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P 뉴스프로

이그재미너, 한국은 왜 베트남전 위안부에게 사과 안 하나?

이그재미너, 한국은 왜 베트남전 위안부에게 사과 안 하나?


- 한국군, 베트남 여성들로 매춘소 만들어
- 베트남 위안부 5천 명에서 3만 명 정도로 추산
- 박 대통령, 추락한 인기 회복하기 위해 일본 상대로 피해자 코스프레

이그재미너는 27일 ‘한국은 왜 아직 베트남 위안부들에게 사과하지 않았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베트남전에서 저지른 한국군의 만행이 40여 년이 흐른 뒤 한국에 카르마가 되어 돌아왔다고 말하고 박근혜 정부는 이를 부정하는 자기모순에서 벗어나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기사는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이 그들과 미군의 육체적 쾌락을 위해 베트남 위안부 여성들로 매춘소를 만들었으며, 이들은 5천 명에서 3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또 한국군은 베트남 위안부들을 강간·폭행하고 야만적으로 학살했으며 미국이 공개한 문서와 관련 기록들도 이를 입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베트남에 이를 사과한 김대중 전 대통령을 “한국의 명예에 말뚝을 박았다”며 비난했던 박근혜 대통령이 한국군의 베트남전 범죄에 대해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사과하기를 거부하는 것은 예상했던 일이라고 비꼬았다.

기사는 과거 한국 위안부들의 용기 있는 증언이 있은 후 일본에 대한 분노가 쏟아져 나왔을 때처럼 한국은 베트남 위안부들의 증언 후 일본과 똑같은 상황에 부닥쳤다고 말했다. 이어 자국의 군인들이 이런 만행을 자행했으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이 진실을 밝히기 위해 최근 베트남을 방문했다고 덧붙였다.

이그재미너는 세월호 참사는 박근혜 대통령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비치게 한 또 하나의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고 발생 후 7시간 동안의 부재와 미흡한 대처, 그리고 이를 보도한 일본인 저널리스트를 명예훼손으로 기소함으로써 국 내외에서 박 대통령은 비난과 야유의 대상이 됐다고 전했다.

기사는 박 대통령이 하락한 자신의 인기를 만회하고자 자국을 희생자로 보이게 만드는 위안부 문제를 이용해 일본을 상대로 국수주의를 부추기며 국민의 동정심을 자극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또 국내에서 박 대통령의 이런 전략은 성공했으나 해외에서는 자신을 선전하기 위해 일본을 부정적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싸구려 박수를 받으려 한다는 비난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기사에서는 위안부 문제 외에 일본과의 또 다른 논쟁거리인 독도분쟁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한국 정부가 일본과의 계속되는 이 영토 분쟁에서도 국제사법재판소에 맡겨 분쟁을 해결하자는 일본의 제의를 매번 거절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그재미너는 일부 미국 정치인들이 위안부에 대한 결의안을 채택하고 미국 도시에 위안부 소녀상을 세우는 등 특정 “선거구”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인 사회에 잘 보이기위해 종군 위안부 문제를 이용했다며, 전쟁 성범죄에 근절에 대한 미국의 노력을 정치 논리에 결부시켜 평가 절하하기도 했다.

기사는 과연 미국의 도시와 공원에 베트남 위안부를 기리는 기념관과 기념비가 세워질 것인가, 한국도 일본이 한국 위안부 기념비 설치를 반대한 것처럼 이에 반대할 것인가 자문하며, 미국 내에서 작은 정치 영향력을 행사하는 베트남 사회,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 자신이 베트남 전쟁을 잊고 싶어 하므로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 잘라 말했다.

이그재미너는 한국 육군과 해병대에 의해 자행된 학살로 9천 명의 베트남인이 숨졌다고 다시 한 번 말하며 박 대통령의 의지에 달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인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이그재미너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외신 바로가기 : http://exm.nr/1EBl7JA


뉴그프로 외신번역 바로가기 : http://bit.ly/2FT9xTl



Why Has South Korea Still Not Apologized to the Vietnam Comfort Women?


한국은 베트남 위안부들에게 왜 아직 사과하지 않았나?


Chris Grasso, May 27, 2015



This year, at the 96th anniversary of the Korean uprising against Japan in March 1, 1919,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reiterated her call for Japan to admit to the war crimes it had committed during World War Two. Yet, even as she relentlessly seeks an apology from Japan, Ms. Park has conveniently ignored the fact that during the Vietnam War, Korean troops raped, assaulted and barbarically slaughtered thousands of Vietnam comfort women. Ms. Park cannot escape blame and claim unverified reports. Why South Korea still refuses to apologize to the Vietnam comfort women is not as mysterious as it seems.


1919년 3월 1일 일본에 대항해 일어난 한국인의 봉기 96번째 기념일을 맞아 올해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2차대전 중 저지른 전쟁 범죄를 인정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 그러나 일본에 대해서는 사과할 것을 가차 없이 요구하면서도 박 대통령은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이 수천 명의 베트남 위안부들을 강간하고 폭행하고 야만적으로 학살한 사실은 편리하게도 무시해왔다. 박 대통령은 책임을 회피하며 근거 없는 보도라고 주장할 수 없다. 왜 한국이 아직도 베트남 위안부에게 사과하기를 거부하는지의 이유는 그렇게 이상할 것은 없다.


Documents from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show irrefutable proof of South Korea’s abuses and wrongdoings during that period. Noriyuki Yamaguchi, then Washington bureau chief of the Tokyo Broadcasting System, mentioned in an article he wrote that in July 2014, the archives revealed a letter from the US military command stationed in Ho Chi Minh City (then Saigon) to Gen. Chae Myeong-sin, the military commander of South Korea in Vietnam. The letter referred to the illegal diversion of US supplies to South Korea, acts of prostitution in a supposedly “welfare center” where Vietnamese women were working, and US troops using that center for a $38 fee per visit.


미국 국가기록관리청의 문서는 당시 한국의 학대와 범죄에 대한 반박할 수 없는 증거를 제시한다. 당시의 도쿄방송 워싱턴 지국장이었던 노리유끼 야마구치는 2014년 7월에 쓴 기사에서 국가기록관리청이 호치민시(당시에는 사이공)에 주둔한 미군 사령관이 파월 한국군 사령관 채명신 장군에게 보낸 편지를 공개했다고 말했다. 이 편지는 미국 물자의 한국으로의 비합법적인 전환, 베트남 여성들이 일하고 있었던 "복지 센터"로 사용되어야 할 시설에서의 매춘행위, 그리고 미군들이 매번 38달러를 내고 그곳을 방문했던 사실을 언급했다.


The above report is only one of many accounts of South Korea’s atrocities towards the Vietnamese people during the war. Elderly survivors have recounted their own horror stories of the sex slavery and massacres they went through at that time. In 2001, recognizing the veracity of the reports, then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met with Vietnam President Tran Duc Luong and offered a direct apology for South Korea’s acts on the Vietnamese people during the war.


위에 언급한 기사는 전시에 베트남인들을 상대로 한국이 저지른 수많은 잔학행위 중 하나를 말해줄 뿐이다. 나이 든 생존자들은 당시에 자신들이 겪었던 성노예와 학살에 대한 공포스런 경험담을 말해왔다. 2001년 이러한 보고가 사실임을 인식하고 한국의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베트남의 트란 둑 루옹 국가주석을 만나 전시 베트남인에 대한 한국의 행위에 대해 직접적인 사과를 했다.


But the day after Kim’s message of apology, Park Gein-hye, then deputy leader of the Grand National Party, the opposition party at the time, criticized Kim’s statement, saying it “drove a stake through the honor of South Korea.” Looking back, it was an omen of things to come if she should lead the country someday.


하지만 김 대통령의 사과가 있었던 다음날 당시 야당 한나라당의 박근혜 부대표는 김대중 대통령의 성명을 비판하면서 "한국의 명예에 말뚝을 박았다"고 말했다. 돌아보면 이것은 그녀가 언젠가 한국의 대통령이 된다면 어떤 일이 있을지를 보여준 조짐이었다.


Seventy years and several apologies later, South Korean officials are still pressing Japan over the WW2 comfort women issue. Like an infant fixated on a vendetta, South Korea’s sense of entitlement is such that no amount of compensation or apology will satisfy them. Or is it really a simple case of overblown egomania? Old and new historical events might provide clues.


70년이 흐르고 몇 번의 사죄가 있은 후 한국 관계자들은 여전히 2차대전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을 압박하고 있다. 복수에 집착하는 젖먹이처럼 한국의 자존감은 그 어떠한 보상이나 사죄로도 충족되지 않을 것이다. 혹은 이것이 정말 과장된 병적인 자기중심적 사고의 사례에 불과할까? 과거와 현재의 역사적인 사건들이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 case of karmic retribution for South Korea, the Vietnam comfort women issue has been brought to international awareness 40 years after the war ended. To recall, in 1991 Kim Hak-soon was the first Korean comfort woman living in South Korea to give a testimony about her alleged experience under the control of Japanese soldiers. It triggered a barrage of angry reactions against Japan and put the country under scrutiny for the reparation and atonement it should give to its victims. Now it is South Korea facing the very same situation. Long before the Vietnam comfort women came out and identified themselves, they already knew about their own atrocities but, through cunning and clever manipulation, managed to keep it under the radar of the mainstream media.


한국에 대한 업보 응징의 경우에 있어 베트남 위안부 문제는 종전 40년이 지나서 국제적 인식을 얻게 됐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1991년 김학순씨는 한국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일본 군인들의 통제하에서 겪은 자신의 경험에 대해 증언한 최초의 한국인 위안부였다. 그 증언으로 말미암아 일본에 대한 분노가 쏟아져 나왔고 희생자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배상과 속죄를 위한 철저한 조사가 일본을 상대로 시작됐다. 이제는 한국이 똑같은 상황에 처하게 됐다. 베트남 위안부들이 스스로 앞으로 나와 자신을 밝히기 오래전에 그들은 이미 자신들의 잔학 행위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교활하고 영리한 속임수를 통해 주류 언론매체에 포착되지 않도록 했다.


It took a visit to Vietnam by Yoon Mi-hyang in March to uncover the grim truth about the sex enslavement of Vietnam’s women by Korean and American troops. Yoon is president of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he non-profit organization formed to look into alleged crimes against women in Asia during World War Two, many of whom were Koreans. In 2012, the Council had set up the Butterfly Fund and extended their mission to help other women victims of war. Congo was the first country they identified. Little did they know that in Vietnam, they would find out about the horrors that their own countrymen, the Korean soldiers, had perpetrated.


윤미향씨는 한국과 미국 군인들에 의한 베트남 여성들의 성노예화에 대한 냉혹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3월 베트남을 방문했다. 윤 씨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아시아 여성들- 다수가 한국 여성들이었다-에게 행해진 범죄들을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비영리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이다. 2012년 정대협은 나비기금을 설립하고 다른 전쟁 피해자 여성들을 돕도록 그 활동을 확대했다. 콩고는 정대협이 찾아낸 첫 국가였다. 그들은 자신들이 베트남에서 자국 한국 군인들이 자행했던 참상들을 밝혀내게 되리라고는 전혀 상상도 하지 못했다.


Another recent incident that has put Pres. Park in a negative light is the Sewol ferry disaster. On April 16, 2014, the South Korean ferry Sewol, carrying 476 passengers and crew, among them 325 high school students, was on its way from Incheon to Jeju island when it sank, killing more than 300 people, mostly the students. To date, nine are still missing. It was rumored that Pres. Park was nowhere to be found and she was with a former political aide said to be married then. Japanese journalist Tatsuya Kato, chief of Sankei Shimbun’s Seoul bureau, was singled out for printing this piece of information and defaming Ms. Park. He was charged and indicted. This incident has raised howls from international journalists amid concerns on press freedom in South Korea.


박근혜 대통령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비치게 만든 최근의 또 하나의 사건은 세월호 참사이다. 2014년 4월 16일 325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포함한 476명의 승객과 승무원들을 수송하던 세월호가 대부분 학생들인 300여 명의 목숨을 앗으며 침몰했을 당시 인천에서 제주도로 운항 중이었다. 지금까지 9명은 여전히 실종상태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고 당시 유부남이었다던 예전 정치 참모와 함께 있었다는 소문이 돌았다. 산케이 신문 한국 지부장인 일본인 저널리스트인 가토 다츠야씨는 이 정보를 기사화하여 박근혜 대통령을 명예훼손한 것에 대해 유독 주목을 받았다. 그는 고발당하고 기소됐다. 이 사건은 한국에서의 언론의 자유에 대한 우려와 함께 전 세계 저널리스트들로부터 야유를 받았다.


Park’s handling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widely criticized. In the seven hours leading to the disaster, she received 18 reports and her only response were two orders that wer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It was the committee secretary who acted as spokesperson before Ms. Park could face the public herself. The investigation into the botched rescue efforts, the cause of the sinking and the violation of safety rules have been assailed by the victims’ families as being controlled by Park’s government. Add to that her unfulfilled promise to raise the ferry from the bottom of the sea. At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sinking, the families refused to meet the president and promised to stage regular protests.


세월호 참사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처 방법은 여러모로 비난을 받았다. 참사가 일어나고 있는 7시간 동안 그녀는 18번의 보고를 받았고 그녀의 유일한 대응은 의례적인 처리 규정에 따른 두 가지 지시 사항에 불과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중 앞에 자신을 드러내기 전 대변인으로 활동한 사람이 위원회 비서였다. 실패한 구조 작업, 침몰 원인 및 안전 수칙 위반에 대한 조사는 박근혜 정부에 의해 좌지우지됨에 따라 희생자 유가족들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인양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것도 역시 비난을 받는다. 세월호 침몰 1주기에 유가족들은 대통령과의 만남을 거부했으며 지속적인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중간 생략]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