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International)

포린폴리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통 크게 협의 합시다

포린폴리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통 크게 협의 합시다'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2FymDs6

 



Kim to Trump: Let’s Make a Deal

김정은이 트럼프에게 : 우리 통 크게 거래합시다

 


Washington got just what it wanted from the pressure campaign. Now what?

미국은 압박 정책으로 원하던 것을 얻었다. 이젠 무엇을? 



BY KEITH JOHNSONDAN DE LUCE

 

 | MARCH 6, 2018, 5:22 PM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right, shaking hands with South Korean envoy Chung Eui-yong in Pyongyang on March 5. (AFP/KCNA via KNS/Getty Images)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오른쪽) 3 5일 평양에서 정의용 한국 특사와 악수하고 있다.

 

North Korea’s surprising offer Tuesday to hold talks with the United States, holding out the eventual prospect of abandoning its nuclear weapons, throws the diplomatic ball dramatically back into Washington’s court.

 

화요일 북한의 깜짝 제안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것이라는 최종 전망을 보이면서 미국과의 회담을 하고자 하는 북한의 놀라운 제안은 극적으로 외교적 공을 백악관 코트로 다시 던지고 있다.

 

While the overture is a seeming triumph of the “sunshine” diplomacy of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the Trump administration’s increased pressure, the big question remains whether the White House is willing or able to grab the opportunity.

 

유화적 서곡이 표면상으로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햇빛정책외교와 트럼프 행정부의 높아진 압박의 승리인 것처럼 보이지만 큰 의문이 남아 있다. 백악관이 그 기회를 잡을 의향이 있는지, 잡을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been all about applying maximum pressure, with the whole purpose to bring North Korea back to the table to talk about denuclearization,” says Jenny Town, assistant director of the US-Korea Institute at the Johns Hopkins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을 비핵화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압박을 하고 있다고 존스 홉킨스 국제정치학 한-미 연구소 부소장인 제니 타운이 말했다.

 

“Kim has said, ‘Yeah, we can talk about that.’ So now what? This is more a test of how seriou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rather than Pyongyang.”

 

김 위원장이 , 우리도 대화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번엔 또 뭐죠? 이것은 북한이라기 보다는 트럼프 행정부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실험하는 것입니다.”

 

After a landmark meeting with senior South Korean officials Monday,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aid he’d be open to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o discuss normalizing relations, including a willingness to discuss the country’s controversial nuclear program. Pyongyang said it wouldn’t need nuclear weapons if its security is guaranteed, and offered to freeze nuclear and missile tests during the talks. The two Korean leaders will meet next month to lay the groundwork for a possible diplomatic solution to an impasse that has raised fears of a devastating conventional or even nuclear war in East Asia.

 

월요일 한국 고위급 당국자들과의 역사적인 회담 후에 북한 김정은 지도자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할 의양을 포함해서 관계 정상화를 위한 미국과의 협상을 열어 놓았다라고 말했다. 북한은 북한의 체제가 보장된다면 핵무기를 보유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며 회담 중에는 핵과 미사일 실험을 동결하기로 제안했다. 남북한 지도자들은 동아시아에서 파괴적인 재래식 혹은 핵전쟁의 공포를 일으킨 교착상태에 대한 가능한 외교적 해결책을 위한 기초를 다지기 위해 다음 달 만난다.

 

“Possible progress being made in talks with North Korea,” President Donald Trump tweeted early Tuesday. “May be false hope, but the U.S. is ready to go hard in either direction!”

 

트럼프 대통령은 화요일 트위에 북한과의 대화가 성사될 수 있는 가능한 진전이라고 글을 올리며, “거짓된 희망일 수도 있지만, 미국은 어느 방향으로든 굳건히 나아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했다.

 

The move culminates a month of Olympics-fueled diplomacy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amid an escalating pressure campaign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Nations, including fresh sanctions on North Korea in recent weeks. But Moon has also stepped up diplomatic engagement with Pyongyang as fears have grown of a preemptive U.S. military strike.

 

이 움직임은 분열된 한반도에서 그리고 최근 몇 주 만에 새로운 대북제재를 포함한 미국과 유엔으로부터의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와중에 올림픽으로 촉발된 한 달간의 외교적 가중된 압박올림픽으로 조성된 외교의 최근 몇 주간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포함 해 미국과 유엔으로부터의 압력이 가중되는 가운데 올림픽으로 촉발 된 한 달간의 외교의 절정에 달하게 한다. 그러나 문 대통령 또한 미국의 군사적 선제 타격이 두렵기 때문에 북한과의 외교적 대화를 서두르고 있다.

 

Facing its first high-stakes diplomatic negotia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will come to the table shorthanded. The State Department’s top point man on North Korea, Joseph Yun, unexpectedly retired last week. And Victor Cha, who was the president’s initial pick for the vacant ambassadorship in Seoul, was nixed after a last-minute change of heart by the White House, reportedly over differences of opinion on the wisdom of a preemptive U.S. military strike. Both were seasoned diplomats who had hands-on experience with the North Koreans.

 

첫 번째 부담이 큰 외교적 교섭에 직면하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인력난을 겪으면서 협상 테이블에 나올 것이다. 북한 관련 국무부의 최고 핵심 인물인 조셉 윤은 예기치 못하게 지난 주 사퇴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공석인 한국 대사 초기 임명자이었던 빅터 차는 백악관의 막판 변심 이후 거부되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미국의 군사적 선제 타격에 대한 견해 차이였다. 두 사람 모두 북한 사람들과 직접적인 경험을 갖춘 노련한 외교관들이었다.

 

“Now is when you would want serious, experienced diplomats to be engaging in a negotiation,” says Ely Ratner, senior fellow at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who served as former Vice President Joe Biden’s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or. “You would need the best of the diplomatic corps to even understand whether there was a deal to be had here.”

 

조 바이든(Joe Biden) 전 부통령의 국가안보 보좌관을 역임한 외교 협의회(the Council of Foreign Relations)의 선임 연구원인 일리 라트너(Ely Ratner) "이제는 진지하고 경험이 풍부한 외교관이 협상에 참여하기를 원한다사기를 당했던 과거의 협상이 있었는지 잘 이해할 수 있는 외교단 중에서 최고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한다.

 

Given Kim’s past belligerence, dogged pursuit of long-range missiles and nuclear weapons, and need to maintain control over an internally fracturing regime, “we cannot definitely determine what his real intent is,” says Bruce Bennett, senior defense analyst at the RAND Corporation.

 

랜드 연구소(RAND Corporation, 미국의 싱크탱크 중의 하나)의 선임 국방 분석가 브루스 베넷(Bruce Bennett)은 김 위원장의 과거 호전성, 완강한 장거리 미사일과 핵무기 추구를 감안할 때, 내부적으로 분열되는 정권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그의 진정한 의도가 무엇인지 명확히 결정할 수 없다고 말한다.

 

“Is he Hitler going to Munich in 1938, or is he really prepared for some kind of peaceful solution?”

 

"히틀러는 1938년에 뮌헨에 갔을까요? 아니면 정말로 몇 가지 평화로운 해결책이 준비가 되어 있나요?"

 

A senior Trump administration official expressed caution about Kim’s offer, saying the United States remained open to dialogue but that the regime had a long history of breaking agreements.

 

트럼프 행정부의 한 고위급 관계자는 미국은 대화에 문을 열어 놓고 있지만 북한 정권은 합의를 깼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고 말하며 김정은의 제안에 대해 신중함을 표명했다.

 

“If their plan is simply to buy time, in order to continue building their arsenal, talks aren’t going to get very far at all. Because we’ve seen that movie before,” the official told reporters Tuesday.

 

그 관계자는 만일 북한의 계획이 핵시설 구축을 계속하기 위한 시간벌기용이라면 대화는 매우 멀어질 것이다. 이유는 우리는 예전에도 그런 영화를 봐왔기 때문이다.”라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But the official said the proposal showed the U.S. sanctions effort was having a genuine impact and that the administration would keep “an open mind.”

 

그러나 그 관계자는 그 제안은 미국 제재들이 진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계속해서 열린 마음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North Korea’s apparent willingness to come to the table marks a sharp turnaround from the mutual threats, insults, and bellicose rhetoric from Pyongyang and Washington over the past year, accompanied by ominous developments i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technologies. But it’s not the first time North Korea’s leaders have tendered an apparent olive branch, only to see a diplomatic solution undercut by unbridgeable gulfs between the two sides.

 

협상 테이블에 나오겠다는 표면상의 북한의 의지는 양국간 위협, 모욕, 그리고 지난 해 내내 평양과 워싱턴의 호전적인 수사적 표현의 대단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That the initiative came directly from Kim after his meeting with South Korean officials could be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Pyongyang’s previous stabs at fig-leaf diplomacy, Town says.

 

그 결정이 한국 관료들과의 회담 이후 김 위원장으로부터 직접 나왔다는 것은 북한의 무화과 외교에 대한 과거의 맹활약에서 크게 벗어날 수 있다고 타운 대변인은 지적한다.

 

“Sure, we’ve heard it before, but not from Kim Jong Un himself. He’s proven himself to be different from his father and grandfather,” she says.

 

그녀는 분명히, 우리는 예전에 들었다. 그러나 김정은 자신으로부터 들은 것이 아니다. 그는 스스로 아버지와 할아버지와는 다르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Former Obama administration officials chalk up the apparent opening to the combination of Moon’s diplomatic efforts and, especially, the Trump administration’s heightened pressure on Pyongyang, saying said this time could be different from North Korea’s bad-faith overtures of the past.

 

전 오바마 행정부 관리들은 이번은 과거의 북한의 악의적인 태도와는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하면서 북한이 활짝 문을 연 것은 문 대통령의 외교적 노력과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압력 최고조의 압박의 결과로 여기고 있다.

 

“We may in fact be seeing a change in Kim Jong Un’s calculus, and we ought to explore that,” Ratner says. “What we’re hearing is a little different from what we’ve heard before … The administration would be nuts to brush this off or turn it down.”

 

레트너는 사실 김정은의 계산에서 변화가 있음을 알아보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평가해야 한다고 말하며, “지금 우리가 듣고 있는 것은 우리가 예전에 들었던 것과는 약간 다르다트럼프 행정부는 잘 다듬거나 혹은 거절할 수 있는 견과류와 같다고 한다.

 

Another ray of hope is the North Korean regime’s newfound willingness to accept continued joint military exercises held by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Just days ago, Pyongyang was threatening to “counter” the annual military drills that North Korea sees as a dress rehearsal for forcible regime change. Seoul and Washington announced they would hold the exercises later in March, after postponing them for the Winter Olympics, but might have to scale them back in the future as a concession to Pyongyang.

 

또 다른 희망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지속을 수용한 북한 정권의 새로운 의지이다. 며칠 전, 북한이 강압적인 정권교체를 위한 예행연습으로 보는 한미연합군사훈련에 대적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한국과 미국은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훈련을 연기한 후 3월 말에 이 훈련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북한의 양보로 미래에는 그 훈련의 규모를 예전 수준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Kim Jong Un’s willingness to allow the U.S.-South Korean military exercises to go ahead is “quite significant,” Ratner said, as it would have provided him with a convenient way to drive a wedge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김 위원장에게 한국과 미국의 사이를 틀어지게 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해왔을 것이기에, 김정은 위원장이 한-미 군사훈련을 흔쾌히 수용한 것은 아주 중요하다라고 레트너는 말했다.

The offer to put denuclearization on the table could also end up being a bone of contention between Pyongyang and Washington. Vice President Mike Pence said last month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continue to squeeze North Korea until it gave up its pursuit of nuclear weapons; North Korea’s outreach dangles the prospect of a nuclear-free peninsula as the outcome of diplomatic talks, not as a precondition.

 

협상에서 비핵화를 올려놓겠다는 제안은 결국 북한과 미국 사이의 논란의 핵심이 될 수도 있다. 지난 달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 추구를 포기할 때까지 북한에 계속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대외 활동은 전제 조건이 아니라 외교적 대화의 결과로서 비핵화된 한반도의 전망에 달려있다.

 

Pence on Tuesday reiterated the U.S. desire to withhold carrots until Pyongyang starts to roll back its weapons program.

 

화요일 펜스 부통령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기 시작할 때까지 당근을 주지 않는 것이 미국의 정책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The United States and our allies remain committed to applying maximum pressure on the Kim regime to end their nuclear program,” he said. “All options are on the table and our posture toward the regime will not change until we see credible, verifiable, and concrete steps toward denuclearization.”

 

"미국과 동맹국들은 김정은 정권이 핵 프로그램을 종식시키기 위한 최대 압박을 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모든 선택 사항이 준비되어 있고 북한 정권을 향한 우리의 입장은 비핵화를 위한 믿을 수 있고 검증 가능하며 구체적인 단계가 나타날 때까지 바뀌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Getting rid of nuclear weapons is not the only likely sticking point. At the high-level dinner on Monday, Kim reportedly spoke of writing a “new history” of reunification of the peninsula, which has been uneasily split into northern and southern halves since the armistice ending the Korean War in 1953. That doesn’t mean the kind of democratic-led reunification that Seoul and Washington have sought for decades, says RAND’s Bennett.

 

핵무기들을 없애는 것이 유일하게 가능성 있는 난제는 어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월요일 고위급 저녁 만찬에서 김 위원장은 한반도 통일의 새로운 역사를 쓰겠다고 말했다. 그것은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내는 휴전협정 이후 남북한이 반반으로 불안하게 쪼개놓았다. 그것은 한국과 미국이 수십 년 간 추구해온 민주적 통일의 형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RAND의 베넷은 말한다.

 

“He was not talking about South Korean style unification — he was talking about unification under his control,” he says.

 

그는 김정은은 한국이 주장하는 통일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통제하에 통일을 이야기 한 것이라고 말한다.

 

North Korea also said that it wouldn’t need nuclear weapons at all if its security were guaranteed, which seemed to open the door to a negotiated solution. The problem is that Pyongyang’s understanding of a security guarantee is likely vastly different than that envisioned in Washington, including at a minimum and end to hostile U.S. policies, economic sanctions, joint military exercises, and possibly even an end to the decades-long U.S. military presence in South Korea.

 

북한은 또한 북한 체제의 안전이 보장된다면 전혀 핵무기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것은 협상 해결책의 포문을 여는 것처럼 보였다. 그 문제는 안전보장이라는 북한의 이해가 미국이 구상한 안전보장과는 매우 다를 가능성이 있다. 적대적인 미국의 정책들, 경제제재, 연합훈련을 최소화하고 중단을 포함하며 가능한 한 수십 년 간의 미군 주둔의 종식을 포함하고 있다.

 

What’s more, for years North Korea has cited the example of former Libyan leader Muammar al-Qaddafi, who gave up his nuclear weapons in 2003 only to be toppled with U.S. assistance almost a decade later. For Pyongyang, the only security guarantee worth having would likely be a peninsula reunified on its terms, Bennett said.

 

더우기, 수십 년 동안 북한은 전 리비아 지도자 무암마르 알 카다피의 예를 들었다. 카다피는 2003년 핵무기를 포기했지만 거의 10여 년 후에 미국의 지원으로 무너졌다. 평양에게 유일한 안전 보장은 북한의 조건에 따른 한반도 통일일 것이라고 베넷은 말했다.

 

And coming hard on the heels of intensified U.S. sanctions — including the broadest effort yet to forestall North Korea’s ability to use its merchant marine to evade sanctions — the North Korean offer to come to the table seems to imply that it expects concessions in return. Congressional aides described the latest North Korean outreach as a charm offensive meant to secure some relief from sanctions that have dramatically curtailed its ability to earn hard currency through exports.

 

그리고 제재를 피하기 위해 북한 상선을 이용하는 북한의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가장 폭넓은 노력을 포함하는 강화된 미국 제재들이 이어지면서 북한의 대화 협상 제안은 대가로 양보를 기대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듯하다. 의회 보좌관은 최근 북한의 대외적 활동을 수출을 통해 경화를 벌 수 있는 능력을 현저하게 축소시킨 제재 조치로부터 약간의 구제를 확보하기 위한 매력적인 공세라고 설명했다.

 

The Trump administration had never offered the prospect of limited sanctions relief as a carrot in its “maximum pressure” campaign, and administration officials gave no indication Tuesday they were ready to relent.

 

트럼프 행정부는 "최대 박력" 캠페인에서 당근으로 제한적 제재 조치를 취할 전망을 전혀 제시하지 않았으며 화요일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그들이 진정될 준비가 되었다는 그 어떤 조짐도 없었다.

 

But what is clear is that the North Korean outreach will make it more difficult for Washington to coax other countries, especially China, into supporting additional sanctions measures against Pyongyang. Last Friday, China already vetoed efforts to blacklist dozens more North Korean vessels. With Kim apparently ready to talk, Beijing’s willingness to keep squeezing is doubtful, Town says.

 

그러나 분명한 것은 북한의 대외적 활동이 미국이 다른 국가들 특히 중국에게 대북 추가제재 조치를 지지해 달라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이다. 지난 금요일, 중국은 이미 수십 대의 북한 선박을 블랙리스트에 올리려는 노력을 거부했다. 김 위원장은 분명히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중국의 지속적인 압박 의지가 의심스럽다고 타운은 말한다.

 

“Since this is what the Trump administration said it wanted, if the U.S. does not take advantage, there will be a lot more international opposition to the pressure campaign,” she said.

 

"트럼프 행정부가 원했던 것이기 때문에 미국이 유리하지 않는다면 압력 캠페인에 대한 국제 사회의 반대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그녀는 말했다.