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Culture)

판소리와 K-팝으로 '트로이의 여성들' 위안부 뮤지컬로 변신한

판소리와 K-팝으로 '트로이의 여성들위안부 뮤지컬로 변신한 


- 옹켕센 감독, 트로이 여인들 판소리와 K-팝이 가미된 위안부 뮤지컬로 각색

- 남성 가수로 헬렌을 부르게 하다

- 트로이 전쟁에서 살아남은 여인들, 위안부 여성으로 각색

- 전쟁의 아픔을 겪은 한국 여인들

- 안숙선 명창의 피를 토하는 헌신


기사 바로가기 : https://bit.ly/2k2T9X6

 



Trojan Women: the Greek tragedy that became a queer Korean opera

트로이 여성들: 퀴어 한국 오페라가 된 그리스 비극

 

Theatre


A bold new show retells the Euripides classic through traditional pansori, K-pop and the story of ‘comfort women’ in the second world war

 

대담한 새로운 공연이 전통 판소리, K-팝 및 2차 세계대전에서의 위안부 여성들이야기를 통해 유리피데스 고전을 다시 말한다.

 

Corrie Tan

 

Wed 16 May 2018 08.00 BSTLast modified on Wed 16 May 2018 08.01 BST

 


War of the worlds … Ong Keng Sen’s Trojan Women. Photograph: National Theatre of Korea

 

세계의 전쟁옹켕센의 트로이 여인들.

 

In 1991, Ong Keng Sen directed Euripides’ Trojan Women in a granite quarry in Singapore in the wee hours of the morning. He chose Jean-Paul Sartre’s 1965 adaptation, a fiery indictment of the Indochina wars, which styled French colonialists as the conquering Greeks and the Vietnamese as bereft Trojans, facing the death and destruction of their people. He cast expatriates to Singapore as the Greeks and Singaporeans as the Trojans.

 

1991, 옹켕센은 이른 아침 시간에 싱가포르의 한 화강암 채석장에서 유리피데스의 트로이 여인들 감독했다. 옹켕센은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이 그리스 정복자들로 베트남인들은 죽음과 파괴에 직면하게 되는 상실한 트로이인들로 묘사한 인도차이나 전쟁의 격렬히 고발한 작품이며 장 폴 사르트르가 1965년 각색한 유리피데스의 여인들을 채택했다. 그는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그리스인으로 싱가포르인을 트로이인으로 묘사했다.

 

More than 25 years later, the Singaporean director – who made a name for himself reinventing western classics through Asian performance – is once more remixing this ancient Greek tragedy about the suffering of women in the aftermath of war. This time, for a show that will be staged at London’s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atre, he has chosen to use the Korean pansori, the beloved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performed by a solo singer and drummer that stretches as far back as the 17th century. The Korean opera form of the changgeuk incorporates the pansori style of singing. Its sound is guttural and husky, making use of the voice’s lower registers. “Think of your natural voice when you wake up in the morning,” says the globetrotting Ong, speaking via Skype from Charleston, South Carolina, where he has another show opening at the Spoleto festival this month.

 

25 년이 지난 후, 아시아 공연을 통해 서양의 고전을 재각색하고 명성을 얻은 그 싱가포르 감독은 전쟁의 여파로 인한 여성의 고통에 관한 이 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다시 한번 리믹스하고 있다. 이번에는 런던 국제 연극제에서 무대에 올려지게 될 연극을 위해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소리꾼과 고수가 공연하는 뮤지컬 이야기의 한 장르로 사랑을 받는 한국의 판소리를 택했다. 창극이라는 한국의 오페라 형식은 노래라는 판소리 스타일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그 소리는 후두음이고 허스키하다. 또한 낮은 음역을 사용한다.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 스카이프를 통해 전세계에 전하는 옹 감독은 "아침에 일어날 때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생각해 보면 된다"라고 말한다. 옹 감독은 이번 달 스폴레토 축제에서 또 다른 오프닝 무대를 갖는다.



 

Ong’s fascination with the pansori began in 1998, on a trip to South Korea. “Usually in Asian cultures, there’s a kind of lodestone of cultural heritage and of performance that could take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Kerala, it’s kathakali and koodiyattam, the performing arts forms that influence everything else, from ritual to everyday life, from high performance to low performance,” he says. “In Korea, I felt it was music.” There, he attended a performance by pansori superstar Ahn Sook-sun, one of the country’s “national living treasures”. How wonderful, he thought, to direct a changgeuk one day. “But I was in my 30s and it felt quite far away – it was more like wishful thinking and I shelved it.”

 

옹 감독의 판소리에 대한 매료는 1998년 한국 여행으로 시작되었다. "대개 아시아 문화에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문화 유산과 공연 같은 일종의 끌리는 자석 같은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케랄라(Kerala)에서는 의식에서부터 일상 생활에 이르기까지, 수준이 높은 공연에서 그보다 낮은 공연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는 카타칼리(kathakali)와 쿠디야탐(koodiyattam)이 있다고 언급하며 "그런데 나는 한국에서는 음악이라고 느꼈다"고 말한다. 그는 한국에서 국가의 "살아있는 국보급 보물" 중 하나인 판소리 명인 안숙선의 공연에 참석했다. 그는 언젠가는 창극을 기획하는 것이 얼마나 훌륭한 것인지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30대였고 꽤 아주 멀게 느껴졌다. 그것은 희망사항이었고 나는 그 기획을 보류했다."

 

The dream has since come off the shelf: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approached Ong to collaborate with them in 2013. He quickly decided that he would not stage one of the few extant pansori. There are only five surviving full-length pansori pieces in existence, and seven fragments. “I knew there was going to be some kind of controversy if we reinvented one of them because there are only five, and it’s very precious. Imagine rewriting Handel, for instance, and calling it Handel’s music.”

 

이후 그 꿈은 실현되기 시작되었다. 한국 국립 창극단이 2013년 함께 일하자고 옹 감독에게 접촉을 했다. 그는 서슴지 않고 현존하는 소수의 판소리 중 하나를 무대에 올리지 않겠다고 결정했다. 현존하는 판소리 완판은 단지 5가지와 7개의 단편만이 있다. "5가지만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그 중 하나를 다시 만든다면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것은 매우 귀중하다. 예를 들어 헨델을 다시 작성하고 헨델의 음악이라고 부르는 것을 상상해보세요."

 


Fascinating blend of styles … Trojan Women, directed by Ong Keng Sen. Photograph: National Theatre of Korea

 

매력적인 양식의 혼합옹켕션 감독의 트로이 여인들

 

A classic story seemed to be good neutral territory on which to construct Ong’s experiment. “I felt there was a lot of synergy between Greek theatre and Korean traditional forms. Greek theatre is epic, the emotions and passions are huge – they are not daily life emotions. You can imagine Medea, for example, being sung in changgeuk and pansori,” he says. He suggested Trojan Women because so much of Korean culture is about the ajummas – “the Korean mamas and Korean women”, who “suffer but at the same time … are extremely fiery and passionate”.

 

고전적인 이야기는 옹 감독의 실험 구성할 좋은 중립적 영역으로 보였다. "나는 그리스 극장과 한국 전통 양식 사이에 많은 시너지 효과가 있다고 느꼈다. 그리스 연극은 서사시적이며 감정과 열정은 웅장하다. 그것들은 일상의 감정이 아니다. 예를 들어, 메디아(Medea)가 창극과 판소리에서 불려지는 것을 상상하면 된다고 말한다. 그는 트로이 여성들(Trojan Women)을 제안했다. 이유는 한국 문화의 상당 부분이 고통스럽지만 동시에 매우 열렬하고 열정적인 한국식 엄마와 한국 여성들을 나타내는 아줌마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Ong’s goal was that this new changgeuk would eventually become part of the canon, something South Korea could lay claim to. He invited playwright Bae Sam-sik to adapt the play in a way that “reverberates with a Korean consciousness [and] doesn’t feel like a translation”. Ahn, whose voice captured Ong so many years ago, composed the pansori for Trojan Women orally, with a dedication to perfection that made her “cough up blood”: rupturing the blood vessels in her vocal cords from singing every line repeatedly until she had the melodic nuances just right.

 

옹 감독의 목표는 이번 새로운 창극이 결국 한국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규범의 일부에 맞을 것이라는 점이었다. 그는 극작가 배삼식 씨를 초청해 "한국인의 의식으로 반향하고 번역처럼 느껴지지 않는" 방식으로 연극을 각색했다. 수년 전에 옹 감독에게 자신의 소리가 포착된 안 씨는 성대의 혈관을 파열되어 안 씨가 멜로디 뉘앙스를 올바로 잡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모든 노래 가사를 부르지 못하게 할 정도로 피를 토하며완벽에 가까운 헌신으로 트로이 여성을 위한 판소리를 구두로 만들었다.

 


‘I felt there was a lot of synergy between Greek theatre and Korean traditional forms’ … Trojan Women. Photograph: National Theatre of Korea

 

트로이 여인들 –‘나는 그리스 연극과 한국 전통 형식 사이의 많은 동반 효과가 있다고 느꼈다.’

 

Ahn’s work is complemented by that of composer Jung Jae-il, whose music for the chorus draws on K-pop. Ong says: “The thing that was attractive about the whole thing to me is that they didn’t see K-pop as something far away from pansori.” This blend of high and low musical forms serves a deeper function. Ong was interested in the idea of these chorus women, taken as slaves, carrying within them the music of their homeland. He thought of how music from Africa moved across to the Americas with the slave trade, of the hymnals and the rituals that slaves were prohibited from singing and conducting, but preserved in private. Ong connected this with the tragedy of Korean women in war, and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women and girls forced into prostitutio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by the Japanese army. It’s the source of a deep rift between the two countries, who continue to disagree on the degree of coercion and the extent of the brutality inflicted.

 

안씨의 작품은 작곡가 정재일의 작품에 의해 보완되었다. 합창을 위한 정재일의 음악은 K-팝에 의지한다(연상시킨다). 옹 감독은 "저에게 있어 온갖 면에서 매력적이었던 것은 K-팝을 판소리와 별개의 것으로 보지 않았다는 점이다"라고 말하며, 높은 음악과 낮은 음악적 형식의 이러한 혼합이 더 깊은 기능을 제공한다. 옹 감독은 자신들의 고국의 음악을 들려주는 노예 배역을 맡은 코러스 여성들의 생각에 관심이 있었다. 그는 아프리카 음악이 노예 무역으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어떻게 이동했는지, 노예가 노래하고 행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개인적으로 보존된 찬송가와 의식을 생각했다. 옹 감독은 이것을 전쟁에서의 한국 여성의 비극 및 일본군에 의한 제 2차 세계대전 중 매춘을 강요당한 여성과 소녀들인 "위안부"의 역사와 연결시켰다. 그것은 두 나라 사이의 깊은 앙금의 원천이다. 양국은 계속해서 강요의 정도와 가해진 잔인한 행위의 정도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The Trojan women would carry their original music from Troy into new lands through the chorus of women. If you’re part of the royal family, it’s almost certain that you’ll be killed off sooner or later. If you’re the queen mother, or the princess, you wouldn’t be allowed to live. So it’s the commoners who would carry the music, which would be almost completely transformed in the new lands, but they would have certain sounds that came from Troy and their tradition.”

"트로이 여성들은 원래 음악을 트로이에서 여성 합창단을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옮기게 된다. 만일 당신이 왕가의 일부라면, 조만간 당신이 죽임을 당할 것은 거의 확실하다. 만일 당신이 태후라면, 혹은 공주라면 살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땅에서 거의 완전히 변형될 음악을 들려주는 것은 평범한 사람들이지만, 그들은 트로이와 그들의 전통에서 나온 어떤 소리가 있을 것이다."

 

While attempting to build a canonical work, Ong has also managed to subvert it by queering the role of Helen of Troy. Ong wanted to situate Helen as an outsider, separate from and vilified by the Trojan women, the survivors of the war. Helen ought to have a transgressive quality, he felt, as a character caught between two worlds but part of neither. The role is played by male performer Kim Jun-su, who is something of a pop icon in pansori and often takes on Romeo-type characters. Ong’s translator whispered to him as they prepared for the premiere in Seoul, where the show was extraordinarily well received: “It’s amazing that you’re doing this in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 to have a male singer singing Helen.”

 

고전에 맞는 작업을 구성하는 동안, 옹 감독은 트로이의 헬렌(Helen of Troy)의 역할을 색다르게 함으로써 그것을 뒤엎으려고 애를 썼다. 옹 감독은 헬렌을 외부인으로, 트로이 전쟁의 생존자인 트로이 여성들과 분리시키고 비난을 받는 상황으로 만들고 싶었다. 헬렌은 두 세계 사이에 붙잡힌 인물이지만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인물로서 초월적인 성격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역할은 판소리의 팝 아이콘이면서 종종 로미오 타입의 인물을 맡아 온 남성 배우 김준수 씨가 맡는다. 옹 감독의 통역자는 극찬을 받았던 서울에서의 초연을 준비하면서 그에게 속삭였다. "한국 국립극장에서 특히 남성 가수가 헬렌을 부르게 하는 것은 아주 놀라운 일이다."

 

• Trojan Women is at the Southbank Centre, London, 2-3 June. Box office: 020-7968 6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