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알자지라, 영국은 대영제국의 잔혹한 식민지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

알자지라, 영국은 대영제국의 잔혹한 식민지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


-대영제국의 잔혹한 식민지 역사를 가르쳐야 할 시기

-식민지 역사는 역사에서 배제될 수도 잊혀질 수도 용서되어서도 안된다

-과거 영국의 식민지 정책이 지금의 문제를 낳아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wtuAbA

 


It is time to teach colonial history in British schools

영국 학교에서 식민지 역사를 가르쳐야 할 때

 

Growing up in Britain, I knew nothing of the many crimes the British Empire had committed against my Iraqi ancestors.

 

영국에서 성장하면서는 나는 대영제국이 나의 이라크 선조들에게 범했던 많은 범죄들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by Ruqaya Izzidien

 


Members of the Mesopotamia Commission at the 1921 Cairo Conference, including Gertrude Bell, T E Lawrence (fourth from the right, second row) and Winston Churchill (centre front row) [Getty]

 

거트루드 벨과 TE 로렌스(두 번째 줄 오른쪽 4번째) 그리고 윈스턴 처칠(앞 줄 중앙)을 포함 1921년 카이로 회담에 참석한 메소포타미아 위원회 화원들

 

If you grew up in Britain, like me, you probably would not be able to recall being taught anything substantial about British colonial history in school.

 

나처럼 영국에서 성장했다면 아마 학교에서 영국 식민지 역사에 관해 실질적인 것을 배웠는지 기억해 내지 못할 것이다.

 

The British curriculum dedicates plenty of attention to the violence of others - in Nazi Germany or during the American Civil War - and goes into great detail on a few events in medieval and pre-Victorian English history, like the Plague, the Great Fire of London, and the reign of Henry VIII. But a British school would not teach you anything about the brutality of British colonialism.

 

영국의 교과과정은 독일의 나치 시대 혹은 미국 남북전쟁 기간 다른 나라의 폭력에 많은 주목을 할애하고 있다. 그리고 중세와 빅토리아 이전 영국 역사의 흑사병, 런던 대화재, 그리고 헨리 8세의 통치 기간과 같은 몇몇 사건들에 관한 세부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 학교에서는 영국 식민주의의 잔악성에 대해서는 전혀 가르치지 않았다.


 

We were told nothing of the concentration camps the British army ran during the Boer War, the Bengal famine of 1943 or the massacres of Kenyans in the 1950s.

 

우리는 보어 전쟁 기간 영국 군이 운영한 집단 수용소, 1943년 벵갈 기근 혹은 1950년대 케냐 대학살에 대해서 전혀 듣지 못했다.

 

In school, I heard nothing of the many crimes the British perpetrated against my Iraqi ancestors. No textbook ever mentioned that Winston Churchill, so deeply venerated as a hero and a brilliant statesman, openly endorsed a chemical attack on Iraqi civilians when they demanded independence from Britain.

 

학교에서, 나는 영국인들이 나의 이라크 선조들에게 저지른 많은 범죄들에 대해 전혀 듣지 못했다. 그 어느 교재에서도 영웅이자 훌륭한 정치가로 그렇게나 존경 받는 윈스턴 처칠이 이라크 민간인들이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요구했을 때 이라크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화학무기 공격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는 언급은 전혀 없었다.

 

The British curriculum did not teach me that Britain invited Iraqi leaders for negotiations, only to kidnap and imprison them, that it sent planes to bomb civilians when they refused to pay taxes or that it burned and destroyed villages and towns to quash revolts.

 

영국 교육과정에서는 영국이 협상을 위해 이라크 지도자들을 초청한 것이 아니라 납치하고 감금시켰으며, 세금을 내는 것을 거부했을 때 민간인에게 폭탄 투하를 하기 위해 전투기를 보냈거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모든 마을을 불태워 파괴한 것을 나에게 가르쳐주지 않았다.

 

Since I left school thirteen years ago, the situation has hardly changed. When, in 2010, the British government decided to overhaul the curriculum, then-education secretary, Michael Gove, decided to invite an apologist of empire, historian Niall Ferguson, to help. As a result, British textbooks still whitewash the British Empire and fail to address the foundations of white supremacy on which colonialism was built and the lasting impact of imperial policies on colonised peoples.

 

내가 13년 전 학교를 떠난 이후에도 그러한 상황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2010, 영국 정부가 교과과정을 개편하기로 결정했을 때, 당시 교육부 장관이었던 마이클 고브는 제국의 옹호자이자 역사학자인 니얼 퍼거슨에게 도움을 청하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영국 교과서는 대영제국을 여전히 미화하며 식민주의의 토대가 된 백인 우월주의와 식민지 민족에 대한 지속적인 제국주의 정책들의 영향력을 다루지 못하고 있다.

 

It was only through the stories of my grandfather - who recounted watching from his window the British march through Baghdad - that I learned there was more to the British Empire than they were teaching us at school.  

 

학교에서 우리에게 가르친 것보다 대영제국에 더 많은 것이 있다는 것을 배운 것은 오로지 내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서였다. 할아버지는 창문을 통해 영국군이 바그다드를 행진하는 것을 구경했다고 이야기해 주셨다.

 

The uncomfortable feeling of not knowing led me to research extensively the shared history of Britain and Iraq, which inspired me to write a novel set during the colonisation of Mesopotamia.

 

몰랐다는 불편한 감정이 영국과 이라크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역사를 광범위하게 조사하게 만들었고 이것이 내가 메소포타미아 식민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쓰는 영감을 주었다.

For me, there's something empowering about finally being able to level the playing field when it comes to one-sided narratives about the British Empire by telling the story of the colonised, rather than the coloniser.

 

나에게 식민주의자가 아닌 식민지인의 이야기를 전달함으로써 영국 제국에 대한 일방적인 담론에 대해 마침내 공평한 경쟁의 장을 조상할 수 있다는 힘을 부여해 뭔가가 있다.

 

Yet, the dominant whitewashed narrative of British colonial history seems to be deeply ingrained in the British psyche. Today 49 percent of Britons still think that the British Empire was a force for good that improved the lives of colonised nations and only 15 percent think it left them worse off, according to a survey by market research company YouGov.

 

그러나 영국 식민지 역사에 대한 지배적인 미화 담론은 영국 정신에 깊이 뿌리 박혀 있는 것 같다. 시장 조사 기업인 유고브(YouGov)의 조사에 따르면, 오늘날 영국인들의 49%가 여전히 대영제국은 식민지 국가들의 삶을 개선시킨 선한 힘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단지 15%만이 식민지 국가들을 더 나쁘게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also seems to be a persistent nostalgia for that colonial past. The truth is that in today's Britain, colonialism sells.

 

또한 바로 그 식민지의 과거에 대한 지속적인 행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진실은 오늘날 영국에서 식민주의가 여전히 팔리고 있다는 것이다.

 

Brits still rush to buy products that play on their romantic notion of colonialism, whether cushions from UK retailer Dunelm Mill's Colonial Chic line or an Old Colonial burger from chain restaurant Gourmet Burger Kitchen.

 

영국인들은 여전히 영국 소매상인 더넴 밀(Dunelm Mill)의 콜로니얼 시크라인에서 만든 쿠션이나 레스토랑 체인업체인 고메 버거 치킨(Gourmet Burger Kitchen)의 올드 콜로니얼 버거와 같은

그들의 낭만적인 식민주의 관념을 이용하는 상품들을 사기 위해 몰리고 있다.

 

They still enjoy watching TV shows about the lives and romances of rich white people in the colonial era, such as Downton Abbey and Indian Summers, which make no mention of how the wealth displayed on the screen was acquired.

 

영국인들은 여전히 화면에 나오는 부가 어떻게 얻어진 것인지 전혀 언급하지 않는 다운톤 애비와 인디언 서머즈와 같은 식민지 시대의 부유한 백인들의 삶과 사랑을 다루는 TV 쇼를 보며 즐거워한다.

 

They still go to cinemas to see Victoria and Abdul portray Queen Victoria as an exceptional open-minded monarch and a gracious friend of an Indian servant, as if she wasn't profiting from the subjugation and oppression of Indians; or watch The Queen of the Desert tell the story of British diplomat and orientalist Gertrude Bell, conveniently leaving out the part about her enabling British colonialism in the Middle East and drawing the arbitrary borders of the Iraqi state.

 

영국인들은 여전히 빅토리아와 압둘이 마치 빅토리아 여왕이 인도인들의 지배와 억압으로부터 이익을 얻지 못한 것처럼 빅토리아 여왕을 매우 특출 나게 편협 되지 않은 마음을 가진 군주나 인도 하인의 품위 있는 친구로 묘사하는 것을 보기 위해, 혹은 빅토리아 여왕이 중동에서의 영국 식민주의를 가능하게 하고 자의적으로 이라크 국경을 그은 부분은 빼버린 사막의 여왕(The Queen of the Desert)이 영국 외교관이자 동양학자인 거투르드 벨의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기 위해 극장에 간다.

 

The commodification of colonialism has even made it to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2015, the Oxford Union decided it was a good idea to serve a drink called "colonial comeback" during a debate on colonial legacy and reparations.

 

식민주의의 상품화는 고등 교육 기관에까지 진행되었다. 2015년 옥스퍼드 유니언은 식민지의 유산과 보상에 관한 토론에서 "콜로니얼 컴백”(colonial comeback)이라고 불리는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은 생각이라고 결정했다.

 

In fact, Oxford University, an institution that has educated half of Britain's political elite (its rival, Cambridge, educating the other half), has witnessed a pushback against its own colonial past. 

 

사실 영국 정치인 엘리트 계층의 절반(나머지 절반은 경쟁 대학인 캠브리지 대학)을 교육시킨 기관인 옥스포드 대학은 식민주의 과거에 맞서는 반발을 목격했다.

 

Students have called for the decolonisation of the Oxford curriculum, which, they say, is Eurocentric and excludes contributions by women and people of colour. 

 

학생들은 유럽 중심적이고 여성과 유색인종의 기여를 배제한 옥스포드 교과과정의 탈식민지화를 요구했다.

 

They have also brought the Rhodes Must Fall campaign to campus, calling for the removal of a statue of Cecil Rhodes, a British colonial official who is seen by many as the architect of apartheid in South Africa. Their struggle was suppressed by wealthy donors who threatened to cut funding to the institution.

 

또한 학생들은 로드 머스트 펄 캠페인을 하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차별 설계자로 간주되는 영국 식민지 관료인 세실 로즈의 동상 철거를 요구했다. 학생들의 투쟁은 옥스포드에 기부를 끊어버리겠다고 위협하는 부유한 기부자들에 의해 탄압을 받았다.

 

There is still widespread support for revisionism and white-washing of history in conservative institutions like Oxford and beyond. It is unsurprising that it was an Oxford scholar who last year penned an op-ed in The Times defending Britain's colonial legacy, telling Brits: "Don't feel guilty about our colonial history".  

 

옥스퍼드 등 보수적인 기관에서는 아직도 역사의 수정주의와 미화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가 있다.  작년에 더 타임즈(The Times)에 영국의 식민지 유산을 옹호하는 기고문을 쓴 한 옥스포드 학자가 영국인들에게 "우리 식민지 역사에 대해 죄책감을 갖지 말라"고 한 것은 놀랄 일도 아니다.

 

This attitude has been adopted by much of the British political elite as well. When asked in 2013 to apologise for the 1919 Amritsar Massacre, in which British troops shot dead hundreds of Indians, then-British Prime Minister David Cameron said: "I don't think the right thing is to reach back into history and to seek out things that we should apologise for." 

 

이러한 태도는 많은 영국 정치 엘리트들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졌다. 2013년 영국군이 수백 명의 인도인을 사살한 1919년 암리차르 대학살에 대해 사과하라는 요구를 받았을 때, 당시 영국 수상인 데이비드 카메론은 "나는 역사를 되돌아보고 우리가 사과해야 하는 것들을 찾아내는 것이 옳은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The problem with Cameron's statement is that colonialism cannot be just relegated to history, forgiven and forgotten. 

 

카메론 진술의 문제는 식민주의는 역사에서 가볍게 다루어지거나 용서되거나 잊혀질 수 없다는 점이다.

 

Its legacy continues to disadvantage former colonies, where artificial border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or their exhaustion have led to conflict, impoverishment and underdevelopment.

 

식민주의가 남긴 것은 과거 식민지에 계속해서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과거 식민지에서 인위적인 국경, 불공평한 자원의 분배, 또는 자원의 고갈이 분쟁과 빈곤 및 저개발로 이어져왔다.

 

Its logic continues to inform political and foreign policy in Britain and elsewhere to this day. It was colonialist thinking that led PM Tony Blair in 2003 to drag the country into another occupation of Iraq, shattering its economy and security and killing hundreds of thousands of Iraqis. 

 

식민주의 논리는 현재까지 영국과 그 밖의 다른 나라의 정치 및 외교 정책에 계속해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2003년 토니 블레어 총리가 이라크라는 또 다른 점령지로 들어가 이라크의 경제와 안보를 산산이 파괴하고 수 십만 명의 이라크인을 살해한 것은 식민주의자적 사고였다.

 

We need a curriculum based on an honest, contextualised reading of British history which teaches about the brutality of colonialism. It should educate children about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advantages they enjoy today as a result of the colonial extraction and plunder their country engaged in during the colonial era. 

 

우리는 식민주의의 잔혹성을 가르치는 영국 역사의 정직하고 전후 문맥에 맞는 독서에 바탕을 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정부는 식민지 시대에 그들의 나라가 관여한 식민지 착취와 약탈의 결과로 오늘날 그들이 누리고 있는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이득에 대해 아이들에게 교육해야 한다.

 

We will not lose anything by acknowledging the crimes of our past. The only way to avoid repeating our mistakes is by learning from them.

 

우리는 우리의 과거의 범죄를 인정함으로써 그 어떤 것도 잃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잘못을 반복하는 것을 피하는 유일한 방법은 잘못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As Indian politician and author Dr Shashi Tharoor has highlighted, it's "a bit of an embarrassment that you can get a History A Level in this country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colonial history."

 

인도 정치가이자 작가인 샤시 타루어 박사가 강조한 것처럼, "식민지 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면서 이 나라에서 역사 과목 A학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약간 부끄러운 일이다."

 

It's time to change that. 

 

이제 바꿀 때이다.

 

Ruqaya Izzidien's novel The Watermelon Boys, set during and after the British conquest of Baghdad, is released on 30 August by Hoopoe F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