyang is ready to disarm today. In fact, there is reason to be skeptical they will ever disarm. But it does provide real space for diplomatic progress during deterrence. It does confirm that Kim’s regime, though monstrous, is fundamentally weak and fearful.

 

이 선언문의 의미를 너무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부풀려서는 안 된다. 북한이 오늘 당장 무장 해제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 그들이 무장 해제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이유가 있다. 그러나 그 성명은 억제되는 동안에 외교적 진전을 위한 진정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것은 비록 괴물 같지만 김정은 정권이 근본적으로 약하고 두려워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Moreover, it demonstrates that voices like McMaster’s that promote preventive war are dealing not in reality but in a reckless fantasy which could all too easily claim the lives of millions, destroy U.S. alliances in Asia, undermine American security, and cause untold economic damage.

 

더욱이 맥마스터와 같은 예방적 전쟁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현실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수백만 명의 목숨을 너무나도 쉽게 앗아가고 아시아의 미국 동맹국들을 파괴하고 미국의 안보를 약화시키며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무모한 판타지를 다루고 있음을 논증한다.

 

Bonnie Kristian is a fellow at Defense Priorities, an organization which inform citizens, thought leaders, and policy makers of the importance of a strong, dynamic military. Kristian is a weekend editor at The Week, and her writing has also appeared at Time Magazine, CNN, Politico, USA Today,Relevant Magazine, The Hill and The American Conservative, among other out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